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해방기 신진시인 연구

Title
해방기 신진시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ISING POETS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uthors
李起聖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해방기신진시인문학가동맹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직후 문학운동단체인 <문학가동맹>에 소속되어 활동한 김광현, 김상훈, 유진오, 이병철, 박산운, 상민의 작품을 중심으로 해방기 신진시인들의 시 세계를 살펴보았다. 해방기에 새로운 창작활동을 출발시킨 신진시인들은 '진보적 리얼리즘'이라는 문학가동맹의 창작 노선을 견지하면서 시적 실천과 정치적 실천을 결합시키는 노력을 보여준다. 신진시인들은 해방 후 민족적 과제로 제기된 '자기비판'의 문제를 소시민적 자아의 부정을 통해 '전위적 존재'로 변모하는 모습으로 형상화 하고있다. 또한 8.15가 지니는 역사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 속에서 민중적 현실의 다양함과 진정한 해방을 이루려는 변혁의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민중적 존재로의 전이를 지향하는 자아의 노력은 반봉건 민주주의 변혁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민중의 대열에 동참하려는 연대의식을 통하여 강하게 드러난다. 대열의 집단적 움직임 속에서 변혁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하는 민중들의 주체적인 모습을 '전형적' 인물을 통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10월 항쟁이후 민중과 결합할 수 있는 영역의 상실이 상실되는 위기의 상황에서 고립된 자아의 내면이 시적 상황을 이루게 된다. 현재의 절망적 상황을 극복하려는 자아의 의지는 혁명적 낭만주의의 구현을 통한 역사적 전망의 획득으로 드러나게 된다. 신진시인들이 보여준 다양한 양식적 모색은 해방기 시단의 시적 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행사시의 창작은 독서과정을 매개로 한 시인과 독자의 거리에서 탈피하여 현장성에 기반한 대중적 효과를 창출한다. 이것은 이념간의 대립이라는 해방기의 정치적 특수성 속에서 문학이 지닌 운동적 기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에서 현실성을 담아내기 위한 서사적 요소의 수용, 단편서사시의 창작과 해방의 역사적 의미를 총체성 속에서 구현하려는 서사시의 창작은 식민지시대 문학의 양식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시사적 의미를 지닌다. 신진 시인들은 민중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시 창작의 출발로 삼아 시인의 세계관의 직접적 표출로 인한 공식주의 경향을 벗어나고 있어 해방기 시단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다. 다양한 양식적 모색과 해방기 현실과 민중적 정서의 형상화를 통한 리얼리즘적 성취는 시에서 현실성 회복을 위해 노력했던 식민지 시대 프로문학운동과 해방기 시단을 이어주는 귀중한 성과라 할 것이다.;This stuff explored into the world of poetry of the rising poets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chiefly concerned with the works of Kim Kwang-hyun, Kim sang-whun, Yu Jin-oh, Lee Pyong-chul, Park San-wun and Sang Min who acted positioned at the 'writers confederatin, a community of literary movement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Emancipation. The rising poets who set off a new creative writing activity at the period of Emancipation shows to us an effort to combine poetic and political practices together maintaining the creation route of the writers confederation, that might be so called 'progressive realism.' They shape the issue of 'self-criticism' presented as a national assignment after Emancipation into an appearance transfiguring into 'transitional being' through a derial of the self as a petit bourgeois. The transfiguration of self is revealed into a positive apperance attempting to carry out the historical assignment through a severance with forefathers who are those of embodiment of the .feudalistic ideology and also through a choice of a progressive ideology. Also in a critical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limitness that the emancipation of August 15th has, they shape a revolutional trill to peform a variety of democratic reality and true Emancipation. the effort of self directing a transition into a dimocratic being is strongly revealed through an allied ocnsciousness to participate together in the popular progression toward the asigned anti-fendal democratic revoluiton. The subjective, independent figure of the populace that grow into a main force of revolution in the group movements of the progression is shaped through a 'typical' character. In the situation of crisis in which a niche that can be cobined with the populace is lost after the Resistance of Octobr, the inside of isolated ego makes a poetic circumstance. The will of ego to overcome the present desperate situation appears to acquire a historical prospect through a concretization of revolutional romanticism. the manner of groping for a variety of mode shown by the rising poets contributes to an extension of the poetic spheres of the circle of poets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The creation a ceremonial poetry creates a popular effect based on scenical nature escaped from the conventional sphere of literature, that is the poet and the reader. It is what showes the movemental function that literature has within a political particularit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that may be said an antagonism of one ideology against another. The adoption of epic elements to contain reality in poetry, reation of short. epic poetry and creation of epics to realize the historical meaning of Emancipation in totality have a poetic-historical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y are a model succession of the literature of the colonial age. with a deliverance from a tendency of fomalism caused by a direct representation of the poet's view of the world, that is, for they start from a critical recognition of the popular reality in creating poetry, the rising poets overcome problems of the circle of poets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 seek for a varity of mode and a realismic accomplishment through figuration of the realit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nd the popular emotion has a worth to be mantioned as a precious product that connects the professional literary movements of the colonial age that tried to recover reality in poetry and the circle of poets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