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韓國農村의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

Title
韓國農村의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
Authors
宋終淑.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농촌사회이동유전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國內人口 移動의 主流는 農村으로 부터 都市로의 移動이 대부분 이다. 이러한 人口移動은 農村으로 부터 都市로의 단순한 地域的 移動만을 意味하는 것이 아니라 社會的 戰業的 地位의 上昇을 수반하는 移動이기도 하다. 農村의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는 韓國農村社金構造 내지 都市社會를 理解하는데 간과되어서는 안 될 重要한 課題이다. 이 硏究는 韓國農村의 根幹을 이루어온 同族部落을 事例로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를 試圖하였다. 同族部落의 基本的 要素인 血綠 과 親族紐帶가 社會移動의 原因, 過程, 結果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고 있는가를 把握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假設하에 調査하였 다. 1. 同族部落에 있어서 家族 및 親族紐帶는 社會移動의 動機와 過程 및 結果에 많은 影響을 미칠것이다. 2. 同族과 非同族에 있어서 移動의 動機 過程 등은 서로 다를 것이다. 3. 同族部落의 社會構造가 女性의 社會移動에 있어서 拘束力으로 作用할 것이다. 4. 同族部落의 血綠과 親族的 紐帶는 移動의 過程에 있어서 積極的 機能을 함과 동시에 移動后에도 그들은 계속적으로 本家와의 紐帶關係를 맺고 있을 것이다. 5. 移動한 家族들간의 都市에서의 親族關係는 構造的으로 變化를 일으킬 뿐이며 傳統的 擴大家族의 本質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위와같은 假設에 따라 硏究方法을 社會學的 統計方法과 社會人類學的 現地參與觀察方法 및 事例硏究法을 兼한 것이다. 調査는 2차례에 걸쳐서 실시되었다(1975년 12월 1월~12월 10일, 1976년 2월 20일~2월 29일) 部落의 家口는 113家口이고 이중 109家口가 調査完了되었으며 이동자 126명을 對象으로 분석하였다. 이 硏究는 한 同族部落의 社會移動에 關한 調査結果를 分析한 것이므로 韓國農村 全般에 걸친 社會移動의 一般的 理論을 提示하는 것은 不可能하다. 다만 綜論으로서 調査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移動形態는 크게 個人移動과 家族移動으로 나눌 수 있으며 移動性이 둔한 家族移動보다 個人移動이 많다. 本調査 結果에 의하면 개인이동자는 전체의 77%이고, 移動當時에는 單獨으로 移動 하였다가 분가하지 않은채 도시에서 가구를 이루고 있는 형태가 약 20%정도이었다. 2. 移動者들의 現居住地는 거리가 가까운 부산과 대구가 가장 많다. 이러한 地域的 移動의 結果는 個人의 職業移動을 가져왔지만 이것이 곧 階層的인 上昇을 가져온 것은 아녀였다. 그리고 가져왔다 하더라도 수직적 이동의 폭은 넓지 못하였다. 3. 移動의 原因은 매우 복합적이며 다양하다. 經濟的 理由로 인하여 移動하는 사람이 가장 많다.(75.4%) 姓氏別로 보면 단순히 經濟的 目的으로 移動하는 사람은 同族보다 非同族에 있어서 더욱 많았다. 이외에도 敎育의 機會, 遲延된 家族移住現象에 의한 家族關係, 連鎖的 家族移住 現象을 일으키는 血綠과 親族紐帶 및 同族紐帶가 移動의 促進 要因으로 作用하였다. 또한 村落內部에서의 孤立感이나 傳統的 身分關係에서 오는 낮은 階層에 대한 不滿은 部落으로 부터 이탈을 促進시켰다. 4. 敎育은 社會移動의 上昇手段으로서 중요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에 同族 非同族間의 차이없이 父母의 子女에 대한 敎育希望程度가 높았다. 5. 移動의 過程에 있어서 대부분이 四寸이나 親知의 緣故를 통하여 移動하고 있다. 同族은 非同族에 비하여 親戚에 의한 이동이 더욱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써 同族部落의 血綠 및 親族的 紐帶는 移動의 原因 뿐만 아니라 移動의 過程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1960년대 産業化와 農村人의 價値觀의 變化는 社會移動을 促進시킴에 따라 女性의 社會移動도 증가하였다. 同族과 非同族別로 보면 여자이동자수는 비슷하였다. 동족으로서의 威勢體系가 女性의 社會移動에 있어서 拘束力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오히려 同族成員들의 親族關係가 여성의 이동을 促進시키는것 같다. 7. 移動后에도 移動者들은 農村家族과의 紐帶關係를 맺고 있다. 往來回數는 년간 2~3回가 가장 많고 시기적으로는 추석이나 명절에 農村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農村에서 都市로 가는 경우는 秋收를 마친후 농한기를 이용하여 도시에 있는 가족이나 親戚을 방문한다. 이들의 紐帶關係늘 經濟的으로 相互依存 함으로써 緊密하게 維持되고 있다. 8. 都市에서의 適應過程에 있어서 親族關係는 經濟的 情緖的 社會的으로 積極的 機能을 한다. 가장 가깝게 지내는 친척은 3~4촌간이며 보편적으로는 8촌까지 親戚의 범위에 넣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15촌 또는 20촌까지 친척의 범위에 넣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9. 同族部落의 傳統的 據大家族은 構造的으로 核家族化하고 있지만 한 部落을 중심으로 形成되었런 血綠 및 同族集團은 社會移動의 過程을 통해 都市로 移動하면서 그들의 生活圈을 擴大하고 있다.;Internal migration moves mainly from rural areas to urban complexes. (Rural-urban migration) We shall define the migration not only to mean the regional migration but also movement to achieve the higher social position. The study of social mobility in the rural society is the basic thesis to understand both the social structure of the Korean Rural Society and the Urban social structure. I studied social mobility in a consanguineous village which had constituted a basic social structure of Korean Rural Society. How blood-relations and kinship relationships, elements of consanguineous village structure, were influenced on the caus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mobility? The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1. Kinship relationships of a consanguineous village structure shall be influence on the caus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mobility. 2. Consanguineous and non-consanguineous groups shall still show a difference not only in motives and processes of migration, but also a women's social mobility. 3. Kinship relations in the urban setting between migrated families is in its transition stage structually, but the basic nature of traditional extended family will not easily be dissolved. To achieve the research problems, the reporter took the statistical method and the case-study method. The formal interviews, informal interviews and observotions during field survey. 109 households of total 113 households were interviewed and 126 migrants were analysed. Because this research who analysed the survey materials from a consanguineous village, it's impossible to implicate the general social mobility theory which may be meaningfully explained in the Korean rural setting. But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atterns of migrants mainly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Migrants and Households Migrants. Our data, Individual Migrants were much more than Household Migrants : the former was 77% of the total. 2. The proportion moving to Pusan and Daigu is striking. (respectively 30%) Consequence of this geographical mobility was consistant with occupational mobility, but social distance moved vertically was narrow. 3. The causes of migration is much complexed and various. It is generally established that economic factors may be singled out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rural-urban migration (75.4%). Non-consanguineous members who moved out to earn money simply were more than consanguineous members. In addition to, opportunities for education, family situations, kin networks, personal networks in the village and dissatisfaction from old caste system were accelerated a mobility. 4. In view of the fact that education is a most powerful and efficient means of upward social mobility in this rural area, both consanguineous and non-consanguineous wanted for their children to have a opportunity for a higher education. 5. Overall, most of the migrants already had family members or other relations living in the new areas (urban). According to our data, especially, consanguineous members had more relatives established in new areas prior to migration than non-consanguineous members. 6.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 in traditionalistic values accelerated the social-mobility, so unmarried women migrants also increased in number.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sanguineous and non-consanguineous groups in proportion of migrants. 7. After movement, migrants had maintai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members remaining in the rural area. The frequency of visits was two or three times per year and this relationship had maintained strongly as for a mutual dependence economically. 8. The closest circle of kins who were keeping contacts in urban were in limited to 3-4th joints and generally recongnized kins were in limited 8th joints. Bu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ccording to people. As a result of case study method, there was a case to recongnize to 15th joints or 20th joints. 9. The traditional pattern of extended family changed into the trend toward the nuclear family, but kingroups was lived in one village extended their areas of residence moving to urban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mo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