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2 Download: 0

女流戱曲作品에 나타난 女性像 硏究

Title
女流戱曲作品에 나타난 女性像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FEMALE REPRESENTATIVES ON SELECTIVE WOMEN PLAYWRIGHTS' WORKS
Authors
金恩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여류희곡작품근대희곡여성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60년대에 등단하기 시작한 여류극작가들은 남성작가들의 활동이 주류를 이루어온 한국연극계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들은 여성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극에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여성의 모습을 통해 그들의 삶을 대변하고 나아가 이상적인 여성상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여류희곡작품의 특징을 검토하고 현대희곡문학사에서 소외되어 있던 이들의 위치를 가늠해 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Ⅱ장에서는 여류극작가들의 작품세계를 규명해 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하나의 단서로 한국근대희곡에 나타난 여성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기존 문학작품에서의 전통적 관례를 살펴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여성비평에 대해서도 간단히 알아 보았다. 그 결과 기존 문학작품에 묘사된 여성상의 대부분은 남성작가들에 의해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남성우위의 문학체계를 유지하려는 의도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낭만적으로 미화되거나 왜곡되기 일쑤였다. 우리의 근대희곡작품에서도 이러한 관례는 그대로 이어져 남성작가들은 그들에게 종속된 여성상을 그리고 있었으며 개화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기에 적절한 소재로써 여성들의 문제를 惜用하여 다루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여성비평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본론으로 들어가서 여류극작가들 - 강성희, 김자림, 박현숙, 오혜령, 전옥주, 정복근 - 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상을 다섯 가지 경향으로 분류하고 이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분석해 보았다. 첫째, 가정내에서 남성의 횡포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상처를 입은 여성들을 그린 작품. 둘째, 가정에서의 역할과 사회적 역할 사이에서 방황하는 여성의 문제를 다룬 작품. 세째, 기존의 인습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에서 느끼는 문제를 스스로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는 여성상을 표현한 작품. 네째, 중산층 여성들의 허위의식을 고발하고 그들의 자기반성을 통해 현대여성들의 참된 역할을 제시한 작품. 다섯째, 의식의 각성을 통해 자신의 이상을 현실화시키는 여성상을 나타낸 작품. 그 결과 여류극작가들은 과거의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성격을 탈피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성격을 지닌 주체자로서 삶을 살아가며, 의식의 각성을 통해 자신의 이상을 현실화 시키는 여성의 모습을 긍정적이고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작품 분석을 토대로 하여 여류희곡 작품의 의의와 한계를 짚어 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여류극작가들이 여성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작품에 구현한 여성상들은 이제까지 희곡문학에서 피상적으로만 다루어져 왔던 여성상을 극복하고 우리의 희곡문학에서도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여성문제의 본질에 대한 전면적인 인식체계의 확립을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e female playwriters who appeared in 1960's played an important part in making a turning point in the Korean dramatic word, in which the male writers activities had made the mainstream. Basing upon the interests in women, they tried to speak for women and to make the ideal figures of women through representing a specific and realistic figures of women. The objects of this thesis are to look into and to investigate characters and the position of the female drama works, which have been alienated in the history of modern drama literature. In chapter Ⅱ, it is examined that figures of women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drama as a clue to enlight the literary world of female play writers. At first, it is observed that the traditional conventions in the existing literary works and also the feminist criticism to overcome that convention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figures of women in the existing literary works were usually beautifird romantically or distorted by the male writers or by the male viewpoint. for the purpose of maintainning the literary system of the superiority of male to female. These are similer to the modern drama works. The male writers were usually representing the depending figures of women, and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women as a proper subject matter to describe the circumstances in the periods of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feminist criticism began to appear to overcome these contradiction. In chapter Ⅲ, the figures of women represented in the female drama writers - Kang Sung-Hee, Kim Ja-Rim, Park Hyun-Sook, Oh Hae-Ryung, Jeon Ok-Joo, Jung Bok-Keun - are classified into five tendencies, and analysed the problems raised in these works. First, the works which deal with the mentally or physically wounded women by the violence of men at home. Second, the works which deal with the problems of women who are wandering between the role of housewife and the social role. Third, the works which represent the figures of women who reject the existing convention and meet with the problems of their lives resolutely for themselves. Fourth, the works which accuse the false consciousness of the middle - class women and bring up the affirmative vision through the self - reflection of them. Fifth, the works which show the figures of women who actualize their ideal through the awakening of consciousness. As result, It is known that the figures of women represented by the female playwriters were described as positive and active subjects of life in opposition to the passive and negative character of the past. In chapter Ⅳ,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s of the female drama works were examined. As a conclusion, through these investigation. it is revealed that the female playwri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overcoming the superficial figures of women, and of serious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women which were neglected as a wilderness in the Korean drama literature. Taking this opportunity,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dramatic world was activated, to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