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우숙-
dc.creator정우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4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8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4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827-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에 두각을 나타낸 이근삼은 정통 사실주의적 비극이 주류를 이루어 온 한국 연극계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는 주로 희극을 통한 정치 · 사회풍자와, 서사적 · 극장주의적 기법 등 다양한 연극적 기교의 활용으로 주목받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가지 그의 특징을 검토하며, 나아가 그의 희곡이 추구한 현대성을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주제 인물 · 구성 · 언어 등에 나타난 희극적 면모를 고찰해 보았다. 주제상으로는 예리한 정치비판성과 냉소적 전망의 共存을 확인하였다. 인물과 구성에 있어서는, 유형적 인물과 비논리적 상황 전개로 웃음을 유발시키면서도 아울러 인간행위의 무의미성을 강조하는 이중적 지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언어의 일상성과 아이러니 효과까지 제특성을 살핀 결과, 이근삼 희곡의 희극성은 부조리극적인 어두운 웃음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극장주의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실 橫寫的인 제한된 무대 개념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극적 시 · 공간을 창출해낸 그의 희곡은, 스스로 '연극'임을 드러내며 관객과 직접 대면하는 방식을 자주 취한다. 나아가, 이러한 허구외적 체계의 노출은 허구내적 의미 전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관객의 이성적 판단과 상상력을 요구하는 이러한 연극성의 구현은, 작가가 인생과 세계를 바라보는 복합적 시각의 반영이기도 하다. Ⅳ장에서는, 희비극적 성향으로까지 확산된 그의 희극성을 극장주의적 연극기법과 연결시켜,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의와 단계를 짚어보았다. 이근삼의 희극성에 기초를 이룬 냉소적 아이러니의 시각은, 당대 한국사회의 과도기적 특수성과 무관하지 않다. 동시대의 정치 · 사회 · 도덕적 부패상과 그로인한 인간성의 왜곡을 통렬히 풍자하면서 그 문제의 지평을 인생의 섭리라는 보편적 차원과도 연결시키려 한 이근삼 희곡은, 그 양 차원의 괴리나 전망의 불투명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희곡사의 현대성 획득에 이바지하고 있다.;Lee Kunsam, one of the most promising playwrights in the 1960's, provided a new turning point in the Korean theater groups of the day dominated by conventional realistic tragedy. Lee attracted public attention not only by his comedies which were focus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satires but by adopting such many new devices as epic and theatrical techniques. This thesis deals with the observation of above two traits and then attemptes to survey modernism searched for by his works. Chapter two offers the observation of comical aspects shown in theme, character, plot and dialogue. Theme is discussed to confirm the coexistence of sharp critique in political system and cynical perspective. Character and plot are discussed to observe double inclination which emphasize meaninglessness of human behaviour and induce laughs-one by circumstantial development and the other by typical character. Furthermore, the examination of such various traits as ironic and daily effect of dialogue results that comic represented in Lee's plays was very similar to such black humour as shown in absurd dramas. Chapter three presents theatrical aspects disclosed in Lee's works. Lee's plays, getting rid of limited stage-concept such as copy of reality and thus creating free dramatic time and space, reveals of themselves that they are spontaneously dramas and then frequently take a mode of meeting face to face the audience. Moreover, exposure of out-fictional system as this is able to do much toward development of in-fictional meaning. The embodiment of this theatrical nature, demanding rational judgement and imaginative power of the audience, is the reflection of his mixed view to the life and society. Chapter four will connect Lee's comic spreading to the tragicomic inclination with his theatrical technique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modernism expressed in Lee's plays is given. Lee's cynical and ironical views based on comic is deeply related with the transitional peculiarities in Korean society of the day. Lee's plays bitterly satirized social, political and ethical corruptions of the day and then distortion of human nature dueing to those corruptions. Furthermore, Lee tried to relate dimensions of above problems to providence of life, that is, universal dimension. For that reason, in spite of estrangement between both dimensions and ambiguousness of perspective, his memorable plays has made a tremendous contribution to the flourishing of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A. 기존논의와 문제제기 = 1 B. 1960년대 한국연극의 동향 = 4 Ⅱ. 이근삼 희곡의 희극적 면모 = 8 A. 정치비판 주제와 냉소적 전망 = 9 B. 인물과 구성에 있어서의 이중적 지향 = 19 1. 인물의 유형화와 비논리적 상황 전개 = 20 2. 행위의 무의미성을 통한 부조리극에의 접근 = 30 C. 언어의 일상성과 아이러니 = 44 Ⅲ. 이근삼 회곡의 극장주의적 양상 = 57 A. 무대 개념의 확장 = 57 B. 연극과 관객의 노출 = 65 C. 허구외적 체계의 허구내적 기여 = 78 Ⅳ.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의와 한계 = 92 Ⅴ. 결론 = 102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66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근삼-
dc.subject희곡-
dc.subject한국연극-
dc.title이근삼 희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ee Kunsam's Drama-
dc.format.page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