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美蘭-
dc.creator姜美蘭-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4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424-
dc.description.abstractJeosaengjeon(楮生傳), written by Lee Chum(李詹), is a Gajeon(假傳) in which the paper is a subject matter. Gajeon is a life history of impersonate thing, and its literang merits can be found in the Ibjeon(立傳) of morality through a fiction. At the beginning, Gajeon took its subject matter from things such as liquor, money or a bamboo. But, a great progress in Gajeon was made in the Chosen dynasty period, and it took the inner mind of man as its subject matter. There have been many contradictory views of Gajeon especially on the nomenclature and literary genre. As on attempt to solve some problems of Gajeon, the author tried in this thesis to make clear the age discrimination of Jeosaengjeon with priority given to the contents analysis. In chapter Ⅱ, as a basis for the contents analysis, the life of Lee Chum(李詹), the writer of Jeosaengjeon, was examined. He was born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died in the early Chosen dynasty. The contents of Jeosaengjeon was reviewed in order in Chapter Ⅲ. The author divided the contents of Jeosaengjeon into two main parts, so to speak, records of Haengjuckboo (行蹟部) in which the life of Jeosaeng(楮生) is described, and the assessment part Pyunggyulboo(評結部) in which doings of Jeosaeng is judged. By this, the anthor examie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Jeosaengjeon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rough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chapter Ⅳ, a comparative stury of Jeosaengjeon, with Jeodaejejeon(猪待制傳) and Jeosunsaengjeon(楮先生傳) from China was made, and all these take the same things as their subject matter. Based on these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Jaesaengje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investigated in Chapter Ⅴ. In this thesis, the author could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the significance of in the literary history,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rly Chosen dynasty period. The author wishes this conclusion to give a definite answer to the age of Jeosaengjeon which has been assumed ambiguously to be writtern in the Koryo or Chosen dynastry period, and also wishes to throw some light on the problem of Gajeonsa(假傳史).;본 論文은 <楮生傳> 한 作品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개별연구이나, 동시에 假傳史 전반적인 흐름속에 그 위치를 탐색한 총체적 연구이다. Ⅱ章에서 <楮生傳>의 작품분석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李詹의 生涯를 살펴본 결과 그는 고려 忠穆王 元年(1345)부터 조선 太宗 五年(1405)까지의 九位의 王을 섬기며 살아온 사람으로 작가 李詹은 麗末·鮮初의 극심한 변혁기에 生存한 人物이다. Ⅲ章에서는 작품의 順次構造에 따라 內容을 소개하고, 楮生의 生涯가 그려지는 行蹟部와 楮生의 行蹟을 論하는 評結部를 세분하였다. 이를 통해 〈楮生傳>의 구조적 특성이 楮生의 쓰임에 따라 상승·하강의 반복적 구조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서두부를 약화하고 평결부를 강화하는 가전형식에의 변모로써 작가의 신흥 사대부적인 사고방식을 반영하고 있었다. 評結部에서 나타내고 있는 작가의식은 나라가 변하여 집사람이 된 蔡의 역사를 통해 집안이 변하여 나라를 이룩한 이씨 조선을 풍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章에서는 <楮生傳>과 同一素材인 中國의 <楮待制傳>, <楮先生傳>과의 비교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작품의 구성면, 배경면에서 <楮生傳>은 중국의 두 작품들과 공통점보다 상이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전발생 초기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가전의 소재면에서도 독자적 영역을 개척한 것으로 보인다. Ⅴ章에서는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楮生傳>의 文學史的 意義를 밝혀보았다. 이에 <楮生傳>은 작가의 自敍傳的인 擬人假托이라는 것과 이로 미루어 저술시기를 推定한 바 작가의 末年인 太宗 年間에 쓰여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과거 論者들이 <楮生傳>의 개별 연구에 의한 정확한 著作年代의 추정없이 고려 또는 조선으로 混同되어 귀속시켰던 점을 시정해 주는 것으로 <楮生傳>의 창작시기를 뚜렷이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는 것이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A. 問題의 提起 = 1 B. 연구의 방향 및 연구방법 = 4 Ⅱ. 李詹의 生涯와 저작배경 = 8 Ⅲ. <楮生傳>의 構造와 作家意識 = 19 A. 順次構造 = 19 B. 상승ㆍ하강의 반복적 구조 = 26 C. 구조를 통해 본 작가의식 = 33 Ⅳ. 中國假傳 <楮待制傳>ㆍ<楮先生傳>과의 관계 = 40 A. 明代 閔文振作 <楮待制傳> = 40 B. 淸代 張潮作 <楮先生博> = 42 C. 內容의 比較分析 = 45 Ⅴ. <楮生傳>의 文學吏的 意義 = 57 結論 = 64 參考文獻 = 6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97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첨-
dc.subject저생전-
dc.subject고전소설-
dc.subject소설-
dc.title李詹의 "楮生傳"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LEE CHUM'S JEO SAENG JEON-
dc.format.page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