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유정-
dc.creator장유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8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828-
dc.description.abstract복식환경은 인간의 생활과 감정, 사상, 기술등을 나타내는 가장 시각적인 표현으로 인간의 행위와 사고를 반영하는 창조물의 한 형태이다. 또한 복식은 단순히 인체에 '입혀진다'는 개념에서 확대되어 인체와 대상물, 공간, 나아가 외적인 요소까지 연결되어 창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이 사물을 시각으로 체험할 때 가장 조형적 요소의 기본이 되는 선(Line), 선과인체에서 만나는 공간감, 또 하나의 외부환경으로서의 공간지각(Space Perception)을 디자인의 모티브(Motive)로 하였다. 작품제작을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먼저 시지각 현상의 기본적 원리-게스탈트(Gestalt)법칙-를 바탕으로 평면적인 것 보다 복식의 3차원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선과 공간(Space)의 조형원리와 특성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제분석을 작품에 도입시켜 객관화 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밝혀둔다. 작품에 이용된 실루엣은 인체의 자연스런 율동미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변형된 보디 콘셔스(Body Consciousness)와 풀(Full)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소재는 주름처리가 된 폴리에스테르와 천연실크, 모직으로 비치는 효과, 중첩효과, 깊이를 고려한 것이다. 작품은 총8점으로 실물제작 4점과 패션일러스트레이션 4점으로 하며, 작품제작을 통해 추구한 의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에 있어서 여러 번 겹치는데서 일어나는 중첩효과로는 발생하는 양감과 새로 생성된 공간이 형성하는 입체감의 확대를 추구하였다. 둘째, 주름잡힌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재질감과 어우러 지는 인체의 율동감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주름으로 인한 특수성 때문에 발생되는 새로운 실루엣, 즉, 피티트(Fitted)실루엣이 변형되어 인체가 복식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연출하였다. 세째, 상반되는 재질의 조합-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재질의 콘트라스트-을 사용하여 재질 사용의 개념확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네째, 총제적인 요소로서의 환경까지 코오디네이트된 조형복식 표현의 이상적 조화를 꾀하였다.;As a form of creation reflecting human behavior and thoughts, the environment by the clothing has been regarded as a very effective means of visual representation of personal Life, emotion, idea and arts. Beyo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to be dressed", clothing has evolved into a new form of expression interrelating the physique of human, its surrounding object, and the space as well as external element. This research has adopted three integral concept, the line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the foundation of design principle in visual experience of object, space perception integrated with line and body, and another space perception consisted of element of outer environment as the basic motive of the design. For a theoretical basis for manufacturing, fundamental Principle of of visual and perceptional phenomenon also known as Gestalt Law was employed in order to examine the design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n line and space while emphasizing the three dimensional feature rather than of two dimensional. It must be incorporating the analysis acquired from theoretical study into the actual design. The silhouette used for work was the modified body consciousness and full silhouette in which body's natural rhythmical beauty was fully utilized. Types of material used are Pleated polyster, natural silk, and wool in order to induce the effect of overlapping, see-through and depth perception respectively. Four pieces of prototype and four pieces of fashion illustration totaling eight Pieces of work are presented, and these pieces are intended to achieve the following. First, creation of volume resulted from overlapping of lines, and three dimensional phenomenon caused by the space generated from the volume were pursued. Second, natural body rhythm was expressed in conjunction with special feature found in pleated polyester. Comfortable body movement in clothing made possible by Fitted Silhouette in which pleated material was characterized, was obtained. Third, combination of contrasting material -simultaneous employment of silk and polyester - was utilized. The effect of material was fully expressed by emphasizing each material's natur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attempt was made to attain the harmonious expression of clothing design coordinated with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과 의의 = 1 B.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복식의 조형성 = 4 B. 아트 투 웨어 (Art to wear ) = 9 Ⅲ. 선 (Line)과 공간지각 (Space Perception) 을 응용한 조형예술 분석 = 19 A. 선 (Line) = 22 B. 공간 (Space) = 26 C. 선 (Line)과 공간지각 (Space Perception)을 응용한 조형작품의 예 = 28 Ⅳ. 선과 공간지각을 응용한 복식 연구 = 53 A. 표현재료 및 방법 = 54 B. 작품해설 = 55 Ⅴ. 결론 = 87 참고문헌 = 8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90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공간지각-
dc.subject조형작품-
dc.subjectLine-
dc.subjectSpace-Perception-
dc.subject장식미술-
dc.title선(Line)과 공간지각(Space-Perception)을 응용한 조형작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LINE AND SPACE PERCEPTION APPLIED IN DESIGN PRINCIPLE-
dc.format.pageix, 94 p. : 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