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華眞-
dc.creator李華眞-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0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55-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사설시조의 풍자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언어에 드러나는지를 풍자방식의 검토를 통해 고찰하고 그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사설시조의 풍자가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살피고 아울러 각각의 유형 속에 풍자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파악하였다. 사설시조의 풍자유형은 대체로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평시조에서 그대로 지속되어 오던 유형이 있는가하면 새로운 풍자의 유형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각 유형 속에서 풍자의 양상을 살핀 결과 사설시조의 풍자는 풍자장치를 다양하게 구사하거나 새로운 풍자수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Ⅲ장에서는 앞장에서 살핀 풍자유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언어화되어 형상화되는지를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사설시조가 詩想에 있어 집약과 이완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중시하고, 사설시조의 풍자가 작품 속에서 시상의 완결과 개방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지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사설시조의 풍자는 시상이 완결되면서, 주관적 비판의지의 강화가 평시조와는 달리 희화화나 비꼼을 통하여 형상화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시상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화자의 주관적인 비판 의지보다는 청자와의 공감대를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작가가 풍자대상을 어떤 태도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語調를 통해 고찰하였다. 사설시조의 풍자에서는 어조가 다양화되면서 크게 세가지로 나타나며, 점차 풍자대상에 대해 조롱이 강화된 어조로 나아가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Ⅱ,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사설시조의 풍자가 어떤 새로운 양상을 지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 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사설시조의 기능과 의미를 규명해보고 아울러 사설시조의 풍자가 조선후기라는 범시대적인 문학의 조류 속에서 어떻게 개방성이 드러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이 개방성은 대체로 판소리와 가면극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사설시조의 풍자에 있어 새로운 양상으로는 풍자장치의 강화와 새로운 풍자유형의 출현, 그리고 풍자적 표현의 개방성과 어조의 변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사설시조의 담당층이 변화되면서 아울러 풍자태도도 변화되는 면모를 보여 준다. 이를 토대로 사설시조의 풍자기능과 의미가 풍자시각의 다변화, 대중지향의 풍자, 웃음지향의 풍자문화를 조성하면서 판소리나 가면극의 풍자와 개방성을 가지고 있는 면들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고는 사설시조의 풍자를 언어에서 드러나는 풍자방식을 통해 그 성격을 새롭게 조명해보고 이를 사설시조라는 장르 자체에 국한하여 논하기 보다는 조선후기인 18,9세기에 나타나는 판소리나 가면극의 풍자에서 그 성격이 개방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is study purports not only to show, through the survey of the methods applied in satire, how Saseol Sijo satire concretely appears in language, but also to make it clear what its nature is lik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In the second chapter, it is surveyed how the satire of Saseol Sijo has been molded into styles and in what form satire appears in each type. The types Saseol Sijo satire are clssified generally into three forms. Some of them are overlapping the original ones in ordinary Sijos, and, on the other hand, some others have taken one new type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nto torn of each type, it has been revealed that Saseol Sijo satire applies various mechanisms or borrows new satire methods. In the third chapter, it is discussed, from viewpoints, how the types of satire which have been examined in the previous chapter, have developed themselves concretely into language and how they have been formalized. First, as it is important that Saseol Sijo shows both concentration and relaxation of the poetic images, this study attemps to show how both winding-up and opening-out of Saseol Sijo satires have been concretely formed in literary work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in Saseol Sijo satires, the intention of criticism is emphasized on, through pictures and irons, according as poetic images are completed, far different from in the case of ordinary Sijos. In the case of the poetic images being liberated, on the other hand, it tends try to gain sympathy with the listners more than the subjective criticism intention of the speaker. Second, this study has examined through tone of speech how writer see the objects of satire. In Saseol Sijo satire, the tone become varied, appearing largely in the three kinds, and the ironies take on the enforced form of tone toward the satire objects. In the fifth chapter, It has been mainly discussed what kind of form Ssaoel Sijo takes on, on the basis of analyses o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by doing thi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Saseol Sijo satire have been defined, and, at the sane time, it has been theorized, with Pansoris and Mask Dances as the main themes concerned, what the liberation of Saseol Sijo satires was like inthe late Yi-Denasty period which is of a pan-period literary trend. For a new phase of Saseol Sijo satire, we nay take for example such as the enforcement of satire mechanisms, the emergence of new type of satire, and the liberalness of satirical expression, not without the tendency to ironical tone. This shows that the attitudes of satire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classes who did satire. Through these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Saseol Sijo satires have brought about the variety of views on them, the satires oriented to being popularized, the cultures tending to laughter. And also Saseol Sijo satire has been found to have the satires and openness found in Pansoris and Mask Dances. Accordingly,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enough in the two points: the one is that it tries, in a new way,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Saseol Sijo satire by examining its methods present in language, and the second is that it is a work trying to show that the nature of Saseol Sijo satire was freed out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Pansoris or Mask Dances, rather than to theorize it within the boundary of Saseol Sijo gen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사설시조의 풍자유형과 양상 = 5 1) 우의적 풍자 = 5 2) 직접적 풍자 = 15 3) 반어적 풍자 = 21 Ⅲ. 사설시조 풍자의 형상화방식 = 26 1) 時想의 집약과 이완 = 26 a. 완결을 통한 주관적 비판의지 강화 = 27 b. 개방을 통한 공감성 학보 = 39 2) 어조의 다양화 = 45 a. 진지한 어조 = 46 b. 회화적인 어조 = 51 c. 능청거림의 어조 = 56 Ⅳ. 사설시조에 나타난 풍자의 의미와 역사적 성격 = 60 1) 사설시조 풍자의 새로운 양상 = 60 a. 풍자 장치의 강화와 섀로운 풍자 유형의 출현 = 60 b. 풍자적 표현의 개방성과 어조의 변이 = 65 2) 풍자기능의 확대와 역사적 의미 = 71 a. 풍자시각의 다변화 = 71 b. 대중지향의 풍자 = 74 c. 웃음지향의 풍자문화 조성 = 77 3) 조선후기의 예술과 풍자기능의 개방성 = 81 Ⅴ. 결론 = 88 참고문헌 = 91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50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설시조-
dc.subject풍자방식-
dc.subject어조-
dc.subject풍자시각-
dc.title辭設時調의 諷刺方式과 그 性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atire Method of Saseol Sijo and its Nature-
dc.format.page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