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관-
dc.contributor.author裵任子-
dc.creator裵任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4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협동미술 개념에 의한 드스틸(De Stijl) 환경미술(環境美術, Environment)에 대한 연구인 바, 필자는 이를 위해 1916/17년부터 1928년초까지 행해진 실내 디자인과 색채 건축(色彩建築, Coloristic Architecture)을 그 대상 범위로 설정하였다. 드 스틸 환경미술은 무엇보다도 회화적 조형성을 띤 것으로서 드 스틸회화가 그렇듯,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新造形主義, Neo-Plasticism) 미학(美學) 원리를 토대로 하고 반 되스부르흐의 분방한 행동력을 주축으로하여 전개되었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수직 · 수평선및 이들의 직교 상태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삼원색, 삼무채색 등의 조형 요소로써 명확하고 순수한 기하추상을 이룩하였다. 그리하여 그것은 우연적이고 가변적인 자연의 외양에 은닉(隱匿)된, 고정불변의 보편적 리얼리티(Reality)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비례와 조화 · 평형 상태를 추구하였다. 드 스틸 환경미술은 이러한 기본적 조형요소로써 화가와 건축가의 협력관계를 통해 회화와 건축의 결합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예술과 생활의 일치를 주장했던 드 스틸 예술가들의 목표를 구체화시킨 것으로서, 조화로운 환경을 창출하여 붕괴된 전후(戰後) 사회를 재통합하고 미래의 유토피아(Utopia)를 실현하고자 하는 데에 그 뜻이 있었다. 이러한 성격의 역사적 배경으로는 19세기의 <미술과 공예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및 <아르 누보(Art Nouveau)> 등이 개재한다. 드 스틸 예술가들은 조화로운 환경미술의 창조를 위해, 화가는 색채로, 건축가는 구조로써 양측을 결합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협동미술의 이상(理想)을 실현한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님이 표면화되었다. 그들은 상보적 (相補的)이면서도 상호불간섭적이어야 한다는 전제 개념을 표방했지만 그것은 대체로 효용성을 상실한 것이었다. 드 스틸 환경미술의 초기에, 화가들은 건축가들에게 종속되어, 건축에 의해 제한된 표면에만 색채를 가하였었다. 그러다가, 1920년대에 이르자 화가들은 색채의 잠재적인 힘을 인식하고 건축의 구조가 부여하는 제한성에서 벗어나 색채의 공간적 특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는 화가와 건축가의 관계에 변화가 도래함을 예시한 것이었다. 나아가, 색채 건축에 있어서는 화가가 건축의 실질성을 도외시한 채, 가장 급진적인 색채 디자인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화가와 건축가의 협력 관계라는 측면에서는 화가가 지나친 권한을 표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그들의 협동미술 개념은 현실성 보다는 이상성(理想性)을 띤 것이었으며, 그에 의한, 채색된 추상적 실내와 색채건축은 대중에게 수용불가능 한 것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여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총체적인 예술 작품을 창출하고자 한다. 그러한 환경미술은 드 스틸 예술의 복합적인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고 있다고 간주되는 것이다. 또한, 드 스틸 환경미술이 보여 준 사각형의 색채 평면 추상은, 드 스틸 회화와 더불어, 유럽에 보다는 전후(戰後) 미국의 기하 추상에 침투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건축에서 제시된 구조적 특성과 새로운 시공간(時空間)개념은 바우하우스(Bauhaus)를 거처 국제주의 양식 (International Style)에 영향을 준 것으로 인정된다.;As a study on the De Stijl Environment by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art, this thesis has the scope of study within the confines of the Interior Design and Coloristic Architecture carried on from 1916/17 to early 1928. Above all, like De Stijl painting, De Stijl Environment has the character of pictorial plasticity. Also i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esthetic principles of Mondrian's Neo-Plasticism and spread by Van Doesburg's free and active conduct. Basically it accomplished clear and pure geometrical abstraction by means of such basic elements as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perpendiculars, and rectangles formed by such perpendiculars. In addition, three primary colors and three primary non colors were used to accomplish such an abstraction. Thus it tried to express the ever fixed and unchangeable universal reality which is hidden behind the appearances of accidental and variable nature. As a result, it also pursued states of balance, harmony and equilibrium. So De stijl Environment was a collaborative attempt by painters and architects to integrate painting and architecture into one, using those basic plastic elements. In other words, it was an attempt to develop a concrete form of the aims of art pursued by those artists who insisted on the unity of art and life. And it also intended to reintegrate broken post war society and to realize the utopia of the future. These thoughts and efforts had a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nd Art Nouveau of the nineteenth century. For the creation of a harmonious Environment, painters, using color, and architects, using structure, contribute to an integration of both. But it became apparent that to realize the ideal of collaborative art was not to be easy. Though the concept that collaborative art should be mutually supplementary and not interfering was demonstrated as a preliminary idea, it was lacking utility in general. In the early stage of De stijl Environment, painters were surbordinated to architects, adding color merely to the surfaces confined by architecture. However, by the 1920's, painters realized latent potential in color and emphasi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color beyond the limit granted by the structure of architecture. This heralded the coming changes in the relations between painters and architects. Further more, in Coloristic Architecture, painters began to make extremely abstract radical color designs, neglecting the practical aspects of architecture. Such a practice represented the excessive power of painters over architects in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hip. As a result, though their concept of collaborative art was too idealistic and so the Painted Abstract Interior and Coloristic Architecture eventually became unacceptable to the populace. But, in spite of this and other criticisms, De Stijl Environment which intended to create a Total work of Art, has come to be regarded as reflecting well the complex characteristic of De Stijl. In addition the rectangular color plane abstraction of De stijl Environment can be viewed (together with its painting) as having pervaded post war American geometrical abstraction, rather than that of Europe.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De stijl architecture and its New Concepts of Space-time are recognized to have influenced International Style by way of Bauha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Ⅱ. 드 스틸 환경미술의 성립 배경및 기본 성격 = 10 A. 미술사적 배경 = 10 B.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와 유토피아 사상 = 15 Ⅲ. 드 스틸 초기의 환경미술 = 25 A. 만 데르 렉크의 협동미술 개념과 작품 = 25 1. 협동미술의 개념 = 25 2. 실내 디자인 = 28 B. 반 되스부르흐 작품에 있어서의 회화적 건축 표면 = 31 C. 훗자르의 단색조 색채 구성 = 36 Ⅳ. 실내 디자인에 있어서의 '코너'의 처리 = 41 A. 즈바르트의 작품과 '코너'의 문제 = 41 B. 훗자르 작품에 있어서의 색채 평면의 연결. = 46 C. 반 되스부르흐의 작품과 요소주의 (要素主義, Elementarism) = 47 Ⅴ. 색채건축 = 55 A. 건물 외장(外裝)으로서의 색채 디자인 = 55 B. 건축에서의 색채의 독자성(獨自性) = 59 C. 총체적 추상(Total Abstraction)의 실현 = 65 Ⅵ. 결론 = 72 부록, 작가연보(作家年譜) = 79 참고문헌 = 87 도판(圖版) = 93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76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e Stiji-
dc.subject환경미술-
dc.subject실내디자인-
dc.subject색채건축-
dc.subject미술사학-
dc.titleDe Stijl 環境美術에 對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協同美術槪念에 依한 室內 design과 色彩 建築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 Stijl Environment : On the basis of the Interior Design & Coloristic Architecture by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Art-
dc.format.page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