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韓雪野 小說의 空間 硏究

Title
韓雪野 小說의 空間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ce of Han, Seol-ya's Novels
Authors
洪慧媛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한설야공간소설카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카프의 대표적 작가 韓雪野는, 1935년 카프가 해산한 이후 새로운 방향의 문학을 모색해야 하는 시기에, 과거 프로문학의 도식성을 극복하고 활발한 창작활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의 한설야에 대한 평가는 카프작가로서의 측면에만 주목하여, 세밀한 작품분석이 간과되거나 그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설야의 1936년-1941년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의 30년대 후반 현실대응양상을 고찰하였다. 소설의 공간이 일반적으로 수평적이라는 전제 하에 한설야의 소설을 우선, 외부세계중심의 소설과 내부세계중심의 소설로 분류하였다. Ⅱ장에서는 외부세계중심의 소설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적극적인 공간이동에 따른 존재론적 전이과정과, 공간의 이동 보다는 동일공간 내에 머무르면서 그 의미가 변모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이동에 의한 존재론적 전이 과정이 나타나는 소설은 『황혼』,「임금」,「철로교차점」,『청춘기』,『초향』등이고, 이 작품들에서는 각 인물들의 공간이동이 부정적인 공간으로부터 긍정적인 공간으로 움직인다. 이 결과 각 인물들의 존재가 질적으로 전환된다. 외부세계중심의 소설에서 동일공간의 의미 변모 양상이 표현되는 작품은 「홍수」,「부역」,「산촌」의 『탁류』 삼부작으로 산간개간지가 중심공간이다. 이 작품에서 공간은 풍요로운 평화의 의미로부터 가난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또 이는 소작인이 배제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삶의 근원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부정적인 공간으로 변화된다. 내부세계중심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공간의식은 Ⅲ장에서 다뤄지며 이는 외부세계에 비해 공간이 축소되고, 이동보다는 그 의미의 변화가 주목된다. 내부세계는 집공간으로 구체화되는데, 이 공간은 긍정적인 공간과 부정적인 공간으로 분류된다. 집공간의 긍정성을 보여주는 작품은 집을 떠났던 인물들의 귀향과 변화된 생활공간에 정착을 시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귀향」계열과 「이념」계열로 나뉜다. 귀향과 집에의 정착 시도는 집공간이 지닌 본원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회복한다. 그러나 자신의 이념적 지향과 집공간이 주는 현실적인 삶의 모습의 괴리는 주인공들을 고통스럽게 만들고, 이로 인하여, 집공간에의 정착에 실패하게 된다. 정착실패의 과정이 나타나는 작품은 「보복」,「파도」 등의 계열로, 이 작품들에서는 집공간이 부정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결국 『탑』에서 나타나듯 집으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한다. 이와같은 공간의식을 통하여 한설야의 당시 현실대응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다룬 것이 Ⅳ장이다. Ⅱ장과 Ⅲ장을 통해 드러났듯이 외부에서 내부로의 공간의식의 협소화 과정은 작품의 미래지향성, 즉 전망의 부재 과정과 맞물려 있다. 이는 작가 한설야가 현실에 적응하는 과정이, 출옥 직후인 1936년 경에는 적극적이고 낙관적으로 진행됐으나 차츰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고 생활현실 그 자체에 매몰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작품 속에서 자신의 사상이 현실 속에 안주하지 못함을 고민하는 주인공이 처한 공간성에서 적절히 표현되고 있다. 한설야는, 1930년대 후반이라는 방황의 시기에, 자신의 사상을 쉽게 포기하고 현실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작품의 창작을 통해 치열하게 현실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비록 결론적으로는 좌절했으나 작품의 포기 혹은 이론의 경도가 아닌 작품의 생산을 매개로 현실대응의 방법을 찾아 나간 그의 모습은 혼란스러웠던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사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가능케 한다.;Han, Seol-ya, one of the key writers of the KAPF, overcame any formula which previous professional literature got and began to be engaged in writing works actively in 1935 when the KAPF was disorganized so that a new literature movement had to be searched. The limit of present estimations on Han. Seol-ya, however, is that he has been studied mostly as a writer of the KAPF but his novels are not analyzed in detail and his literature world is not understood generally.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he met his real world in the late '30s by applying a space concept to and analyzing his works published between 1936-1941. On the assumption that the space in literature is horizontal, first Han, Seol-ya's novels are classified into the novel of external world and that of inner world.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fomer, which in turn is classified into following process; One ontological conversion process as the space moves positively and another process where the meaning of space is changing as the same space is provided rather that the space moves. The novels which show the existential transfer process owing to the changing space are "Twilight", 'Limkum', 'A Railroad Junction', "Adolescence", and "Chohyang", whose every character moves from negative spaces to affirmative spaces so that the existence of each character changes in quality. The works of external world oriented novels where one same space comes to have different meanings are "Takryu-A Muddy Stream", a trilogy consisting of "Flood", "Compulsory Service", and "Mountain Village", whose typical space is a cultivated land in mountains. In this work the space changes from the rich and peace to the poor: Its space is deprived of a tenant and a fuction as the source of living, changing to a negative space. The third chapter looks into the space consciousness of his inner world oriented works. It is discovered here that their spaces are reduced comparing to his external oriented works and they are not able in that their meanings change rather than they move. Such an inner world is established in the house space, which then is classified into either an affirmative or negative one again. The works with affirmative house spaces can be categorizd either into 'homecoming' or 'Eenyung' one where one tries to fix oneself at home. These homecoming and effort to fix at home seem to recover original and affirmative meaning the house space has. The alienation between one's ideological inclination and the real life in his house space mskes his characters suffered and thus failed to fix themselves at home. Such a failure is shown in his works such as 'Revenge' and 'Wave' where the house space are drawn negatively and "Tower" which represents the escape from house. Han, Seol-ya's aspects to meet his real worl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space consciousness descrived above. It is discussed in the fourth chapter. As discovered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the process to narrow the space consciousness from outside to inside is engaged with the future orientation of the works, the process of no perspective. Seemingly, it tells that the author adapted himself to the real world positively and optimistically in 1936 when he got just discharged from prison but gradually was getting buried under the actual itself. It is properly expressed by the spaces where heros worry about their inability to fix their thoughts to the world. In the late 1930s when he was at odds with himself. Han, Seol-ya did not give up his thoughts willingly and adapt himself to the world but explored the world painstakingly through the various, creative works. Though he was upset finally, that he tried to meet the real world boldly, not through the abandonment of writing or his theories but through the creation of works helps to estimate the confusing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he late 1930s, affirma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