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高麗中期 南京에 대한 一考察

Title
高麗中期 南京에 대한 一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Namkyung in the Middle Koryo Dynasty
Authors
權純馨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고려중기남경문종인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one of the four capitals of the Koryo Dynasty, Namkyung(南京) was first instituted at the year of Munjong 21th, parthy because of its geographical importance increased by the completion of such political and economical systems as Kwanjae(官制, a governmental system), Chunshikwa(田柴科, a land system) and Nokpongjae(祿俸制, a bureaucratic payment system), and also part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bureaucrats from the middle districts of the kingdom. And, being once abolished temporarily in the age of King Munjong, later it was reinitiated by King Sukjong. The reason was because King Sukjong, who had been aided by the political influence from those from Suhkyung(西京), intended to have another political power which would hold the forementioned power in check. From this time on Namkyung functioned as one of the four major Koryo capitals, until its being reorganized into Hanyangpoo(漢陽府) at the year of king Choongyeol 34th. Districts of Namkyung involved the area of wide ranges including present Seoul, Incheon, Soowon, Boopyong and Kangwha; and there were such governmental officials as Yoosoo(留守), Puyoosoo(副留守) and Pankwan(判官). For the bureaucrats from Namkyung, in the age of Munjong, most of them were those who appeared to the front political stage as descendants of meritorious retainers; and, in the age of Sukjong, they consisted of people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King, but, small in its number. And, in the age of Yaejong, there were various branches of newly emerged bureaucrats including rising small and medium official s and those from a clan of Yinchoe-Yi (name of family origin) as well as the circles of influence from the ago of Sukjong. Therefore, some balance in political powers could be achieved in the age of Yaejong between the king and the noble class, the noble and newly arising powers and at so inter noble classes. King Yinjong accessing to the throne at his young age, however, this equalibrium were to be collapsed; after all,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alance in political powers between the parties of Sukkyung and Namkyung were to be brought about. Thu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Namkyung occurred in the Middle Koryo Dynasty was in close relations with sovereign rights.;南京은 고려시대 4京 중의 하나로서 문종 21년 설치되었다. 남경이 설치된 동기는 문종조의 官制·田紫科·俸綠制 완비 등에 따른 남경의 지역적 비중에 기인한다 하겠다. 또한 현종 이후 중부지방 출신자들의 대두 역시 1요인이 된다 할 수 있다. 그런데, 남경은 문종조에 일시 폐지되었다가 숙종조에 재건된다. 그 이유는 즉위시 서경 세력의 도움을 받은 숙종이, 이들을 견제할 또 다른 세력을 원했기 문이다. 이후 남경은 충렬왕 34년 漢陽府로 개편될 때 까지 고려 4경의 하나로서 기능하였다. 남경의 구역은 현재의 서울 및 인천·수원·부평·강화 등을 포괄하는 넓은 지역이었고, 남경에는 留守·副留守·判官 등의 관리가 있었다. 이들은 동·서경 관리들과 官品은 같았으나, 祿俸額에는 차이가 있어, 서·동·남경 순이었다. 그러나 이 차이는 점점 줄어들어, 인종 때 가서는 동·남경이 같아지고 서경은 조금 높은 정도로 되었다. 이것은 곧 남경 지위의 상승을 의미한다 하겠다. 또한 왕은 때때로 서·남경에 순행했는데, 숙·예종代는 횟수가 거의 같으나 인종代에는 서경에 일방적으로 기울어져, 양 경의 균형이 깨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경의 기능을 보면, 남경은 우선 租稅업무를 원활히 하여 고려의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시켰다. 또한 지방제도 면에서 그 지역에의 통제를 강화해 중남부지역의 통치를 원활히 했다. 그리고 귀족들의 물적 기반을 통제해 국가재정을 충실히 하기도 하였다. 또한 대외무역에도 일조를 해 고려의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는 역할도 했다. 다음, 남경 출신자들을 보면, 문종 때는 주로 功臣후예로서 현종 이후 등단한 자들이고, 이들은 기존 세력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왕과 밀착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왕은 이들을 기반으로 남경을 설치해 새로운 세력 근거지를 만들어 보려 했으나, 이들 세력이 역모 사건 등을 통해 문종 후반 이후 지속되지 못했고, 반면 仁州李氏 세력이 지나치게 강해져 왕은 새로운 京의 설치지를 모색하게 되었다. 숙종 때는 남경 출신자들이 숫적으로도 적고 지위 상으로도 낮아 숙종의 남경 재건을 어렵게 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예종 때 정계 요직에 있게 되고, 예종 때는 또한 이들 외에 신진 관료·중소 귀족, 그리고 인주 이씨를 비롯한 대귀족 등 다양한 세력이 등장, 귀족과 귀족, 귀족과 신진 세력 간 상호 균형을 이루었다. 그러나 인종이 즉위하면서 먼저 이 중 신진관료가 제거되고, 이 때문에 귀족·신진 세력 간의 균형이 붕괴되었으며, 다시 이자겸 제거 후 귀족 간 균형 역시 붕괴되어, 정국은 파국을 맞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결과 서·남경 간의 균형 역시 붕괴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남경은 문종 때 그 단서를 열었고, 숙종 때 설치가 본격화되었으며, 예종 때 開花되었다 하겠다. 그리고 그 성쇠는 王權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