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Claudel의 희곡작품에 나타난 l'amour에 대한 연구

Title
Claudel의 희곡작품에 나타난 l'amour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l')Amour dans le theatre de Paul Claudel a travers le Partage de midi et Le Soulier de satin
Authors
서혜옥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ClaudelamourSoulier de satinPartage de midi불어불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ans la pre´sente e´tude, nous avons essaye´ d'aborder plusieurs aspects de l'amour chez Claudel. D'abord, en analysant le drame du^ a` l'amour irre`alisable, dans le Partage de midi, le Soulier de satin, de´couvert que tous les proble`mes sont axe´s sur l'jncompatibilite´ de l'amour terrestre avec l'amour divin: si l'amour dans ce monde n'est jamais possible entre deux personnages dramatiques, c'est parce que chacun de ceux-ci conc¸oit que son amour est on contradiction avec celui qui'il porte a` Dieu. Donc, pour saisir plus nettement l'intention de Claudel qui peint sans cesse l'amour de cette nature, nous avons regarde´ de plus pre`s les ve´ritables visages de l'amour dans le Partage de midi et Le Soulier de satin ou` Claudel s'est pleinement attache´ aux recherches de cette question. Enfin nous avons trouve´ que dans l'oeuvre de Claudel, cet amour frustre´ se re´ye`le comme des ve´hicules par lesquels l'e^tre humain connai^t Dieu et obtient de celui-ci le salut. Cet amour coupable et irre´alisable conduit les he´ros a` Dieu par les moyens de crimes et d'humiliations, ou de sacrifices et de re´signations Alors, il nous e´tait ne´cessaire d'e´tudier le co^te´ religieux de ces drames, pour mieux comprendre l'intention e´venge´lique que l'auteur voulait manifester dans ses oeuvres, afin de convertir l'amour passionnel en l'amour divin. Pourtant, nous n'avons regarde´ les ide´es the´ologiques de cet auteur qu'en tant qu'e´le´ments de critique, car nous croyons qu'une oeuvre litte´raire ne peut jamais e^tre purement et simplement une illustration des convictions religieuses personnelles. Par cette observation, nous avons pu de´voiler que les pense´es the´ologiques de Claudel portent en elles-me^mes quelques questions absurdes. En plus, nous avons e´te´ surprise de voir que c'est justement ses certitudes the´ologique, quide´te´riorent, dans une certaine mesure, la qualite´ litteraire de son oeuvre. Il nous a semble´ que toute fragilite´ dramatique provient de la conviction religieuse chez cet auteur. Aussi notre regard est-il focalise´ sur l'amour-passion, parce que c'est surtout gra^ce a` cet e´le´ment purement humain que les drames de Claudel reprennent perpe´tuellerment leur vitalite´, malgre´ i'intention instructive que l'auteur voulait y introduire. En de´finitif, nous sommes amene´e a` constater que les he´ros claude´liens sont, avant tout, des e^tres humains en chair et en os ils ont des conflits et des contradictions en eux-me^mes. Tanto^t ils exaltent et glorifient l'amour-passion, tanto^t ils en souffrent dans la voie ou` ils sont engage´s pour s'acheminer vers Dieu. C'est pourquoi nous avons e´tabli notre point de vue sur les aspects purement humains, parce que le the´a^tre claude´lien est surtout un espace dramatique dans lequel l'amour et la passion des personnages s'entreme^lent pour cre´er des situations complique´es, le proble`me de gra^ce et de salut e´tant tout a` fait secondaire.;이 글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drame라는 점에 착안하여, 일련의 동일선 상에 있는 Partage de midi와 Le Soulier de satin이라는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우선, 그 극적 구성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이들 작품은 한 여자와 세 남자 사이에서 전개되는 사랑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두 남녀 간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결국 神을 인식하고 구원에 이르는 수단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그 실현 불가능한 부도덕(coupable)한 사랑은 이 작품의 주인공들로 하여금 죄악과 굴종, 또는 희생과 체념에 의해 神에게로 귀의하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Claudel의 교화적인 의도는 오히려 극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손상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여겨지기에, 그 점을 규명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아울러, 다음 장에서는 여주인공의 면모와 하나로 결합되지 못하는 두 남녀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drame라는 측면에서 다시 한 번 이들 작품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Claudel의 여주인공들은 한결같이 <이루어질 수 없는 약속>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이들 작품에서는 神에 대한 사랑(l'amour divin)과 인간에 대한 사랑(l'amour-passion) 사이에서의 갈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는 주제를 반복하게 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마지막 장에서는 l'amour divin과 l'amour-passion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이들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 처음에는, l'amour-passion을 l'amour divin으로 전환시키려는 교화적인 의도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이들 작품에 대해, 거기에서 전개되고 있는 신학적인 이론들을 비판적인 안목으로 바라보게 되었는데, 그것은 문학 작품이 한 작가의 종교적인 신념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는 개인적인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여기에 이어서, Claudel의 종교적인 의도가 지나칠 정도로 내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극작품으로서의 면모를 상실하지 않은 채 그 놀라운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기에, l'amour-passion이라는 새로운 각도에서 이들 작품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이를 통해, Claudel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내부에 모순과 갈등을 간직하고 있는 인간적 존재에 불과하며, 구원에 도달하기 까지의 과정에서 인간적 정열을 마음껏 발산하고 그것을 예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고찰을 통해 얻게 되는 결론은, Claudel의 작품이 神의 은총과 구원을 역설하기에 앞서, 인간의 정열을 예찬하는 인간의 drame라는 사실일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