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羅銀眞-
dc.creator羅銀眞-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64-
dc.description.abstract사회 현실과 문학,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대립으로 양극화되어 있던 1930년대에 이루어진 박태원의 소설창작에 대한 평가는 '모더니티 지향'이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재적 내재적 편향의 연구 결과만으로는 박태원 소설의 본질이 충분히 설명되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박태원 연구의 새 방향은, 문학 예술의 보편성과 작가 개인·작품 개별의 특수성, 현실 세계의 절대성과 문학적 허구화 세계의 상대성 사이에서 그 의미를 해석하는 기호학적 의미구조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문학텍스트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는, 그 텍스트 내부 각 층위 체계의 의미작용에 따른 의미구조 그리고 텍스트 내부와 외부의 상관성에 의한 의미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며, 이는 곧 문학연구에서 문학텍스트의 내면적 구조와 그 사회적 문화적 맥락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재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실의 일부인 문학적 소통 상황 내에서 박태원의 소설텍스트는 역동적이고 복잡한 계층적 구조를 지는 2차 언어 체계의 기호로 간주될 수 있으며, 무한한 세계의 유한한 모형으로써 방대한 정보를 내적으로 조직화시켜 전달하는 현실에 대한 메타기호(meta-sign)인 동시에, 지속적으로 의미를 산출해 나가는 의미작용의 기호기능(semiosis)으로 성립된다. 본 연구의 Ⅲ장은 이와 같은 전제에서 출발하여, 「小說家 仇甫氏의 一日」을 모형으로 박태원 소설이 지니고 있는 기호학적 의미구조를 추출해 나가는 귀납적 분석과정에 할당된다. 이 과정은 우선 박태원 소설 텍스트에 유표적인 장 구분·소제목·행갈이 등의 텍스트 표현론적 분절 방식과 '1930년대 경성'이라는 시공간복합체·공간 분할·인물 행위·플롯 등의 의미론이라는 표현 층위에서의 의미론적 분절을 거친 후에, 반복되는 계열축의 등가물들에 대한 해석인 이적 재약호화와, 이등가물들의 인접성에 따른 통합을 해석하는 인물·공간·에피소드 연계의 내적 재약호화를 거침으로서, 소설텍스트의 의미구조를 형성한다. 그 결과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의미구조는 反意語 대립과 反意的 문장의 배열이라는 표현층위에서의 이항대립과, '1930년대 경성'이라는 시공간복합체를 구성하는 '가정 vs 사회' 의 영역분할을 토대로 일방적 지향의 소통구조인 고독 vs 행복, 僞 vs 眞의 의미대립, 쌍방 화해의 소통구조인 생활 vs 예술, 가정 vs 사회, 안 vs 밖의 의미대립구조로써 구축된다. 또한 텍스트 내부 체계인 허구세계와 외부 체계인 현실 세계의 상호관련은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액자구조를 지닌 '考現學'(modernologie)의 기법으로 표현된다. Ⅳ장은 Ⅲ에서 추출된 모형을 토대로 한 연역적 보완의 과정이다. 박태원 소설을 다른 소설로부터 구분해주는 변별적 자질은 표현과 전망에서의 圖象性, 텍스트 공간화 방식, 역설적인 의미대립 구조의 세 가지로 설명된다. 표현의 도상성이 장 분절 방식, 소제목, 문단의 그래픽적 스타일과 도상적 기호의 사용방법에 의존한다면, 이중적 전망의 도상성은 반의어 배열, 역설과 부인의 언술논리, 「川邊風景」·「길은 어둡고」와 같은 인물의 대립적 縮圖에 따른 세계의 구성논리, 「聖誕祭」·「딱한 사람들」의 인물 촛점화 교체에 따른 관념 표현의 세가지 논리로 분할될 수 있다. 두번째인 텍스트의 공간화 방식은 「천변풍경」. 「距離」. 「골목안」 등에 나타나는 '1930년대 경성'의 시공간 복합체를 소설 속에 구체화하는 공간화 메타포, 그리고 수평적 공간 확대의 位相에 의존하는 「芳蘭莊主人」. 그리고 텍스트 내부와 외부 체계의 관련방식과 다층적 액자구조를 보여주는 「疲勞」. 「悲凉」. 「崔老人傳抄錄」·「사흘굶은 봄人달」에 의해 뒷받침된다. 도상성과 공간화 방식으로부터 추출된 박태원 소설의 기호학적 의미구조는, 고독에서 행복을, 僞에서 眞을 추구하는 의미론적 편향구조인 동시에, 안과 밖, 이상과 현실, 허구와 실제의 의미론적 화해를 지향하는 역설적 대립구조에 의탁하는 것이었다. 박태원에게 있어, 소설이란 문학과 사회적 현실이라는 이중적 전망을 융합할 수 있는 주요 매개체였으며, 허구적 구조화 그 자체가 현실 표현의 메타기호로서 분리될 수 없는 기호표현(Sa)과 기호의미(Se´)의 양면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박태원은 문학과 사회의 구조적 상호관련성과 '허구적 개연성에 의한 현실의 모델화'라는 소설의 본령을 첨예하게 인식한 선구적 작가였다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Tae-Won, Park's novels were written in 1930's which was polarized with the contrast between social reality and literature, and that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His novels have generally been recognized as 'Pro-Modernity'. Yet, the real substance of his novels can't be fully explained with such extrinsic and intrinsic approaches alone. Therefore a new approach should be made in assessing Tae-Won, Park. The approach is based on other than the study of semantic structure form semiotics point of view, which interprets the meanings of novels in terms of both the common features of literature and the specific ones of an individual writer and of his/her individual work, and again in terms of both the absoluteness of a real world and the relativity of a literary fictional world. The semiotic study of literary text means the study on semantic structure by signifing each level system of the inside of the text, and by the relation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ext. This means the rerecognition in literary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ternal structure of the literary text and the social, cultural context. In this regard, Park's novel texts ran be considered in literary comunication situation, a part of reality, as the sign of secondary modeling systems with a dynamic, complex hierarchical structure. It can also be a meta-sign to reality, which is a limited model in unlimited world, and delivers extensive information as text internal organization as well as semiosis of signification, which continues to create meanings. Chapter Ⅲ of this thesis is based on such a premise above and devoted to inductive analysis which induces semiotic semantic structure of his novels from a model of 「The One Day of Novelist Mr. Koobo」. It starts with his such remarkable text representation methods as chapter devision, subtitle, change of lines, and then the semantic segment breaking-up of representation level of such sementics as chronotope of 'Kyungsung in 1930's', space division, character, act, plot. After that come the external recoding which interprete the repeated paradigmatic axis and the internal recoding relating characters, space, and episode, which interpretes the total formation in syntagmatic axis. And finally the semantic structure of novel text is formed. As a result,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novel is built in form of binary opposition in representation level of the contrast of antonyms and the arrange of antonoas sentences. The semantic structure is also formed by, on h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unilaterally aiming the contrast in meanings such as lonehness vs happiness and falsehood vs truth, which is shown in the chronotope of 'Kyungsung in 1930's' with the division of family and society, and,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alancing the confronting ideas of every day life vs art, family and society,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Moreover, Modernologie technique with the poly-hierachical, complex structure of a picture frame is used to show the interrelations between a fictional world which is the internal systems of the text, and reality which the external systems of it. Chapter Ⅳ shows the deductive supplementation to the model induced in Chapter Ⅲ.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 novels largely are iconology in representation and in perspective, spatialzation of text and the constrasts of paradoxical meanings. Going into the details in iconology, there are iconology in representation and in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the iconology in representation, it uses graphic style of chapter division, subtitle, paragraph and uses iconic signs. Now, that in dual perspective consists of, first, the discourse using antonym arrange, paradox and denial, and, second, of world formation theory shown in miniature of contrasting characters in 「The Landscape of a Stream」, 「Dark is the Road」, and, finally, of idea expression theory of character focalization exchange expressed in 「Christmas Festival」, 「Helpless people」. The second one of his distinctive features is the satialization of text. That consists of the spatialization metaphor, topography of horizental space expension, and poly hierarchical structure of a picture frame. The spatialization metaphor materializes chronotope of 'Kyungsung in 1930's' the setting of 「The Lanscape of a Stream」, 「The Distance」 and 「The inside of the Lane」, in novel text. The topography is illustrated in 「The Owner of Orchid Flower Coffeeshop」. At last, the picture frame is used to indicate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inside systems of the text an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systems of the text. The novels using the frame technique are 「Fatigue」, 「Mourning Melancholy」, 「Life Story of Old Man, Mr. Choi」 and 「Moon That Has Been Hungry For Three Days」. The third character, semantic structure is paradixical contrast structure, which is made up with the structure unilaterally aiming at happiness drawn from lonehness, and truth from falsehood, and with the structure balancing the confronting idea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idealism and reality, and fiction and nonfiction. What novels mean to Tae-Won, Park is a major medium which harmonizes dual perspective of literature and social reality, and meta-signs which combine significant, organization of fiction and signifie´,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conclusion, the real value the novels of Tae-Won Park has can be summed up as the earliest recognition of the real substance of novels ; 'modeling of reality, based upon fictional prob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Ⅱ. 기호학적 의미구조론 = 9 A. 기호학의 성립과 전개양상 = 9 B. 기호 - 기호현상과 의미작용 = 14 Ⅲ. 「小說家 仇甫氏의 一日」의 기호학적 의미구조 = 23 A. 소설텍스트의 표현적 특성과 의미구조 = 24 1. 표현적 분절의 차원 = 24 2. 의미론적 분절의 차원 = 30 B. 소설텍스트의 재약호화 구조 = 35 1. 외적 재약호화의 과정 = 35 2. 내적 재약호화 과정 = 45 C. 이야기의 의미론적 구조 = 61 1. 이야기의 의미론적 대립 = 61 2. 텍스트 內 체계와 텍스트 外 체계의 상관구조 = 73 Ⅳ. 박태원 소설의 기호학적 의미구조 양상 = 81 A. 소설텍스트의 도상적 성격 = 81 1. 기호표현의 도상성 = 81 2. 이중적 전망의 도상성 = 89 B. 텍스트 공간화의 서사적 논리 = 104 1. 공간화 메타포로서의 시공간성 = 104 2. 수평공간 확대의 위상 = 107 3. 다층적 액자구조와 텍스트 내외 체계의 교섭양상 = 109 C. 역설의 의미론적 대립구조 = 116 1. 의미론적 지향 구조 = 116 2. 의미론적 화해 구조 = 117 Ⅴ. 결론 = 120 참고문헌 = 123 부록 박태원에 대한 평론 연표 (1929-1941) = 131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261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박태원-
dc.subject소설 텍스트-
dc.subject의미구조-
dc.subject기호학-
dc.title朴泰遠 소설의 기호학적 의미 구조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emiotics-Based Semantic structure of the Novels Written By Tae-Won, Park-
dc.format.pageiv,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