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의복구매에 따른 불만족과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의복구매에 따른 불만족과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umer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by Clothing Purchase
Authors
허상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의복구매여대생불만족불평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사회적 태도와 의복불만족크기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의복구매에 따른 불평행동 및 점포분위기 선호도를 살펴봄으로써 의복에 대한 불만족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점포분위기전략에 도움을 주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사회적 태도에 따라 의복불만족과 불평행동 및 점포분위기 선호도를 분석 비교한다. 둘째, 여대생의 의복불만족 크기집단에 따라 불평행동과 점포분위기선호도를 분석 비교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여대생 2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표본추출은 학교, 학년, 전공을 고려한 층화추출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적 태도, 불만족과 불평행동, 점포분위기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본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α, 빈도, 백분율, 평균점수, t-test, F-test(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X^(2)-test,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복구매의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만족과 소비시스템불만족에서 사회적 태도집단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태도는 불만족책임전가와 재구매 의사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분위기에서는 판매촉진물의 제공, 음악의 종류에서 집단간 의미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2. 의복구매행동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인 쇼핑 및 구매시스템불만족은 최종단계인 의류제품의 소비시스템불만족에 간접적으로 흑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만족크기집단간 불만족책임대상, 재구매의사에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분위기선호도에서는 불만족크기집단별로 판매원의 인상, 나이, 음악의 종류와의 관계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benefical foundation which can aid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 of clothing dissatisfaction a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about consumer's complaining behavior and preferences to the store atmosphere attribute among clothing consumer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cial attitude and dissatisfaction system. For this purpose, first, college women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ocial attitude and consumer dissatisfaction, complains behavior and preference to the store atmosphere by clothing purchases. Second, consumer dissatisfaction, complaining behavior and preferences to the store atmosphere by clothing purchase analyzied by dissatisfaction system groups. Finally, thge direction of dissatisfaction reduce and store atmosphere strategies are compared and analyzied by each consumers group. Subjects were gathered into stratified sample groups from six universities in Seoul, being subdivided according to their each school year and the three kinds of their majors. And, for analyses of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Cronbach'α, X^(2)-test, t-test, F-test, Duncan Multiple Range test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analysing dissatisfaction by clothing purchase college women wer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hopping system dissatisfaction, buying system dissatisfaction, consuming system dissatisfaction. 2. College women did consumer complains behavior regardless groups. However they wer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ttribution of dissatisfaction, repurchase idea. 3. College women took a serious view display of clothing goods, cleanness, sales personnel in the clothing st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