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英姬-
dc.creator金英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43-
dc.description.abstractArchitectural Environmen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consciousness. Especially housing space which restricts human deeds and thoughts is a basic element in our lift. So architectural environment which is suitable for our climate is needs and we must free our contemporary architecture from disorder and impersonality, We can get it through our ancestor's design principle which is accumulated not by intuitional method but by reasonable.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is obtained by visual perception mostly. So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object are explained by visual perception. In this view,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common and obje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Basic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Seeing objects is the understanding of structural charactericts. Gestalt's Law (the principle of Pra¨gnanz, equiblium, grouping and figure-ground) explains the basic concept of structural characteric. And the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include the Asymmetrical balance, proportion and structure of force which is related to visual force. Also it has a principle of unit. This is the basic principle to find the plane and spacial design concept. 2. Spatial Perception In Spatial Perception, wholeness is prior to other, and it has the order that is systematized visually. The order has law of good farm stabilization of enclosure and homeostasis.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spatial perception are as follows; 1) Light and Shadow 2) Time 3) Horizontality and Vertcality 4) Balance and Equilibrium The contrary element which is interpenetrated each other has a compensatory effects. The parts of the whole have a order And they are perceived tv continuity repetition and interdependence. 3. Spatial Perception in Open Space In Dae Chang (Korean wooden floor plan), wooden structural bodies are revealed completely. The rafter's arrangement shows cohesion and dispersion of power at the same time by space depth and sloping ceiling. 4. Spatial Perception in Close Space Ondol-room's size is small because it is made f3r Korean tradition life style, as it was, suitable to the custom of sitting on the floor, but it's space can be extended by opening the windows and continuity and depth of space are respresented. Especially, since the interior's color is monotone, interior space is perceived as one plane. The persons living in this space are exposed by these visual effects. In this space, wall flame of wall closet door become a visual accent. Lifting door make the space interpenetrate one another and produce the transformation in unity. 5. Visual Effects of Design Element Furniture are arranged from small one to large one. So it induce the unity and balance of space by natural flow of visual focus and motives repeated. A folding screen, a painting, a decorated pouf etc. as a decorative elements emphasized this visual effect. 6. Fences and Trees In Korean traditional exterior space, visual effects are made by principle of Cha Kyoung (regarding a exterior scenery as his garden's scenery) Fences emphasize these visual effects. L - Shaped fences are utilized to induce one's eye and step-shaped fences are utilized for dynamic visual effects. Trees having contrary effects with fence become a vista and a creterior in size of out-door-space. Fences and trees have a visual role that emphasizes the natural order in exterior space.;建築環境은 人間의 生活과 意識構造에 밀접한 關係를 지니고 있고 특히 住居空間은 人間 行爲와 思考를 限定것는 삶의 基本要素로 중요한 影響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現代의 無秩序하고 個性이 없는 建築空間으로부터 脫皮하여 우리의 風土에 適合한 건축환경의 정립이 필연시되고 있다. 이런 作業은 直感的인 靈感에 의한 것이 아니라 合理的인 方法에 의하여, 즉 우리의 선조들이 만들어 놓은 건축물을 연구하여, 基本的인 造形原理를 土臺로 發展시키는 方法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建築環境의 體驗은 人間이 가지고 있는 感覺중에서 視知覺으로 획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사물의 造形的인 特性은 시지각에 의한 原理에 의하여 說明될 수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사람이 事物을 視覺的으로 體驗할 때 일어나는 몇가지 體制化의 法則으로 整理하고 空間에서 일어나는 知覺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傳統住居內部空間에서 나타나는 造形的인 特性을 視知覺現象의 基本原理를 바탕으로 分析하여, 전통공간의 共通的이대 客觀的인 造形의 特性이 具體的으로 어떤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에 主力하였다. 그리하여 韓國의 고유한 美的價値를 이어가며, 우리에게 적합한 건축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方向提示의 一環으로서 本 硏究를 進行하였다. 지금까지 硏究로 살펴 본 視知覺特性과 傳統住居空間의 造形原理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視知覺의 基本原理 對象物을 보는 것은 全體的인 構造特性을 파악하는 것인데, 게스탈트법칙은 이런 基本的인 問題를 잘 說明하고 있다. 즉, 간결성의 법칙, 그루핑의 법칙, 균형, 그림-도형의 관계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다. 視知覺의 原理를 즘 더 살펴보면, 統一性의 원리, 視覺的인 무게와 관련된 非對稱均衡, 비례, 視覺的인 힘의 관계로 인한 힘의 構造등이 있다. 이런 原理는 平面的인 것뿐만 아니라 空間의 造形原理를 밝혀내는 기본이다. 2. 室間知覺 空間知覺에도 全體性이 우선되며 그 全體는 일정한 秩序가 존재하여 視覺的으로 體制化 된다. 秩序에는 좋은 形態의 法則, 테두리의 安定化, 항상현상이 있다. 이런 空間知覺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은 다음과 같다. 빛과 그늘 : 色彩와 質感을 知覺하게 하고, 공간깊이에 관여하며, 빛의 위치에 따라서 空 間의 이미지가 左右된다. 時間 :時間의 흐름에 따른 空間의 變化와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일어나는 視點의 變化로 空間知覺이 달라진다. 수평과 수직 : 空間에서 垂直性은 기둥이나 벽체에서, 水平性은 空間의 連讀에서 知覺된다. 또한 空間의 폐쇄성은 사람의 눈높이와 관계가 있으며, 높이에 따라 시각적 무게가 달라진다. 均衡과 平衡 '物理的 크기에 의한 均衡이 먼저 일어나고 다음에 形態, 質感에 의한 視覺的 均衡이 知覺된다. 서로 관입되어 있는, 相反된 要素를 가진 空間은 서로 相補性의 效果를 가지고 있다. 部分과 部分은 하나의 秩序속에서 全體를 이루고, 連續性, 反復, 相互依存에 의하여 統一性안에서 認知하게 된다. 3. 열린공간의 지각특성 열린공간의 대청은 木架構構造體가 그대로 드러나는데, 특히 천장에서의 서까래의 배열은 공간의 길이감과 天障面의 傾斜로 인한 힘의 凝集과 分散을 동시에 知覺하게 한다. 대들보는 視覺的으로 錯視現象을 强調하며, 천장면과 중첩을 이루어 空間感이 강하게 느껴지며 천장높이에 대한 視覺的 分節이 일어나는 特性을 가지고 있다. 壁面은 심벽구조로 나무의 質感과 회벽의 質感, 色彩의 對備로 인한 힘의 構成이 강조되어 강한 秩序를 느끼게 한다. 나무의 기둥과 인방이 만들어내는 線의 構成은 벽체를 분할하는 效果를 가져온다. 뒷벽면의 窓戶는 그림-도형의 관제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바닥인 우물마루는 힘의 균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렇게 대청에서는 여러가지 힘의 구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개방된 기둥사이로 움직임에 따른 視點의 變化와 時間에 따른 空間의 變化를 認知할 수 있다. 4. 닫힌공간의 空開特陰 온돌방은 좌식생활을 위한 크기로 되어 있어 작은 느낌을 갖게되나 空間을 擴張하여 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空間의 連續性과 깊이감이 강하게 知覺된다. 특히 마감이 單一色調로 되어있어 시각적으로 하나의 面으로 지각된다. 이것은 그 안에서 生活하는 사람의 存在를 강하게 나타나게 한다. 이런 空間에서의 視覺的인 악센트는 벽장문의 壁面構成에 있으며, 視線을 誘導한다. 들어열개 분합문의 演出은 空間과 空間의 상호침투로 융합된 공간을 만들어 내며, 통일감속의 變化를 가져온다. 또한 온돌방에서 窓戶의 연출은 비스타의 效果로 外部景觀을 調節하는 油果를 가져온다. 5. 意匠要素의 視覺作用 家具配置는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으로 配置하여 視線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反復되는 모티브로 空間의 統一性과 均衡을 가져온다. 裝師要素로의 병풍, 그림, 보료 등은 視線을 誘導하고 空間을 强調하는 역할을 한다. 6. 담장과 樹木 傳統空間의 代表的인 借景의 원리는 담장에 의해 강조되며, 視覺的, 均衡을 이루고 있다. 담장의 構成은 視線誘導를 위하여 꺽인 形態를 使用하기도 하고, 地形에 따른 계단식 구성은 마당의 背景으로서 역할을 한다. 나무는 담장과 視覺的인 對備效果를 가지며, 비스타의 효과를 만들어 내며, 外部景觀에 대한 조기의 基準으로씨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담장과 나무는 外部景觀과 全體의 秩序속에서 强調, 調和되어 實質的으로 視知覺의 側面에서 重要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과 意義 = 1 B. 硏究方法 및 範圍 = 2 Ⅱ. 視知覺現象의 理論約 考察 = 4 A. 視知覺의 槪念 = 4 1. 視知覺의 定義 = 4 2. 視知覺의 知覺過程 = 5 B. 視知覺의 原理 = 8 1. 게스탈트의 基本問題 = 8 2. 統一性의 원리 = 14 3. 均衡의 原理 = 16 4. 比列 = 19 5. 視知覺의 力學原理 = 19 C. 視知覺과 空間知覺 = 23 1. 空間知覺의 構造 = 23 2. 空間과 빛, 時間 = 26 3. 수평과 수직 = 29 4. 均衡과 平衡 = 31 5. 空間의 相關作用 = 34 6. 全體와 部分 = 38 Ⅲ. 傳統住居空間의 視知覺現象 分析 = 41 A. 木造架構式 構造로서의 空間知覺 = 41 1. 水平要素인 天障과 바닥의 知覺作用 = 41 2. 垂直要素인 기둥과 壁體의 지각특징 = 48 B. 視知覺原理로 살펴 본 傳統空間 = 64 1. 좌식생활에 따른 지각 특성 = 64 2. 열린 窓門에서의 知覺特徵 = 69 3. 닫힌空間의 知覺特徵 = 77 4. 개구부의 視覺效果 = 84 5. 열린공간과 닫힌공간의 相關作用 = 88 C. 內部空間 意匠要素의 視知覺特性 = 92 1. 家具配置와 視覺的效果 = 92 2. 內部裝飾과 視覺效果 = 99 D. 外部空間과 담장의 視知覺特性 = 104 1. 담장의 視知覺 分析 = 104 2. 담장과 樹木關係로 본 視覺的 效果 = 110 Ⅳ. 結論 = 113 參考文獻 = 118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95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통주거공간-
dc.subject시지각현상-
dc.subject전통공간-
dc.subject장식미술-
dc.title傳統住居空間의 視知覺現象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henomenon of Visual Perception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dc.format.page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