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운영-
dc.creator정운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5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16-
dc.description.abstract희곡을 제대로 이해하고 작품을 쓰는 극작가가 드물었던 근대 희곡사의 초기에 김정진은 일본에서 3년간 연극 공부를 하고 돌아와 드라마투르기 면에서 우수한 작품을 썼다. 그는 192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가정내의 갈등을 주로 다루었던 희곡의 세계를 인간과 사회의 갈등에로 확대시켰으며, 근대적 사실주의 기법에 입각한 희곡을 했다. 그의 이러한 초기 희곡사에 대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에 대한 연구는 미미했다. 본 논문은 그의 작품을 주제면과 형식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여 우리 초기 희곡사에서 차지하는 그의 비중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그의 연극관과 시대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예술이란 인간의 영혼을 구제하고 해방하는데 가장 위대한 힘을 가진 것인데 연극은 그 중에서도 가장 직감적인 효력을 가졌다고 하여 연극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 연극이 해야 할 일은 우리의 현실을 무대에 상연하여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을 개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해 일제 식민지 치하를 벗어 나는데 연극이 기여해야 한다는 간접적인 암시했다. 그의 연극관은 연극이 단순히 인생을 재현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현실을 개혁하는데 참여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리얼리즘 정신을 담고 있다. Ⅲ장에서는 주제면과 형식면으로 나누어 작품 분석을 시도했다. 우선 주제면에서 살펴보면 그는 그의 연극관을 충실히 작품에 반영하여 식민지 치하에서 겪는 민중들의 고난을 그렸다. 또한 자본주의 사회로 유입되면서 나타난 황금만능 풍조와 지나친 자유연애 풍조 등을 풍자했다. 기존의 극작가들도 다루었던 인습에 대한 항거와 근대적 자각에 눈뜨는 주인공들의 모습도 그렸으나, 이런 작품에서는 멜로드라마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형식면에서는 근대적 사실주의 기법에 입각한 작품을 쓰고자 했다. 신파조의 대다 대신에 사투리를 사용하는 등 일상어를 대사로 썼다. 또한 동음이의어를 이용하는 등 우리 말의 묘미를 살려 날카로운 풍자와 함께 관객의 웃음을 유발시켰다. 극의 분위기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무대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하여 사실주의적 무대장치를 하고자 했으며, 적절한 음향 효과를 사용했다. 연극이 시대의 거울이라고 할 때 김정진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희곡작품에 잘 반영하였으며, 근대극이 확립되지 못한 시기에 등단하여 사실주의적 기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식을 시도함으로써 우리의 근대극 형성에 기여하였다.;Kim Jeong Jin was a playwriter who after studying three years in Japan, wrote excellent works in a way of dramaturgy in the first stage of modern drama history in which there were few drama writers who had precise understanding and writing skills of plays. He not only expanded materials of plays in which only conflicts within the families had been dealed with even to the beginning of 1920's to conflicts between human being and society, but also wrote plays on the basis of the modern realististic techniques. In spite of these contribution to the beginning of drama history, there were few studies on him up to the present. This thesis, examming his works in two respects of themes and forms, attempts to revaluate his position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drama history. At first in chapter Ⅱ, his view of plays and background of the days are investigated. He thought that arts had a great power to salvate and emancipate human being's soul, and also recognized that the drama has the most intuitive effects among them. He saying that the first duty of plays was to dramatize the Korean reality and to help to open up the nation's future, indirectly suggested in his works that plays must contribute to releasing the nation from the state of Japan's colony. His view of plays contained the active spirit of realism that play must not reproduce life but also participate in reforming the distorted reality. In chapter Ⅲ, the concrete analysing his works are made in two respects of themes and forems. In the respect of themes he described sufferings of people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 to reflect his view of plays. And he satired the gold mammonism and the tendency of excessive free love which had been appeared according to the influx into the capitalist society. He also foaled with the characters who resisted toward the established customs and awakened to modern self-consciousness, but in this case he exposed the limits of melodrama. In the respect of forms, he tried to write plays based on the modern realististic techniques. He employed dialects and everyday words instead of the lines of new dramas ('shinpa')-tune. He also induced the laugh of the spactatiors with joke and a bitter sarcasm, and Korean special exquisiteness as homonym. And also, he illustrated the stage in detail to set the realistic setting and applied acoustic effects adequately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atomosphere of plays sufficiently. In the light of standpoint that the drama is a kind of mirror of the day, Kim Jeong Jin effectively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day in his works, and created works based on the modern realistic techniques to contribute to format ion of Korean modern dram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Ⅱ. 배경 = 6 1. 시대배경 = 6 (1) 사회적 배경 = 6 (2) 20년대의 연극계 = 7 2. 김정진의 생애와 연극관 = 13 Ⅲ. 작품분석 = 18 1. 충실한 시대 반영 = 18 (1) 세태 풍자 = 18 (2) 현실고발 = 35 2. 인습 비판 = 46 3. 다양한 기법의 시도 = 55 (1) 시간 설정의 문제 = 55 (2) 대사 = 61 (3) 사실주의적인 무대장치 = 64 (4) 음향 효과 = 69 Ⅳ. 결론 = 71 참고문헌 = 7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71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운정-
dc.subject김정진-
dc.subject희곡-
dc.subject사실주의-
dc.subject풍자-
dc.title운정 김정진의 희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im Jeong Jin's Plays-
dc.format.page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