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합성성 이론(Compositional Approach)에 의한 영어 Donkey문의 분석

Title
합성성 이론(Compositional Approach)에 의한 영어 Donkey문의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English Donkey Sentences on the Basis of the Compositionality Principle
Authors
신경희 .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합성성이론compositional approach영어Donkey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any linguists have studied Donkey sentences on the basis of syntactic and semantic approaches. They have usually focused on indefinite NP and the donkey pronoun 'i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review their investigations and to analyze English Donkey sentences based on the compositional approach. For these purposes,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thesis are introduced. In Chapter Ⅱ, I have examined previous syntactic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Donkey sentences. First of all Chomsky(1981)'s Binding Theory is examined. In his Binding Theory, NP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their respective binding conditions are presented. According to his theory, we can predict that the donkey pronoun' it' is coindexed with the NP 'a donkey.' However, the problem Is that we have to allow a non-intuitive reading in addition to the intuitive reading. The intuitive reading that we want to have is that everyone owns his own donkey and he beats the donkey that he owns. Therefore, in Chomsky's theory we cannot solve the problem that Donkey sentences have. As another syntactic approach, I examined Horstein(1984)'s analysis. He divided quantifiers into three types and extended Chomsky's Binding Theory to account for the types. In his theory, it is argued that the problems arising from Donkey sentences are due to their dual qualities: type Ⅰ quantifier and type Ⅱ quantifier. When a NP 'a donkey' is a type Ⅰ quantifier, the sentence is applied to the rule of Quantifier Raising. Thus, the problem of the scope of 'a donkey' is accounted for. However, we can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the NP 'a donkey' binds the donkey pronoun 'it.' As a type Ⅱ quantifier, although 'a donkey' doesn't c-command the donkey pronoun 'it,' the NP can bind the pronoun. As a result, it is analyzed as involving dual structural descriptions. We can note that Horstein does not account for the fact that Donkey sentences should have dual structural descriptions. In Chapter Ⅲ, I have examined the analysis based on semantic approach. In Montague's PTQ, he analyzes the donkey pronoun 'it' as a logical bound variable. In order to account for the pronoun anaphorical with the NP 'a donkey,' we needed to quantify 'a donkey' into the sentence involving 'it.' Then we have to regard the NP 'a donkey' as having the wider scope than 'every,' In order to get the intuitive reading, we needed another analysis tree. However, this analysis tree can't explain the fact that the NP 'a donkey' binds the pronoun 'it.' Cooper(1979) analyzed the donkey pronoun 'it' as a free variable that has the meaning contextually determined by context of use. Therefore, in one context of use, it is anaphorically used, while in the other case, it is nonanaphoric. He doesn't precisely define the notion of the context of use. That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we can note. Heim(1982)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finite NP 'a donkey.' He suggested that the indefinite NP doesn't intrinsically have quantificational force but is affected by the operators. In other words, he analyzed the indefinite NP as a free variable that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s. When there is not any adverb that restricts the if-clause in Donkey sentences of conditional, he introduced invisible necessity operator(:■). Because of the operator's universal force, the indefinite NP 'a donkey' also has the universal force. This operator played a role in the sentence as an unselective binder, such as the quantifier and the quantificational adverb. This theory is said to be economical since we don't need to have other semantics for pronouns. Kamp(1981) introduced DRS as an intermediate level between syntax and semantics. In Kamp's DRS theory, we can account for the anaphoric relation between 'a donkey' and the pronoun 'it.' However, in his theory, the sentences that have scope ambiguity can't be accounted for. In Chapter Ⅳ, I analyzed the donkey sentences on the basis of the compositional approach. An indefinite NP usually has two readings: specific and nonspecific. If the indefinite NP is nonspecifically interpreted in a donkey sentence, then the sentence violates the Compositionality Principle. Therefore, in order not to violate the principle, I extended Kamp's DRS to 'Extended DRS(EDRS)' forming an algebraical structure, and also modified the semantices of Kamp's theory. I show that the donkey sentences is interpreted from bottom to top and the homomorphism between the analysis tree and the semantic tree is preserved. To conclude, we can analyze the donkey sentences without the violation of the Compositionality Principle.;본 논문에서는 통사론적 접근과 의미론적 접근을 통하여 그간에 있어왔던 Donkey문 분석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Donkey문을 합성성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통사론적 연구로서는 Chomsky(1981)의 결속이론과 Hornstein(1984)외 양화 이론에 따른 확대된 결속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Chomsky의 결속이론에 의하면 Donkey 대명사 it이 a donkey와 공지시를 가짐을 예측할 수는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소유하는 각각의 당나귀가 있어서 그것을 때린다는 해석만을 나오게 하지 못하므로 Donkey문의 분석을 위한 바람직한 이론이라고 보기 어렵다. Hornstein(1984)은 a donkey를 그의 양화사 유형 구분 중 제 Ⅰ, Ⅱ유형에 모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a donkey를 제 Ⅱ유형 양화사로 취급하여 영향권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제 Ⅰ유형 양화사로 취급하여 a donkey가 it을 성분통어하지 않더라도 결속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donkey문의 구조를 지닌 문장들이 왜 그러한 중의적인 이중구조를 가져야 하는지에 관하여는 정확하게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의미론적 접근으로서 먼저 Montague의 PTQ분석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양화규칙 S14와 he_(n)에 의해 대명사를 논리적 묶인 변항으로 설명하고 있다. 대명사 it을 a donkey와 조응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a donkey를 it이 포함된 문장에 quantify-in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러려면 a donkey의 존재 양화사가 every의 전칭 양화사보다 넓은 영역을 갖게 되어 옳은 번역이 나을 수 없다. 따라서 PTQ분석에 의해서는 앞의 통사적 이론과 마찬가지로 Donkey문에 대한 만족한 설명을 줄 수가 없다. Cooper(1979)는 Montague의 PTQ 분석자는 달리 Donkey 대명사를 선행사와 엄격하게 정해진 관계로 보기 보다는 사용 맥락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서 맥락적으로 의미를 갖는 자유변항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어떤 때는 누군가 소유하는 당나귀의 속성을 나타내서 조응적 해석을 갖고, 어떤 사용 맥락에서는 비조응적 해석을 갖는 것으로 보고 있다. Cooper의 분석에서 지적되는 점으로는 사용 맥락등과 같은 개념들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는 점이다. Heim(1982)은 비한정 명사구 'a donkey'를 양화사가 아니고 어떤 연산자에 의존하는 자유변항으로 보고 있다. 그는 관계절의 Donkey문에서는 every 같은 양화사에 의존해서 a donkey가 변항으로 취급되며 every의 영향으로 전칭적 의미 해석을 받는 것으로 보았다. 조건문의 Donkey구문의 경우 특별히 if-절을 제한시킬만한 부사 등이 없을 때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필연 연산자(invisible necessity operator)의 작용으로 a donkey가 전칭적 힘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every같은 양화사나 always등의 양화부사가 포함된 문장에서와 비슷하게 필연 연산자도 비선택적인 결속자 역할을 하게 했다. Heim과 비슷한 분석으로서 Kamp(1981)는 담화표지구조(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이론을 통해 Donkey문을 분석하였다. 통사론과 의미론 사이의 중간 단계로서 DRS를 설정하여 조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게 하였으나 영향권의 풍의성이 있는 문장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Donkey문을 합성성 원리와 결부시켜 생각해 보았다. 보통 a donkey와 같은 비한정 명사구는 대개 특칭적, 비특칭적 해석을 갖고 있는데, Donkey구문에서는 만약 a donkey를 비특칭적 해석을 하게 되면 전체 문장은 합성성 원리를 위배하게 된다. Zeevat(1989)은 Donkey문을 합성성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Kamp의 체계를 수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Zeevat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DRS를 기하 형태로 수정하여 확대된 담화표지구조(EDRS)를 설정하였고, Kamp의 의미론을 수정하였다. 이것은 의미를 담화 지시자의 집합과 그것에 할당되는 것들의 집합으로 정의를 내린 Zeevat의 의미론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그리고 Donkey문을 합성성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기 위해 Zeevat가 제공한 여러 가지 규칙을 적용하여 Donkey문이 아래서 위로 의미 해석을 받음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Donkey문이 합성성 이론을 준수함을 보일 수 있다. 이것은 합성성 원리를 주요 근간으로 하는 진리조건 의미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