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16世紀 勸蠶政策과 養蠶業에 대한 一考察

Title
16世紀 勸蠶政策과 養蠶業에 대한 一考察
Other Titles
(A) Study of the Sericulture and the Policy in the 16th Century Chosun
Authors
南美惠.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권잠정책양잠업16세기농상교서한국역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木稿는 16世紀 士林系의 養蠶政策과 鄕材에서의 養蠶 實態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16世紀는 政治·經濟·社會등 全面에서 변동이 일어나고 있었으며 특히 鄕村에서의 經濟변동은 심각한 것이었다. 在地的 성향을 가진 中宗代 士林系들은 이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養蠶에 주목하게 되었다. 당시 地方에는 傷市가 성립되어 있었고, 京中에서는 사치풍조가 유행하여 비단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었다. 이는 蠶業이 副業으로서 정착될 수 있는 시대적 여건이 조성되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成宗代에 폐지하였던 蠶室을 中宗代에 다시 設置하고, 보다 적극적인 養蠶장려의 방법으로 農桑敎書를 반포하게 되었다. 中宗代에 반포된 農桑敎書는 제목에서도 養蠶이 강조되어 있었고, 養蠶의 직접적인 과정까지 언급될 정도로 자세한 것이었다. 또한 農民들도 이용하기 편리하게 蠶書를 諺解하여 流布하고, 蠶業에 관계된 巨秩의 中國農書를 開刊하기도 하였다. 16世紀에는 朝庭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養蠶이 農家의 副業으로 정착해 가게 되었다. 壬亂時에도 養蠶이 경영될 정도로 널리 성행하였으며 桑葉의 부족으로 인한 분쟁도 일어나고 있었다. 農家뿐만 아니라 奴婢家에서도 養蠶이 경영되고 있었으며 상당한 양의 고치가 생산되어 場市를 통해 거래되기도 하였다. 朝庭의 養蠶보급 노력은 養蠶의 성행과, 養蠶의 과정에서도 桑葉을 저장했다가 이용하는 등 技術的인 면에도 진전을 가져 오는 것이었다. 한편 中央의 勸蠶노력으로 養蠶이 보편화됨에 따라 綿紬의 수요층이 확대되고 織造技術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養蠶業의 성행으로 인해 綿紬의 생산지가 확대되어 그것이 17世紀 地理志에 반영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16世紀의 勸蠶策은 17世紀의 農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7世紀의 農書에는 前期의 農書와는 다르게, 養蠶부문에 있어서 養桑法·소사과정 등의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은 16世紀 勸蠶策의 영향으로 養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養蠶業은 상업적 농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것은 조선후기에 가서야 가능한 것이었다.;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estimate the spread of sericulture and the national policy in the 16th century Chosun. There was rapid changes of society in the 16th century and it changed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on a great scale, especially the economics crisis in the countries was in great danger. Governers in Joong-jong (中宗 , 1506 - 1544) reign who rooted in land paid attention to the sericulture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 At that time, there were fairs (傷市) in countries and people in Han-sung (京中) became more and more luxurious so the demand of silk increased. It meant that the sericulture could be settled as a subsidiary business of peasants. Therefore, the government encouraged the sericulture as a national policy, and the cocoonery (蠶室) was reopened which had been closed in Sung Jong (成宗, 1469 - 1494) reign and the Nong-sang-gyo-seo (農桑敎書) was published. This Nong-sang-gyo-seo, as the title implied, contained details about sericulture as to mention the direct process of it. They interpreted Chinese books concerning sericulture into Korean for peasants, and copied the agricultural books from China. Thanks to such endeavours of the government, the sericulture could be settled as a peasants' subsiding business. It prevailed even during Im-Jin-Wai-Ran (壬辰倭亂) and sometimes the lack of mulberry leaves caused dispute among peasants. Not only the peasantry but also the slave families were engaged in the sericulture and great amount of cocoon was sold in fairs. The national policy on the sericulture and its popularity made technical improvement, one of which was to store mulberry leaves for later use. As the sericulture spread widely thanks to the exhortation of the government demand of silk increased and the weaving technique was improved. The sericultural producing districts spread widely and it was reflected on the 17th century topography(地理誌). The Exhortative policy on sericulture in the 16th century influenced the agricultural books in the 17th century contained the cultivation of mulberry and the spinning process which had not been included before. We can notice that the sericulture policy in the 16th century succeeded in spreading the sericulture through these fa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