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趙潤美-
dc.creator趙潤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3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65-
dc.description.abstract초록(Abstract) 수록;본 논문은 고려와 조선에 걸쳐 향유되었던 고려가요의 실상을 해명해내기 위한 작업으로, 고려가요에 관해 언급한 여러 역사적 자료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연구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章에서는 대상으로 삼은 자료들을 시대, 기록자, 형태, 기록유형별로 검토해 보았다. 여기서 그동안 고려가요 연구의 핵심적인 자료였던 문헌들의 성격이 세밀히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청되었다. Ⅲ章에서는 후대의 수용과정에 부여된 의미를 鄙俚之詞, 男女相悅詞淫詞, 佛家之語로 파악하여 각각의 용어가 사용된 실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용어자체가 지닌 의미와는 달리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위의 의미들이 대부분 비판적 관점에서 부여된 영역이었던 반면 전승과정은 계속되었던, 기록과 향유 상황과의 차이가 밝혀졌다. 그러므로 자료에 서술된 표면적인 의미를 그대로 고려가요에 적응하는 태도는 고려가요의 성격을 추출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이 밝혀졌다. Ⅳ章에서는 前章에서 유형화된 다양하고도 광범위한 가치 규정들이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관찬자료의 기록내용이 향유실상과 다른 이유도 해명되었다. 여기서 조선왕조의 지배층이었던 유학자들의 성격에 따라 편찬의 목적이 설정되었고, 그 목적과 더불어 고려가요의 평가에도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미규정은 향유의 실상과는 달리 명분화인 경우였다. 개인적 차원에서 서술된 내용들은 주로 유학의 철학적인 樂論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의 순수한 성정의 발로로서 나타난 음악을 훌륭하다고 간주했지만 당대의 음악상황은 여기에서 동떨어져 있었으므로 고려가요를 포함한 주변의 음악을 비판했던 것이다. Ⅴ章에서는 연행상황과 관련된 고려가요의 성격과 이것들이 각 작품에 나타난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파악되는 고려가요의 단절 · 불연속성의 구조와는 다른 相悅 · 淫詞의 평가를 받았다는 모순적인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고려가요에 내려졌던 평가는 후대의 새로운 인식에서 형성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고려가요의 긴 수용과정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문화상황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총체적인 고려가요의 장르실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is thesis investigates Koryogayo (高麗歌謠)as a cultrual phenomenon through two consecutive dynasties, Koryo and Chosun. And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how differently Koryogayo was acknowledged between these two dynasties which contained different ideology. Method of this study is beyond the philological attitude that refer to the literary works itself and identify it's character under the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background of music. The meaning of Koryogayo made in Chosun Dynasty can be represented in four category; Birijisa (鄙俚之詞), Namyosangyeoljisa (男女相說之詞), Eumsa (淫詞) and Bulagajiu (佛家之語). The others of the above, except the last one, were accepted as extremely decayed and amorous aspects of Koryogayo. But such evaluation had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change of political character over three period-the beginning of Chosun Dynasty, King Sungjoing, King Jungjong. Actually they enjoyed Koryogayo which took a significant role it that time, but on the other hand they were in a position to criticize it to protect their political idea from he opposition and to make denial of Koryo Dynasty falled with revolution. As a result of that policy the number of Koryogayo such as Manjeonchoon(滿殿春), Seokyeongbyeolgok(西京別曲), etc. came to be a target of criticism and prohibited from playing formally. Koryogayo was runned continuously over a century after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notwithstanding it was made recommendation by the Confucianist to the government to stop performing Buddist music under the name of sufforting Confucianism. Therefore Koryogayo which can be founded in the materials publicated by the a government was different from it's true picture that succeeded from Koryo and held by Chosun period. Individually the Confucianist, especially in the case of Sarim(士林) whose philosophy was on the basis of Seongrihak(性理學), refuted Koryogayo when they discussed musical phenomenon of that time. Directly they criticize musical atmosphere of those days that indulging in pleasure because they regarded a kind of music which could express purified human nature as a admirable music. Under this discussion, Koryogayo turned out to be rather a genre which was held in a boundary of political idea than a literature that reflected the chaos in the end of Koryo Dynasty. And main materials likes Koryosakji(高麗史樂志), Chosunwangjosilrok (朝鮮王朝實錄)etc, showed that they were written in a justifying view of their political charact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riticizing on Koryogayo outwardly, just because it sang of love theme between man and woman without regarding of their literary structure-for example, seper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world. It was revealed that Koryogayo was not enjoyed and performed centering around the King. S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helpful to prove that Koryogayo was not an exclusive possession of the upper class but one of a musical policy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folks and spread to the people ag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史 정리 및 문제제기 = 1 B. 연구 대상 = 5 C. 資料의 範圍 = 7 Ⅱ. 자료의 書誌的 검토 = 9 A. 時代 = 9 B. 記錄者ㆍ編纂者 = 11 C. 자료의 形態 = 12 D. 작품의 記錄類型 = 20 Ⅲ. 수용 과정에서 부여된 의미 = 28 A. 鄙俚之詞 (俚語) = 28 1. 表現言語의 측면 = 31 2. 가사 내용의 格調 = 34 3. 變風의 의미 = 41 B. 男女相悅之詞 = 44 C. 淫詞 (辭) = 48 1. 變秦曲에 맞추어 부른 노래 = 48 2. 男女의 情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 = 50 3. 王朝讚揚에 反하는 노래 = 56 4. 일반 街巷의 노래 = 59 D. 佛家之語 = 62 Ⅳ. 意味設定에 作用한 影響의 要表 = 66 A. 政治的 名分化와의 相關關添 = 66 1. 朝鮮初의 舊樂整理 = 66 2. 成宗代의 鄕樂整備 = 78 3. 中宗朝의 女樂是非 = 88 B. 유학자들의 音樂文化的인 思考와 고려가요 = 98 1. 中國聲音과의 차이 인식 = 99 2. 유학적 예술관과 고려가요와의 관계 = 103 Ⅴ. 受容楊相의 측면에서 본 고려가요의 성격 = 119 A. 演行에 관련된 성격 = 119 1. 歌詞의 성격 = 119 2. 향유층 = 122 3. 演行者 = 130 4. 演行狀況 = 135 B. 문학적인 성격 = 139 1. 鄙俚之詞 = 139 2. 男女相悅之詞 = 141 3. 淫詞 = 145 4. 佛家之語 = 148 Ⅵ. 結論 = 149 參考文獻 = 153 ABSTRACT = 1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947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려가요-
dc.subject수용양상-
dc.subject조선-
dc.subject정치문화-
dc.title高麗歌謠의 受容樣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朝鮮朝 政治·文化狀況과의 關聯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cepting Phenomenon of Koryogayo : in relationship with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 in Chosun Dynasty-
dc.format.page1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