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순-
dc.creator김미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0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07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여성해방을 위한 교육신학을 모색하기 위해 Letty M.Russell의 여성해방신학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프랑스 혁명을 전후해서 자각되기 시작한 여성해방운동은 이제는 남성에 대한 해방 뿐 아니라 전 인간의 해방을 목적하고 있다. 여성은 단순히 여성이라는 사실에서 인류역사이래 가장 오래고 깊은 억압의 삶을 살아왔다. 이러한 억압에서 1차적인 해방은 남성으로부터의 해방이지만 이 억압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구조가 단순히 여성만을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전체를 억압하고 있기에 여성이 해방되려면 이러한 억압의 구조를 변혁시켜야 한다. 그러기에 여성해방의 과정에서 전 인간의 해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독교 내에서도 이러한 자각들이 일어나서 하나님의 선교신학을 계기로 해서 흑인해방신학, 제3세계 해방신학과 함께 여성해방신학이 신학의 새로운 과제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해방적 관점으로서의 전환은 신학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이루어졌다. 그래서 Letty M.Russell은 기독교 교육의 목적을 인간을 해방시켜 자유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구원행동에 함께 참여하여 누리는 자유의 축하잔치 라고 한다. 이러한 럿쎌의 교육신학적 입장은 하나님의 선교신학을 근거로 해서 이루어 진것이지만 교육신학의 과제로 인간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녀는 가장 비인간화된 사람이 여성임을 발견하고 여성해방의 관점에서 자신의 교육신학을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여성을 억압하는 구조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 뿐 아니라 기독교의 가치와 제도에서도 이루어져 왔음을 깨닫고 교회제도와 신학에서 어떻게 여성이 억압되었는가 하는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 결과 이제까지의 신학적 오류가 근본적으로 인간창조 이해의 잘못에서 주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할때 여성을 남성의 보조자로 남성보다는 조금 열등한 존재로 창조하였다고 하는 것이다. K.Barth는 창세기 2 : 18 ~ 25의 창조설화를 통해 여성이 남성다음에 창조되었다는 것을 질서적 개념으로 해석함으로써 차별적인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신학에서 여성을 남성에 예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럿쎌은 이러한 신학적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창조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해석을 제시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적 유비를 통해 삼위(三位)의 관계가 질서적 관계가 아님같이 남성과 여성의 관계도 질서관계가 아니며 하나님의 형상의 원형은 삼위(Three Persons)에서가 아니라 일체(One Substance)에서 나타나기에 이 '형상'의 담지자는 '성'(Sex)이 아니라 인간(humanity)이다. 그러기에 남성과 여성은 본질적으로 이원적(duality)이 아니다. 남성과 여성이 다른 것은 인간 개개인이 다른 것과 별로 다른 것이 아니다. 이것을 럿쎌은 하나님의 선물로서 주어지는 은사의 다양성이라고 본다. 하나님은 이 은사로서 인간을 선택하여 그의 파트너로 삼으셨다. 여기에서 인간존재의 참모습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러기에 남성과 여성의 관계도 파트너관계이다. 럿쎌은 이 파트너관계의 속성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상호성의 원리로서 코이노니아(Koinonia)와 디아코니아(Diakonia)로 말한다. 럿쎌이 여성해방신학을 통해 추구하려는 해방된 새로운 인간의 모습이 바로 코이노니아와 디아코니아로 이루어지는 파트너관계의 존재이다. 인간이 이러한 존재로 변화되려면 지금까지의 일방적인 전달과 주입의 교육으로서는 안된다. 상호적 관계에서 인간서로가 참여하여 대화로서 이루어가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책상앞에서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삶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의식화와 프락시스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될 때 결국 여성해방을 위한 교육신학은 전인적인 인간해방을 이루어가는 교육신학이 된다.;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Letty M. Russell's women's liberation theology in search of the possibility of theology of educatio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wakened since the French Revolution has been concerned not only with liberating woman from man's oppression, bet also with liberating the whole humanity form all sorts of oppression. Women have been oppressed more consistently and more wretchedly than any other human group in history. They have been mistreated simply because of what they are. The primary concern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is to get rid of men's control over women, and yet the ultimate purpose of it is to liberate human being as a whole form the oppressive social structure. The latter will not be accomplished until the first one is completed, because women are the last part of liberation project in human history. Since Missio-Dei theology came to the fore, theologians have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women's liberation, along with black liberation theology and so-called liberation theology of the third world. The concern for liberation among theologians became that of people interested in Christian education. Letty M. Russell's definition of th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represents the recent trend of their concern : th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make us take part in the celebration of freedom which is saving liberating action of God. The primary basis of Russell's theology of education lies in her assertion that women have been most humiliated. She contends that women have been oppressed not only by oppressive political, socio-economic structure but also by the misunderstood viewpoint of Christian value-system. Russell attributes theological misunderstanding of women to the misreading the creation narrative in the book of Genesis Classical theologies take it for granted that God created women as an aid to man and a being inferior to man. She takes Karl Barth as an example who interprets the creation narrativ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order. Barth's interpretation ends up with subordination man to woman. Russell suggests a new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as a way of correcting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it. In so doing, she us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s an analogy. She asser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cannot be assumed from the viewpoint of rank. Likewis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man cannot be ranked in terms of sex. Human being is created by the image of God who is one substance, not divided by three persons. Therefore, woman is not an inferior image of God, and man is not superior. Sexual difference is just a matter of individual differentiation from each other among human beings. Russell contends that it is a matter of variety of humanity which is endowed with by God's grace. Furthermore, God made human being as his partner.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man is partnership. Russell contends that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 of partnership is traced to the reciprocal principle of Koinonia and Diakonia. She asserts that new humanity that women's liberation theology searches for will be attained by parnership between Koinonia and Diakonia. Russell points out the need for change of educational method That is, creation of new humanity will not be accomplished by one-directional, cramming method of teaching, but by method of dialogue. The method of dialogue can not be carried on in terms of injecting intellegence, but by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in the arena of living. This means that the new method of education is to conscientize human beings throught praxis. Theology of education for women's liberation can help whole humanity to liberate themselves only when it takes up the new method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 4 Ⅱ. 선교와 해방의 교육신학 = 5 1절 '하나님의 선교' 신학과 선교교육 = 5 1) '하나님의 선교' 신학 = 5 ㄱ) '하나님의 선교' 신학의 역사적 배경 = 5 ㄴ) '하나님의 선교' 신학의 내용 = 10 2) 선교교육 = 15 2절 해방신학과 해방교육 = 22 1) 해방신학 = 23 ㄱ) 흑인해방신학 = 23 ㄴ) 제 3 세계 해방신학 = 29 2) 해방교육 = 32 Ⅲ. L.M. Russell의 여성해방신학 = 37 1절 제 4 세계의 해방 = 39 1) 방법론 = 40 2) 관점 = 42 3) 주제 = 46 2절 해방의 새로운 존재로서의 파트너쉽 = 50 1) 하나님과의 파트너쉽 = 52 ㄱ) 청지기직으로서의 파트너쉽 = 52 ㄴ) 코이노니아로서의 파트너쉽 = 54 ㄷ) 섬김으로서의 파트너쉽 = 58 2) 인간상호간의 파트너쉽 = 61 ㄱ) 남성과 여성의 파트너 관계 = 61 ㄴ) 교회, 목회, 교육에서의 파트너쉽 = 64 Ⅳ. 해방의 실천으로서의 교육 = 70 1절 대화와 참여 = 70 1) 기독교교육 구조로서의 대화 = 70 2) 교육방법으로서의 참여 = 76 2절 의식화와 프락시스 = 83 1) 의식화 교육 = 84 2) 프락시스로서의 교육 = 90 Ⅴ. 결론 = 94 참고문헌 = 101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46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L. M. Russell-
dc.subject여성해방-
dc.subject교육 신학-
dc.subject기독교-
dc.subjectRussell, Letty M.-
dc.titleL. M. Russell의 여성해방을 위한 교육 신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etty M. Russell's Women's Liberation Theology from the Viewpoint of Theology of Education-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