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엮음수심가사설의 構成方式과 장르적 特性

Title
엮음수심가사설의 構成方式과 장르적 特性
Other Titles
(The) Construction Formula and Genre Quality of Yoekkum Sushimga Account
Authors
任恩實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엮음수심가사설사설시조유행시가유행사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세기 이후 분화 · 가창된 노래들이 다양한 장르교섭과 혼효양상을 보인다는 것은 詩歌논의에서 꾸준히 지적되어온 바다. 그러나 당시의 노래들은 장르적 유형성이나 규법성을 찾기 어려워 이들을 한데 묶어 논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보다 유형적인 갈래를 찾아 장르교섭에 대한 현상과 의미를 집중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당시의 詩歌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는 이에 <엮음수심가>의 사설갈래에 대한 장르현상을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의 출발은 <시조>와 <수심가>계 노래가 음악적 문학적 측면에서 서로 무관하지 않은 장르기반을 보인다는 것으로써 두 장르의 연계성에 대한 立論을 세웠다. 이때 정격인 <평시조>와 <단형수심가>보다 변격인 <사설시조>와 <엮음수심가>가 장르적 공감력이 더욱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서 엮음수심가의 장르성격에 논의를 집중시켰다. 논의 경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Ⅲ장에서는 엮음수심가의 사설자료를 를해 형식상의 텍스트성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엮음수심가의 사설양식이 사설시조와 유사함이 밝혀졌으며 이로써 엮음수심가는 사설시조를 계승한 파생장르임이 확인되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엮음수심가의 장르특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는데 즉 사설시조를 변용한 민요로서의 측면과 通俗詩歌로서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전자에서는 사설시조에 객체적으로 수용되어있던 민요적 성격을 엮음수심가에서 주체적 자질로 변용시켰음을 알 수 있었으며, 후자에서는 당대의 유행시가에 특징적으로 나타났던 여러 징후를 엮음수심가에서도 역시 장르특성으로 구비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로써 엮음수심가는 사설시조를 계승하였으되 그와는 또한 변별되는 통속민요로서의 장르성격을 갖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Ⅴ장에서는 이와 같은 엮음수심가의 장르현상에 대해 그 형성배경과 의미를 고찰했는데 주로 19세기 시가현상 일반과 관련지어 논의했다.;The appearance of confusion Phenomenon and genre connection by which the songs had been divided and sung since the 19th century has been indicated constantly in the discussion of poetry.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discuss the songs with one binding together because the songs at that time difficulties of looking for genre type and regularity. Therefore I think that to grasp the meaning and phenomenon about the relation of genre concentrately is expec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poetry at that time. This investigation intended to discuss the genre phonomenon about the account branch of Yoekkum Sushimga. The start point of discussion made an argument about the connection of two genres in showing that the songs in the "Sijo" and "Sushimga" systems is related with the cultural and musical aspect. At this time, this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Sasul Sijo" and "yoekkum Sushimga", the irregular forms is more constructive in the genreresponse than the "Pyung Sijo" and "Danhyung Sushimga", the regular forms and concentrated on the discussion of genre quality of " Yoekkum Sushimga". The developme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ings: In Ⅲ section, it investigated the quality of formal text through the account data of "Yoekkum Sushimga". In this course, the account form of "Yoekkum Sushimga" is regarded as a derivation genre succeeding "Sasul Sijo". In Ⅳ section, this Part investigated the genre quality of "Yoekkum Sushimga"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is means that this surveyed the "Sasul Sijo" in the aspect of transformational folk and an aspect of popular poetry. Then, in the former, the following facts are understood that the folk quality received in the object of "Sasul Sijo" has transformed into the subject quality in the "Yoekkum Sushimga", while in the latter the various indications showing the popular poetry at that time possessing the genre quality also in "Yoekkum Sushimga" is revealed. Because of this, "yoekkum Sushimga" is succeeded by the "Sasul Sijo" and, while have a genre quality as popular folk discriminating from "Sasul Sij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