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新羅 中代 對日關係에 관한 硏究

Title
新羅 中代 對日關係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Japan in the Middle(中代) Shilla(新羅)
Authors
심경미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신라 중대대일관계정치상황한국역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新羅 중대(武烈王 - 惠恭王)의 대일관계의 실제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이 시기의 외교관계에 대한 연구는 당과의 관계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 그나마 이루어진 나 · 일관계의 연구도 우리측 입장만을 고려 하였고, 또한 문화측면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고려할 때 신라 중대에는 본격적으로 대일외교정책이 추진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정치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중대의 나 · 일관계가 어떠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중대 이전의 양국관계와 중대 이후의 양국의 관계 성립, 전개 및 단절의 과정을 살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신라 중대의 나 · 일관계는 동아시아 국제사회에서의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재되었고 특히 白村江戰爭 이후 양국관계는 당에 대한 공동의 목적에서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당의 침입에 대한 견제세력의 요구와 국제사회에서의 고립탈피라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무열왕계에 의해 전제왕권이 확립되는 文武王 후반기에서 孝昭王까지의 시기에 양국은 당과의 실질적인 교류를 중단한 체 우호협력체제를 유지하였다. 신라는 당과의 대등한 입장을 취하기 위해 일본과의 관계가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聖德王 즉위 이후 신라의 대일정책은 다원외교로의 전환에 따른 양면정책의 구사 등 동아시아 세계의 정세와 신라국내의 정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였다. 한편 일본은 신라의 외교정책의 변화에 불만을 품고 渤海에 접근함으로써 나 · 일 양국관계는 악화되었다. 양국관계가 최악의 상태에 이른 것은 신라측의 일본 사신에 대한 거절사건과 일본이 발해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신라침략 계획을 세운 사실에서 잘 나타난다. 혜공왕의 양국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신라의 국내정세가 혼란에 빠지면서 양국관계는 중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라 중대의 대일관계는 양국자체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3국의 역학관계 속에서 이루어졌고 특히 신라의 대외 정책이 주변정세의 변화에 따라 매우 능동적이고 신축성 있게 대처, 변화 했음을 살필 수 있다.;This article has a purpose on the revelation of the true relationship of shills and Japan in the middle Skills Dynasty(武烈王-惠恭王). Up to the study on the foreign policy in those days has been emphasized on the relationship of Shilla and Tang(唐) and the study on Shilla and Japan stressed on the significance of culture.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east Asia the relationship of Skills and Japan as well as that of Shilla and Tang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it seems that their relationship developed in the aspect of politics. This article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Japan and it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ose days. They built relationship based on their interests; for example, the improvement of their relationship since war of Back-Chon river(白村江 戰爭) due to their interests. They contracted the treaty of friendship to defend the invasion from Tang and avoid the isolation in the east Asia. In Moo-yoel Dynasty(武烈王系), middle Shilla promot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 as a policy to enforce the despotism. The strong defence against China and the friendship with Japan were changed in Sung-deok reign(聖德太子), who improved the relationship with Tang and opened the polyhedral foreign policy. Shilla had dose relationship with Tang and it caused the conflict between Shilla and Japan. The relationship of Shills and Japan entered on a new phase as Bal-hae(渤海) came to have a great political influence. Shilla changed its policy toward Japan to collaboration and high-handed policy and Japan set a plan to invade Shilla. This intension, however, released when Hyo-gong(惠恭王) was assassinated. As a result, we can conclude that the relationship with Japan in middle Shilla built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ang, Japan and Skills. Especilly it connected with the policy to enforce the despotism of Moo-yeol Dynasty(武烈王系) And we also conclude that the foreign policy in middle Shilla was flexible enough to be suited to changes of international or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