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가족사연대기소설연구

Title
가족사연대기소설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MILY-CHRONICLE NOVEL
Authors
元銀榮.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가족사연대기소설김남천이기영한설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40년을 전후해서 발표된 김남천의 『대하』와 이기영의 『봄』, 그리고 한설야 『탑』의 양식적 특성과 작가의식을 규명해 보는 것이다. 이 세작품은 김남천이 제기한 <로만개조론>에 부합되는 작품들로 발표 당시 이미 가족사연대기소설이라고 명명되어졌다. 공통적으로 개화기의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사회적 변이가 초래하는 가족의 운명을 촛점화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봉건제가 무너지고 자본주의 질서로 편입되는 사회적 변동이 가족의 운명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가를 면밀히 추적, 가족사를 통해 민족의 운명을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뿐 아니라 다양한 풍속 묘사가 두드러진다. 특히 전통풍속의 재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어 식민지 시대에 자연스럽게 민족문제를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당대의 풍속이 풍부하게 묘사되어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다. 다만 일괄되게 봉건적 구습을 개화로 개혁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점은, 개화가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일환이었던 점은 간과하고 있는 태도이다. 왜곡된 개화의식을 표출, 식민지 현실에 불처저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들 소설의 또 다른 특징은 가족사를 다루면서 소년의 성숙과정에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이다. 소년을 통해 기존 가치의 극복에 대한 의지를 투영시키고, 그들의 길떠남을 통해서는 소극적 전망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이들 소설이 당대의 작가들이 택한 최소의 타협과 최대의 자기모색의 결과물임을 알 수 있다. 작품이 쓰여지던 당시에서 40 년 정도를 소급해 들어가 개화기를 다룬 것은 일제의 창작 규제에 봉착한 현실대응이었다. 또한 가족사 서술과, 풍속묘사는 역사의 전사(前史)를 해명하고자 한 적극적인 탐색 과정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탐색과 병행하여 소년의 자기인식 과정을 다루어 미래에의 낙관적 기대를 내포한다. 그러므로 『대하』와 『봄』과 『탑』은 왜곡된 개화의식을 드러냈다는 일정 정도의 한계를 감안하고라도 일제 강점기에 나름의 문학적 소신을 가지고 다양한 양식을 시도하여 현실 대응을 모색한 식민지 작가들의 마지막 성과라는 점에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This thesis is written for the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im Namchun's "Daeha", Lee kiyoung's "Bom", and Han Seolya's "Tap" which were publised before or after the 1940s, and to examine their anthorial consciousness. These three works correspond with 'roman-reconstruction theory' that Kim Namchun raised, and were already called as a family chronicle novel in those days. All these works set in the agricultural village at the enlightened age focus on the familial fat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change. It can be said that these works aim at examining the national destiny through family history, by pursuing how the society which has shifred from the collapse of feudalism to incorporating into capitalistic system. Besides, they depict a lpt of social customs and manners. Especially they give the re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customs so much space that they arouse the national problem at the colonial times. In addition to it, they keenly catch the contradiction in soiety at that time through the abundant description of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age. But, their logic that the feudalistic conventionalities should be reformed by the enlightenment, shows the authors failed to notice the fact that the enlighenment was one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other charcteristics of these works are that they give much weight in the boy's growing process, dealing with family history. The boy projects the will to overcome existing valus and he represents a passive view by his setting out on a journey. these novels are the consequences of minimal compromise and maximal groping for an answer to their selves that the novelists of the day chose. Due to the restriction of creative writing by Japanese government, they deal with the enlightened age which is forty years earlier than those days of writing the novel. Besides, the narration of family history and the descrition of customs and manners can be said as a procedure that delves into clarifying former history. In addition to this kind of searching, they also deal with the boy's self-perceiving process so that they involve optimistic expectation for the future. So, "Daeha", "Bom", and "Tap" could be significant, in spite of their limitation of representing distorted enlightenment consciousness, as the last result of colonist authors' efforts who tried to cope with the situation that was under the reign of Japanese government, by carrying out various kinds of style with their own literary belie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