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남진-
dc.creator박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55-
dc.description.abstract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과 소비자는 핵심되는 주체들이다. 기업은 상품을 매개로 소비자로부터 이윤을 얻고 소비자는 상품의 구매로 생활의 만족을 추구한다. 그러나 후기자본주의 사회에 와서 기업, 상품, 소비자의 관계는 그 본래의 성격이 변질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비자(대중)는 선도될 수도 있고 부패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을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에 있어서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이며, 현재 인간의 가치를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인간의 진정한 가치함양을 위해서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 그 해결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이제까지 기업과 사회의 요구에 순응하는 디자인의 일반적 개념에서 벗어나 그 디자인이 행해지고 있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환경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통해서 그 기능과 맥락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는 유통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우리의 사회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 입장에서 그것이 인간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의 폐단을 극복한다는 이름아래 인간의 감성회복을 넘어서 인간의 감성을 조작하는 자본주의의 체제유지적인 성격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 예술 · 대중 사이의 거리를 좁혀주는 예술의 사회화에 대한 올바른 수용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디자인 역할에 대한 측면에서 기업의 목표를 시각화하여 그 목표를 달성해주는 디자인의 사회경제적 기능과 인간의 삶에 흥미와 다양성을 제공해주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고찰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기업과 소비자가 공동의 운명체임을 인식하면서, 두 입장을 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밝혔다. 구체적으로 "L" 유통환경단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목표로 설정된 것과 현재환경사이에 일치하지 못한 상태를 진술하고, 소비자가 진정으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갖고서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와 가치기준에 중점을 두는 인간중심적인 접근으로 디자인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문제해결대안으로서 참된 본질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인간이 미적 문화의 주체가 되고 환경내에서 공동의 정신을 표현할 수 있는 예술적 커뮤니케이션과 생활과 예술의 유기적 결합을 의도하는 환경의 예술화를 목적적 가치로 삼고, 유통환경에 있어서 판매환경과 외부환경에 미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도구적 가치를 달성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궁극적으로 기업과 소비자가 공동의 운명체임을 인식하고 인간 삶의 질적 향상과 인간문화발전에 함께 노력하는 유통환경문화를 창조한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The industry and the consumer are the principal players in a capitalist structure. The industry derives profits from the consumer through its products, while the consumer seeks to achieve satisfaction through the purchase of the products.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however, a transformation is taking place in the nature of relationships among the industry, the consumer and the products, and the consumer (public) may be led on the right path or may be led astray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human beings in their design activities for the creation of an enhanced lifestyle, and to search for the solution as to the methodology of design with a view to a genuine improvement of human quality, bearing in mind a quest for conditions that are impediments to human value. Through an extensive discernment of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within which design activities are conduc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functions of design within that environment,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design with that environment, in departure from the prevailing view that the role of design is to accommodate the demands of industry and society. The study re-examines the role of design in that environment. Taking a critical stance on post-modernism, which is having a substantial effect on our social environment for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distribution mechanism, the study explains the means by which post-modernism influences human quality. The study compares the critical view of post-modernism, which regards it as a means of preserving the capitalist system through the manipulation, and not the recovery, of human sensitivity, under the pretense of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modernism by way of post-modernism, against the view that post-modernism should be adopted for the socialization of art, through which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the masses may be reduced. As to the issue of the functions of design, the study examines the socio-economic function of design whereby the corporate objectives are achieved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such objectives,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function of design under which pleasure and variety is supplied into human lives. Recognizing that the industry and the consumer share a common fate,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adopting both positions. Specifically, the "L" distribution complex is selected for illustration purposes, so as to describe the disparity between the stated objectives and the actual distribution environment. further, the study seeks to systematize the methodology of design with a human-central approach, concentrating on the essential human desires and moral standards, bearing in mind the basic question of what the consumer truly needs. By way of solution, the study offers the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who are being alienated from the true essence, may become the subject of aestretic culture : that they may place the value of purpose in the artistic transformation of the environment-i.e., artistic communication which enables the expression of shared ideals within the environment ; and that they environment by placing an aesthetic value in the sales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finds its worth in realizing that the industry and the consumer share a common destiny, and that a distribution culture must be created in which they join their mutual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uman lifestyle and the advancement of human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D. 용어의 정의 = 3 Ⅱ. 유통환경의 사회ㆍ정치ㆍ경제ㆍ문화적 배경 = 5 A. 뉴 패러다임(New Paradigm)에 의한 사회환경의 변화 = 5 B. 시장환경 변화와 소비자 = 6 C. 포스트 모더니즘과 유통환경 = 8 D. 유통환경문화와 대중문화 = 15 Ⅲ. 유통환경에 있어서 디자인의 역할 = 17 A. 사회경제적 관점 = 18 B.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관점 = 22 Ⅳ. 유통환경 관련 디자인 방법 = 27 A. 지적분석단계 = 28 B. 디자인하기(Designing) 단계 = 45 C. 디자인의 검토와 평가단계 = 99 Ⅴ. 결론 = 101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90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중문화-
dc.subject유통환경디자인-
dc.subject포스트 모더니즘-
dc.subject장식미술학-
dc.title대중문화 관점에서 본 유통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포스트 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 입장에서-
dc.title.translated(A) design environment of distribution network from the public(culture) perspective-
dc.format.pagex, 109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