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香熙-
dc.creator金香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3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26-
dc.description.abstractThe Blue and White porclains are called as a most beautiful masterpiece of potteries in the world. On according to the records and the remains excavated,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seem to have begun to be produced actively about from 1310 to 1319.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o the records,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have been made from the end of Sejong reign in Chosun Dynasty.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in Korea started about 1450 and succeeded even to nowadays. As it is a common understandings that th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especially those made in 15th and 16th century, the emphases are given to finding out the style of pure paintings at those centuries by analyzing the picturesqu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 in 15th and 16th century. Among the porclains, at those centuries only a few can get a precise age all right, but the out-line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drawings of porclains. Therefore this thesis tries to make clear the style of paintings at that era by comparing th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with the paintings, and moreover to make clear the style of paintings in China by the comparison with the Chiness paintings. Prunus, birds, bamboos and pine trees were mainly used for th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from 15th to 16th century and a shoal of fishes, grapes and pinks were also used not frequently but sometimes. As to the composition of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of 15th century, the surface of the porclains are filled with the prunus and bamboos one above the other, but at the end of 15th century, prunus and bamboos become to be separated and sense of spaces came out. The tendency of space expanding continued until the beginning of 16th century but after the middle of that century, the tendency to fill the surface of the porclains appeared again. The drawings of prunus are shown as tangled branches and arborescent brushworks of Ma Wien; the one appears when it is composed with bamboos and the other appears when it is drawn independently. And the tangled prunus were drawn exquisitely in 15th century but tangles of prunus's stump disappeared from 16th century and the prunus showed as S-Shape. The twigs of prunus in the brush of Ma Wien changed gradually from a sudden bending to a slow curve. The drawings of bamboos in 15th century had large and long bamboo bladesm and thick culms with clear outlines. But gradually the blades changed small and narrow without autlines. From 16th century, the bamboo blades become shorter and narrower and the twigs became obscure of lessened. And after the middle of 16th century small blades appeared in a bunch. It is on records that the afore-mentioned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were drawn by the members of the Royal Academy of Arts and besides, in fact, the drawings have relevance to the paintings. In the history of painting it is said that 15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painting style of Sung Dynasty? especially the painting style of Northern Sung Dynasty which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yo, was prevailing. On the contrary, there remains no paintings which seems to be affected by Northern Sung while th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show a similarity with the paintings of King Hwei Choong and Chui Peo and Li Ti who were the members of Academy in Northern Sung. And the drawings of pine and bamboo show a similarity with the paintings of Lyu Soong Nien and Ma Wien of Southern Sung and the drawings of Son Goon Taik of Yuan and we can find out that the drawings of bamboo have a relation with the drawings of bamboo in ink by Lee Soo Moon and Pak Paing Nyon of Chosun. The drawings of prunus blossoms are similar to the drawing of prunus in ink and bear a close resemblance in detail description to the Yang Paing Son's drawing in Chosun. Birds have a connection with Kim Jeong's drawings and bamboos are alike with the bamboo in ink by Kwan Do Seung and Ka Goo Sa of Yuan and the drawing of bamboo in ink by Sin Sa Im Dang of Chosun. Therefore observing the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s on the bases of overall analyses of them,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event paintings, it can be understood that in 15th century, style of the Royal Academy of Arts in Hwei Choong reign and the brush of Ma Wien and Lyu Soong Nien of Southern Sung and also the style of Yuan which succeeded the tradition of Ma Xia School were in popular use and moreover that there was a style of drawings of prunus in ink and bamboo in ink of Yuan era.;中國의 靑華白磁는 文獻 기록과 발굴된 유물을 토대로 볼 때 대략 1310년에서 1319년경부터 활발하게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朝鮮時代의 靑華白磁는 문헌에 의하면 世宗末경부터 만들어졌다고 하므로, 우리나라 靑華白磁의 歷史는 대략 1450년경에 시작됐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5·16세기에 그려진 靑華白磁의 文樣은 전문 畵家가 그렸기 때문에 繪畵性이 있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15·16세기 靑華白磁에 나타난 繪畵的인 文樣을 분석함으로써 그 당시 純粹 繪畵의 畵風을 보고자 한다. 15·16세기의 靑華白磁 중에서 정확한 연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한·두점 뿐이나 대체적인 編年은 陶磁文樣과, 器形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15·16세기에 어떠한 畵風이 있었는지, 또 繪畵史에서 말하는 中國畵風이 실제로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15·16세기에 만들어진 靑華白磁의 文樣은 梅·鳥·竹·松이 주를 이루고 드물게 群魚·葡萄·패랭이 꽃도 등장한다. 構圖는 15세기에는 器面 전체를 梅와 竹이 겹쳐져서 가득채우고 있던 것이 점차 梅와 竹(혹은 松과 竹)이 분리되고, 다소 공간감이 생긴다. 이처럼 여백이 확대되는 경향은 16세기 전반경까지 계속되나 16세기 중엽 이후가 되면 다시 器面을 가득 채워, 여백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梅花文은 등걸에 꼬임이 있는 형태와 馬遠畵風의 樹枝法을 보이는 것으로 분리되는데, 전자는 竹과 함께 구성됐을 때 나타나고, 후자는 梅花단독으로 구성됐을 경우에 나타난다. 꼬임이 있는 梅花는 15세기에는 鉤勒을 사용하여 세부를 섬세하게 표현한데서, 16세기에 들어서면, 梅花 등걸의 꼬임이 없어져, S字形 구도를 이루며, 점차 沒骨法으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 馬遠畵風의 樹枝法을 보이는 梅花는 가지가 급격히 꺽이는데서 점차 각이 적어지는 변화를 보인다. 竹文은 時代의 推移를,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데, 15세기에는 鉤勒法으로 윤곽을 정확하게 그리고 댓잎은 크고 길며, 줄기도 다소 굵은편에서, 점차 沒骨法으로 이행하고, 댓잎도 작고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16세기에는 댓잎이 더욱 가늘고 짧아지며, 幹枝가 약화된다. 또 작은 댓잎이 뭉쳐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대나무의 인상을 잃어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靑華白磁의 文樣은, 畵員이 그렸다는 기록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繪畵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점이 많아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繪畵史에서, 15세기에는, 宋代畵風이 유행했는데 특히 고려때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徽宗代의 畵風이 크게 유행했던 시기였다고 하나 繪畵에서는 北宋의 영향이 나타나는 작품이 없는 반면 15세기의 靑華白磁의 梅竹文은 北宋의 崔白, 이적과 같은 畵員과, 徽宗의 그림과 유사함을 보인다. 또 松竹文은 南宋의 劉松年, 馬遠의 그림과 유사함을 볼 수 있고, 竹文은 朝鮮時代 李秀文, 安堅, 朴彭年의 竹圖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6세기의 梅花文은 元代 王冕의 그림과, 朝鮮時代 梁彭孫의 그림에서 유사함을 찾을 수 있었고 竹文은 元代 柯九思와 朝鮮時代의 申師任堂의 竹圖와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文樣의 분석과 繪畵와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볼 때, 15세기에는 徽宗代의 院體畵風을 위주로 한 北宋畵風과 南宋의 馬遠, 劉松年의 畵風, 그리고 馬遠畵風을 계승한 元代의 畵風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에는 元代 墨梅, 墨竹畵風이 있었다는 것을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靑華白磁의 文樣은, 畵員이 그렸다는 기록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繪畵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점이 많아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繪畵史에서, 15세기는 宋代畵風이 유행했는데 특히 고려때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徽宗代의 畵風이 크게 유행했던 시기였다고 하나 繪畵에서는 北宋의 영향이 나타나는 작품이 없는 반면 15세기의 靑華白磁의 梅竹文은 北宋의 崔白, 이적과 같은 畵員과, 徽宗의 그림과 유사함을 보인다. 또 松竹文은 朝鮮時代 李秀文, 安堅, 朴彭年의 竹圖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6세기의 梅花文은 元代 王冕의 그림과, 朝鮮時代 梁彭孫의 그림에서 유사함을 찾을 수 있었고 竹文은 元代 柯九思와 朝鮮時代의 申師任堂의 竹圖와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文樣의 분석과 繪畵와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하여 볼 때, 15세기에는 徽宗代의 院體畵風을 위주로 한 北宋 畵風과 南宋의 馬遠, 劉松年의 畵風 그리고 馬遠畵風을 계승한 元代의 畵風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에는 元代의 墨梅, 墨竹 畵風이 있었다는 것을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Ⅲ Ⅰ. 序論 = 1 Ⅱ. 靑華白磁의 背景 = 5 A. 中國 靑華白磁의 起源 = 5 B. 朝鮮時代 靑華白磁의 생성 = 7 Ⅲ. 靑華白磁 文樣의 특색 = 11 A. 15세기 = 11 1. 梅竹文 = 12 2. 梅花文 = 20 3. 기타문양 = 21 B. 16세기 = 21 1. 梅鳥竹文 = 22 2. 梅竹文 = 25 3. 梅花文 = 27 4. 기타문양 = 28 Ⅳ.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관계 = 32 A.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 = 33 1. 15세기 = 33 2. 16세기 = 49 B. 音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를 통해 본 15,16세기 繪畵의 경향 = 55 1. 15세기 = 55 2. 16세기 = 59 Ⅴ. 結論 = 61 參考文獻 = 64 圖版目錄 = 67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780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청화백자-
dc.subject문양-
dc.subject회화-
dc.title朝鮮時代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5, 16세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PARISON OF DRAWINGS ON THE BLUE AND WHITE PORCLAIN WITH PAINTING-
dc.format.page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