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白仁子-
dc.creator白仁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80-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조선전기 가사를 대상으로 가사에 나타나는 서정적 양상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데 논의의 목적을 두었다. 이는 서정 장르로서의 가사를 입증하려는 장르 귀속의 차원이 아니라, 가사에 나타나는 서정의 특질을 규명함으로써 가사장르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논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조선전기 가사에 드러난 서정적 양상을 고찰하였다. 논의 전개의 편의상 가사의 일반적인 분류유형에 따라 강호가사 · 유배가사 · 기행가사 · 도덕가사로 나누어 작품을 고찰하였다. 전기 가사에는 담화의 양식적 측면에서 유형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서정적, 서사적, 주제적, 극적 요소가 모두 드러나고 있다. 강호가사에는 서정적 진술이 비교적 강하게 드러나며, 유배가사에는 서정적 진술과 주제적 진술이 동시에 우세한 진술로 나타나고, 기행가사에는 표면적으로는 서사적 진술이 우세하나, 그 이면의 의미구조상 서정적 진술과 주제적 진술이 드러나고, 도덕가사에는 주제적 진술이 강한 반면 서정적 진술은 약화되어 있다. Ⅲ장에서는 앞장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각 진술 양상의 궁극적인 기능과 효과를 고찰하였다 작품 내에서, 서사적 요소는 궁극적으로 서정적 상관물로서의 기능을 지니며, 대화체는 서정적 정황을 표출하는 장치이다. 반면 주제적 요소는 서정에 봉사하는 기능이 아니라, 서정과 균형을 이루며 상호교섭적인 동반 관계에 있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가사가 지닌 서정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가사의 시적 자아는 공적이고 규범적인 성격을 지니며, 가사의 시간상은 '확장된 현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특성은 가사 담당층인 사대부의, 정서와 이념의 불가분성에서 해명될 수 있다. Ⅴ장에서는, 가사의 서정성이 일반 서정장르와는 다른 특성을 지녔다는 본 논의의 결과로 인해 가사를 서정장르에 귀속시킬 수 없음을 밝히고, 아울러 가사 장르론으로의 논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논의는, 선행 된 가사 장르 논의가 장르 귀속에 목적을 두고, 혹은 가사의 복합적 양상을 드러냄에서 그쳤던 것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접근태도로 볼 때, 선행논의들은 오히려 가사 장르 논의의 기반 확립에 필요한 실증적 근거 확보라는 일차적 단계의 분석에 지나지 않는다. 가사 작품에 나타난 서정성 분석의 보다 중요한 목적은 이들 서정적 성격이 가사 장르에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가를 살피는, 문학적 형상화의 문제까지 나아가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논의가 기대되는 과제는 본고에서 드러난 가사의 또 다른의 양식적 기반인 주제적 성격에 대한 고찰과, 개별 작품과 함께 사상적 배경을 포괄하면서 이 성격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어느 시기에 가서 변모하게 되며, 변모의 양상과 그 이유는 무엇인가를 史的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논의로 들어가는 하나의 試考로서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 lyrical aspect of G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is not to prove Gasa to be the lyrical genre in the level of genre reversion, but even, to suggest a possibility of the theory of Gasa genre by considering the lyrical characteristics in Gasa.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 have considered the lyrical aspect of G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As a matter of convenience, it was classified the Kang-ho(江湖) Gasa, the Yoo-bai(流配) Gasa, the Ci-hang(紀行) Gasa, and the Do-duk(道德) Gasa according to general classfying pattern. All of them show the lyrical, narrative, thematic, and dramatic factors in the light of discoursive style. In Chapter Ⅲ, I have dealt with the ultimate function and effect of each statement aspect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Ⅱ. In the works, the narrative factor, in essence, has the function of lyrical interrelative thing. The dialogue style is an apparatus that expresses the lyrical condition, meanwhile, the thematic factor isn't the function that serves to the lyric. But they keep their balance, and have a mutual connection. In Chapter Ⅳ, I have made clear the lyrical characteristics of Gasa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Ⅱ,Ⅲ. 'The Poetic I' has the official and normal character. The time aspect of Gasa has the meaning to be 'the extended present'. These characteristics are explained in the indivisibility of emotion and idea of Sadaibu(士大夫) who had been main writers of Gasa. In Chapter Ⅴ, in conclusion, this thesis made clear that Gasa can not be in included in the lyrical genre, because the lyrical of Gasa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s. And I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tended debate for the theory of Gasa genre. While the preceding study had surveyed genre reversion, or expressed nothing but complex aspect, this thesis are placed on the different access of study. The preceding study was only an analysis of the lyrical seen in Gasa has more important aim. That is to make out how these lyrical characteristics are formed in Gasa genre, and finally to advance in an issue of literary form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must be continued as follow. It will be worked to consider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of Gasa - which have been examined as an another stylistic ground in this thesis. The consideration may be made progress with individual works including the thought background. So the characteristics of Gasa can be studied historically when they changed, how they changed, and why they changed. This thesis has the value that is the study to make an attempt for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Ⅱ. 가사에 드러난 서정의 양상 = 4 A. 강호가사 = 6 B. 유배가사 = 18 C. 기행가사 = 27 D. 도덕가사 = 36 Ⅲ. 가사 진술방식과 서정과의 관계 = 43 A. 서정적 상관물로서의 서사적 진술 = 43 B. 정황표출 장치로서의 대화체적 진술 = 48 C. 서정적 진술과 주제적 진술의 긴밀성 = 53 Ⅳ. 가사에 나타난 서정의 특성 = 62 A. 시적 자아의 規範性 = 62 B. 확장된 현재로서의 시간상 = 68 C. 사대부적 이념과 정서 = 73 Ⅴ. 가사의 장르적 성격 논의로의 확장 가능성 = 80 Ⅵ. 결론 = 87 참고문헌 = 89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111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전기가사-
dc.subject서정성-
dc.subject조선가사-
dc.subject서사성-
dc.title朝鮮前期歌辭의 抒情性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YRICAL CHARACTERISTICS OF GASA(歌辭)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dc.format.page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