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朝鮮時代 廣州 仙東里窯에 대한 硏究

Title
朝鮮時代 廣州 仙東里窯에 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TTERY OF SUN-DONG-RI OF CHO-SUN DINASTY
Authors
趙慶淑.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조선시대광주선동리요도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陶窯址의 調査硏究는 陶磁器의 製作場所, 製作方法,製作年代 등을 밝히는데 있어 기본 방법이다. 현단계에서 文獻의 記錄이나, 編年資料가 적은 실정에서 陶窯址의 조사와 수집된 陶片은 매우 중요한 資料가 된다. 京畿道 廣州郡 一帶는 朝鮮時代 分院이 집중적으로 영위되었던 관계로, 이곳의 조사 연구는 朝鮮時代 陶磁器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일이 된다. 本槁는 朝鮮朝 17세기 司饔院의 分院으로서 제작활동을 한 仙東里第2號窯의 性格과 그 樣相에 대한 考奈을 陶片을 통해서 시도한 글이다. 먼저 仙東里第2號窯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本論 第Ⅱ章에서는 仙東里第2號窯를 文獻上 明記되어있지 않으나, 分院으로서 이해하고자, 司饔院의 分院에 대한 關係資料를 정리해 보았으며, 仙東里第2號窯를 前後로 한 分院의 樣相, 그 후의 分院이 移動되는 과정을 개관하였다. 朝鮮時代 司饔院의 沙器製造所로서의 分院이 廣州地方에 언제부터 설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다. 文獻 기록으로는 司饔房이 司饔院으로 개칭된 世祖7年 (1468) 이후, 編年資料로는 中宗 年間에 刊行된, 成俔의 「용제총화」의 沙器에 관한 내용, 「新增東國輿地勝覽」, 廣州 土産條에 보이는 기록 등으로 미루어 보아 15세기 후반경에는 廣州地方은 官窯의 성격을 분명히 띄었으리라 추정된다. 그러나 "分院"이란 명칭이 최초로 보이는 기록은 仁祖3年(1625)에 分院所設處를 他處로 옮기려는 계획에 관한 기록에서 이다. 한편, 分院의 이동이 약 10年을 주기로 계속되면서, 仙東里第2號窯에 정착된 시기는 17세기 중엽경인 1640-1649 년간임이 거의 分明하다. 이 窯址로 부터는 10年分의 干支가 모두 出土됨으로서 위의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本論 第Ⅲ章에서는 仙東里第2號窯의 表土採集 陶片을 對象으로 種類別, 器種別로 나누어 考察하면서, 17세기 仙東里第2號窯의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周知하듯이 仙東里第2號窯 出土 白磁의 樣相은 16세기 후반으로 부터 壬亂以後의 특징이 그대로 지속된 것으로서, 15세기 雪白磁와는 거리감이 있는 淡靑灰白色의 白磁가 主流를 이루게 된다. 예컨데 鐵繒白磁는 龍紋樣을 중점적으로 考察하였다. 이는 15·16세기의 鐵繒白磁와는 紋樣, 構成 및 技法 등에서 性格을 달리하고 있는, 이를테면, 朝鮮的 요소가 加해지면서 한국화되어 가는 과정으로서, 紋樣의 布置, 構成등에 있어 그 前代에 비해 中國과는 다른 樣相을 띄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龍紋樣의 變化가 시작되는 시기는 分明히 밝힐 수는 없으나, 대개 壬亂以後라고 생각되며, 17세기 후기로 갈수록 한국화의 경향은 더욱 뚜렷하여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壬亂以後 중국으로 부터 回回靑의 수입이 어려웠기 때문에 靑華白磁의 제작은 곤란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안료 구입이 용이한 鐵繒白磁로 대치되면서, 靑華白磁는 극히 제한된 量이 만들어 졌음을 보여주는 것이 仙東里第2號窯의 樣相이다. 仙東里第2號窯의 靑華白磁片은 소수이간 하지만, 16.17세기의 廣州窯址에서 靑華白磁片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현 실정에서 이 시기의 靑華白磁의 編年, 樣式變遷의 체계를 세우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고 있다. 仙東里第2號窯의 靑磁는 朝鮮靑磁의 특징인 白胎靑磁가 主種이며 組質靑磁가 많이 伴出되는 등, 朝鮮靑磁가 사라져 가는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本論 第Ⅳ章에서는 仙東里第2號窯의 編年設定을 시도하였다. 王子 仁興君 子女들의 墓誌, 胎誌, 胎壺의 干支와 炭筏里窯, 祥林里窯에서 出土되는 干支가 있는 陶片들과 일치됨으로 해서 유추되는 仙東里第2號窯의 編年은 1640-1649년으로 설정되니, 이것은 거의 틀림없으리라고 본다. 이 결과 17세기 干支가 出土되는 다른 窯址群의 年代도 세울 수 있었다. 最近에 分院에 대한 연구와 관심도가 고조되면서, 仙東里第2號窯는 1985年 史蹟으로 지정됨과 거의 동시에, 梨花女子大學被 博物館이 中部高速道路 工事 關係로 문화재관리국으로 부터 수습발굴의 의뢰를 받아 1986年4月1日~4月30日까지 발굴한 중요한 窯址이다. 이와 같은 학술적인 발굴조사와 本 論文에서 다룬 陶片에 의해서 仙東里第2號窯는 朝鮮時代 分院의 移動 關係 파악은 물론 17세기 白磁의 樣相 究明에 一翼을 담당하리라 본다.;The study of a pottery is a research that elaborate the place, the method, and the year of works. The study of the pottery and collected broken piec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of lacks of documents and chronological materials. The investigation of a pottery of Kwang-ju, Kyeong-Ki-do is which there were many branch potteries, will be a systematical research of the ceramic war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un-dong-ri pottery that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branch pottery in 17th century. In chapter Ⅱ, I attempted to arrange documents of historical background of Sun-dong-ri pottery and the branch pottery of Saong-won, the aspects of every branch pottery, and, afterwards, the course of travel of pottery. It is not certain when the branch pottery was installed in Kwang-ju. It is guessed that, in records, the installment was in 1468 (Se-jo 7) when the name Sa-ong-bang was renamed by Sa-ong-won, in chronological materials, it was in the beginning 16th century (Jung Jong period) considered to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Young jea Chong Wha of Seng Hean, and Sin jeung dong gook yeou ji Sung ram Kwang-ju to san jo were recoreded. But the name of "branch pottery" appeared in the record of moving a branch pottery into other place in 1625 (In-jo 3). We, therefore, can consider that "the branch pottery" was established as an official pottery in late 15th century. The time when the branch pottery settled down in Sun-dong-ri presumes from 1640 to 1649. The fact that the ten year-sexagenary cycles were excavated from this pottery, will verify the presumption. In chapter Ⅲ, with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ieces of sun-dong-ri pottery, I in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is pottery as a symbol of white-ceramic. The patterns of white-ceramic of Sun-dong-ri pottery consist of Blue-Gray-White-Ceramics different from snow-white-ceramic in 15th century. White ceramics of 17th century have figures of dragons which are different from chinese ceramics. Although we cannot definite the changes of dragon patterns, it is presumed that they appeared after the Im-jin Japanese invastion. The trends of Korean painting in White-ceramics would be apparent in 17th century. After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wing to difficulties of import of cobalt from china, the product of Blue and white ceramic was not easy. As a result, Blue and whites were substituted with chul-hway white-ceramic of which material was easy to get, and from sun-dong-ri pottery, a few Blue and white ceramics were produced. The pieces of Blue and White are very important to systemize the chronological document and changes of styles of ceramics in 16 and 17th century. The ceradon porcelains excavated from Sun-dong-ri pottery are almost Baek taei Cheng ja and many of them are inferior in quality. These facts show us that cho-sun ceradon porcelains were disappearing. In chapter Ⅳ, I attempted to establish the chronology of Sun-dong-ri pottery.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exagenary cycle of tombs of prince In-heung-Kun and that of Tan-bul-ri and Sang-im-ri potteries, the chronology of Sundong-ri pottery can be established from 1640 to 1649. As a result, I could establish the chronology of other potteries which excavated the sexagenary cycle of 17th century. At the same time that Sun-dong-ri pottery was designated as a historic spot in 1985, it was excavated by the members of the museum of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st April to 30th April, 1986. This kind of scientific excavation and the pieces from Sun-dong-ri pottery will make the moving of branch pottery in Cho-sun dinasty apparent, and will examine the aspects of ceramics of 17th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