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飛天紋에 대한 考察

Title
飛天紋에 대한 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lying Deva
Authors
朱惠蓮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비천문벽화비천양식고분벽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飛天은 天人이라고도 불리워 왔다. 사실 이 비천이란 論題에 대해서는 문양사의 관심있는 주제가 되어 왔으면서도 현재까지 독립된 연구성과가 없었다. 이러한 비천문에 대한 자료의 수집과 정리를 통한 양식적 체계 및 佛敎하는 思想을 기저로 해서 발전한 佛敎的 문양사에서의 비천의 기원이나 의미도 찾아 보려 했다. 그러나 資料가 너무 산발적이고,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비천의 형태는 全 佛敎國家를통해 그 實例가 상당히 많아 第三章에서는 그 경우를 들어 보았다. 하여간 우리나라 비천의 양식은 4세기 佛敎 수입 이후 高句麗의 壁面古墳에서의 用例를 그 始原樣式으로 해서 佛敎의 발전과정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주로 5세기에서 7세기에 걸쳐서의 고구려 고분벽화는 양식적으로 中國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비천 양식의 성격은 대개 □□□□ □□□이다. 佛像에서는 莊嚴을 위한 장식문양으로서 光背에 주악·공양형이 表現되고 있다. 銅鐘에서는 時代的인 양식 변화를 뚜렷이 볼 수 있다. 즉 8세기 전기에 彫飾된 비천은 二天倂座이나, 8세기 후반에서 9세기에는 구름 위에 □座하거나 趺坐한 二天이 마주해 一群을 이루다가 9세기에 가면 單獨像이 된다. 그러나 고려시대가 되면 다시 五軀一組의 群像도 보이지만, 주로 단독의 座像 및 비약형상을 취하고 있다가 佛·菩薩像과 함께 表現되나 점차 이들로 대치된다. 石塔과 浮屠에서는 주로 시대에 따르는 眼象이나 난간 구조 속에 단독의 像(奏樂·供養)이 화려한 장식으로 조식되었으며, 浮屠의 경우, 대개 中台石·塔身·屋蓋石 下面에 장식되며, 入角圓堂型의 부도가 석종형 부도로 되면서 비천의 用例는 준다. 또 통일신라기의 瓦當에서는 주로 중앙에 香爐나 花枝를 두고, 공양하거나 挑□를 주악하는 고양비천상과 주악비천상으로 나뉘며, 天衣는 옆으로 길게 흐르고, 신라종에서 보이는 實相華紋으로 구름을 나타내어 그 화려함을 한층 자아내고 있다. 이외에도 비천의 用例는 各 미술품에 상당히 많다. 이러한 각종 미술품에 따르는 비천의 경향에 대해서 時代에 따르는 비천양식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三國時代에는 비천의 시원양식이 되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例가 中國의 時代的 性格에 따라 수례 보이고 있는데 이들은 主로 주악의 飛行像이었다. 2. 統一新羅時代에는 7세기 佛像, 8세기의 銅鐘을 비롯, 9세기 石塔이나 浮屠를 中心으로 세련되고 우리나라 비천의 전통적 체계를 세워 나가고 있다. 이 시대의 비천상은 주악·공양형 座像이나 비행형등 그 例가 상당히 많다. 3. 高麗時代 초기에는 전형적인 비천의 양식을 계승하였으나, 中期 이후에는 통일신라를 절정으로 발전한 비천이 불교의 쇠퇴에 따라 그 양식이 퇴화하고 주악·공양형의 비천이 단순히 비행하는 形이나 보살형으로 굳어진다. 이와같이 비천은 우리나라 佛敎의 수용과 함께 등장해서, 時代에 따르는 변화를 보이면서 施紋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Traditionally, "Flying Deva" used to be called "Dve". As it is, there were few concentrated research works on "Flying Deva", though it was regarded as one of considerably important subject in the history of ornaments. I intended to scope stylic system of "Deva" as a being of decoration, and to identify its origin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Buddhistic ornament, which was developed upon the base of Buddhism itself. Those not being arranged theoretically in field of history concerned, I, here by, allowed chapter 3 to illustrate historical examples of "Flying Deva" from major Buddhistic countries. In Korea, domestic style of "Flying Deva" was originated from the mural of Koguryo Period and made its progress and change together with each historic stage of Buddhism, since the introduction of it from China in 4th century. From 5th century to 7th century, the mural of Koguryo Period was influenced by China in its style, and, its stylic characteristics was in the defferent shape of flying with musical tools. And, in case of Buddhistic statue, playing and offering figures were sculptured mainly on cokra for solemnity. Even as for bronze bells, we can distinguish periodic changes of it's pattern vividly. Those "Flying Devas" of early 8th century were shaped in sets of two devas sitting together side-by-side on their knees. But from the end of 8th to early 9th century, those were changed into sets of devas sitting face to face on their knees or with one foot setting up on floating clouds, only to be changed into single deva after middle of 9th century. Though there are several cases of five deva's grouping together, after the step of single deva mainly in sitting or flying pose, ot was figured with Buddhistic statue or □□□□□, and, □□s su□□titute□ by those gradually, As for stupa, single deva-playing or offering was scu□ptured with magnificent decorations on the surface of An-sang(眼像) or banister, but specially in most □□□□ of stone stupa those were sculptured on the body or octagonal stone stupa into bell-shaped stone stupa;, the "Flying Deva" vanished gradually. While, on the roof tile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censer of flowers were put at the centre and those were docorated by "Flying Deva" in two type - offering or playing, with vastra tailing long a side, and clouds were expressed by Bo-sang flower (實相華紋).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about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Flying Deva" out of my reviews on the periodic styles of "Flying Deva". 1. At Three Kingdoms Period, as a time of origins of "Flying Deva", influenced by China, Devas were mainly flying and playing figures. 2. By the times of Unified Silla Dynesty, defined and traditional outline of domestic Deva was set throughout Buddhistic statue of 7th-8th century, bronze bell and by of stone stupa Deva's figure of this time, mainly, were that of playing, offering, sitting or flying, with a bundant examples. 3. In early years of the Koryo Dynasty orthodox style of "Flying Deva" was prevailed, but after middle years, "Flying Deva" retrogressed in its pattern which attained at most lecel by the times of Silla Dynasty, and changed into playing Figure or Buddhisattva simply In this way, "Flying Deva", as Buddhistic decorative of naments, prospered and retrogressed simultaneously with Buddhism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