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0 Download: 0

지체장애인의 체형과 의복에 관한 연구

Title
지체장애인의 체형과 의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hysique and Clothing of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 for Men using a Supporting Parasite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지체장애인체형의복보장구남자장애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분포현황과 그들의 의복생활 환경 및 실태, 특히 보장주를 사용하는 남자 장애인들의 인체계측을 통한 체형조사로 지체 장애인의 체형특성을 일반인들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들이 보편적으로 착용 가능한 의복을 제작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에 따라 지체장애인에 대한 설문조사, 체형조사, 의복제작, 그리고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의생활 실태, 선호하는 기능적 의복형태를 알아보고, 성별 및 보장구 사용유무별로 의생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의복종류는 T-shirts와 점퍼, 일자바지와 디스코 바지를 선호하였고, 상의의 경우 팔꿈치, 소매끝, 겨드랑이 부위가 가장 많이 헤지거나 튿어졌고, 덧댄 부위는 팔꿈치, 소매끝, 겨드랑이의 순이었고, 앞 상의길이, 부속품 교체, 품, 소매길이의 순으로 개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의 경우 엉덩이, 무릎. 바지단, '바지옆선이 가장 많이 헤지거나 튿어졌고, 덧댄 부위는 무릎, 엉덩이, 바지옆선 순이었으며, 허리둘레, 바지길이, 밑위길이, 엉덩이 품의 순으로 개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 검증 결과 의복착탈 자세, 의복을 갈아입는 횟수, 계절별 착용의복품목, 헤지는 부위, 의복 구입시 중요도, 기능적 의복형태에 대해 차이가 나타났다. 보장구 사용 유무 별로는 많은 문항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고, 특히 의복착용 중의 문제점, 헤지는 부위, 덧대는 부위가 서로 달랐다. 또한 기능적 의복형태에서도 차이가 나 보장구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둥근 목둘레, 셔츠칼라와 U형, Set-in Sleeve와 라글란 소매, 부분 고무줄로된 허리, 보통허리, 전체 고무줄로 된 허리를 선호했고, 여름철 하의길이는 긴 하의를 특히 선호했는데, 그것은 보장구를 드러내고 싶지 않은 이유인 것 같다. 또한 바지의 종류는 보장구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에 비해 디스코나 트레이닝바지를 더 많이 착용하고 있었다. 체형조사결과 나이별 차이 검증에선 대퇴둘레, 상의길이, 등길이, 키, 체중에 있어서 일반인보다 작았으나, 진동둘레나 상완둘레는 오히려 큰 편이었다. 기성복 칫수를 통한 비교에선 기성복 칫수와 장애인의 인체계측치의 비교를 통해 볼 수 있듯이, 흉위가 정상인과 거의 비슷한 수치를 지닌 것을 감안해 볼 때, 보장구를 사용하는 남자장애인은 신장과 허리둘레, 팔길이에서 정상인보다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엉덩이둘레도 허리둘레와 마찬가지로 작은 편이었다. 특히 밑길이의 차이가 컸다. 그러므로 장애인을 위한 의복 제작시 이러한 결과를 감안해 패턴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의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제작된 실험복은 소매, 뒷목둘레, 상의품, 상의 앞뒤길이, 겨드랑이 무, 허리선, 밑위길이, 바지옆선, 무릎과 무릎아래 지퍼 등에 있어 디자인상의 변형을 주었으며 착탈이 가능한 덧소매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실험복에 대해 일반복과의 객관적 비교를 위해 단시간 착용시와 장시간 착용시에 대해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단시간 착용시엔 외관에 대한 평가와 동작에 대한 평가를, 장시간 착용시앤 생활활동에 대한 평가와 실험복에 대한 전체적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대부분 실험복이 좋다는 평가결과가 나왔다. 특히 소매 겨드랑이 무는 가장 적합한 변형으로 평가되었고, 바지앞 밑위길이 줄임, 무릎속주름, 무릎아래 지퍼처리도 매우 좋은 변형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장애인의 의복요구와 환경을 파악할 수 있고, 장애인의 체형특성에 맞는 의복의 필요성과, 특히 장애인의 체형분류를 통하여 굳이 개개인으로 맞추지 않고도 구입할 수 있는 의복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디자인 요소를 변형하여 보장구를 사용하는 장애인 전체에게 적합할 수 있는 의복의 제작과 착의실험을 통해 장애인이 원하는 변형이 무엇인지를 알아 보았는데, 이러한 의복제작과 착의실험이 더욱 심도있고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garments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using a supporting parasite. In order to gather the data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garm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actual clothing conditions of the handicapped person and special for clothing of the handicapped was carried out. For the size of the prototype garment, the body measurements of the handicapped using a supporting parasite were compared to the normal. The prototype garments were designed to satisfy the special needs of the handicapp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otype garments was proved by wearing tests. The questionnaire sruvey about the special needs for clothing of the handicapped found our the following: 1. T-shits and Jumper are most preferred upper garment and straight or baggy trousers are most preferred lower garments. 2. The garment parts around the elbow, cuffs, armpit, hips, knees, bottom and the side gussets are more easily worn out by abrasion. 3. Front length of upper garments, fastenings, width of upper garments, sleeve length, waist width, trousers length, crotch length, and hip width are altered more often.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cial needs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sex of the wearer and whether or not a supporting parasite is used. The comparison of the body measurements of the handicapped using a supporting parasite to normal showed the following: 1. Thigh width, front length of the upper garment, center back length, height and weight of handicapped are smaller than normal. 2. Compared to the measurements of the standard size chart, height, waist girth, sleeve length, hip girth and especially the crotch length of the handicapped are much smaller.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handicapped, the prototype shirt and trousers were designed to have special features and modifications. The shirt had modified sleeve, back yoke and waist linel. Front legnth, back length and front width of the shirt were adjusted. The more effective design feature of the shirt were armpit gussets and attachable over-sleeves. The special features of the trousers were long crotch length, side gussets, invisible box pleats at the side seam and the zippers under knee. For objective comparing, the wearing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short period and for the long period. The short period wearing test was for appearance test and moving test. The long period wearing test was for daily activity test and general test. The wearing tests showed that the prototype garments were more Effective and comfortable than others. Especially armpit gusset is estimated for most appropriate design, and front crotch length, invisible box pleats at the side seam and zippers under knee are estimated for good fea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