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一山平野의 地形과 開發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Title
一山平野의 地形과 開發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Other Titles
(A) Geographical Study of Ilsan Plain Landforms and Reclamation Processes
Authors
安榮子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일산평야평야지형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一山平野는 金浦平野와 더불어 漢江의 最下流에 발달한 해발 10m 미만의 沖積平野로서 경기도 高陽郡의 知道邑, 一山邑, 松浦面에 걸쳐있다. 一山平野는 一山邑內에서 二出浦로 이어지는 낮은 丘陵에 의해서 '일산들'과 '노루메벌'로 나뉘어 있다. 一山平野는 서울에 인접해 있다. 그러나, 휴전선에 가까워서 開發이 지연되었기 때문에 각종 地理的 現象들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本 硏究에서는 一山平野에서 지리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自然 및 人文 現象의 종합적인 조사를 통하여 가급적 일산평야의 總體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硏究目的을 두었다. 本 硏究에서는 주로 漢江의 水文 및 이와 관련된 平野地形의 發達過程을 究明하고 평야의 土地利用에 변화를 가져온 開發過程을 조사하였다. 일산들과 노루메벌은 漢江의 洪水位 및 潮汐과 관련하여 地形의 構成에 차이가 나타난다. 홍수위가 비교적 높은 일산들은 自然堤防의 발달이 뚜렷하나, 홍수위가 平常時의 高潮位보다 그리 높지 않고 潮差가 큰 노루메벌은 자연제방이 없고, 전체적으로 극히 低平하다. 一山平野는 현재 거의 전부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近代的인 水利施設이 갖추어지기 전에 丘陵地에서는 얕은 골짜기에 조성한 동, 沖積地에서는 背後濕地에 조성한 일종의 遊氷地, 한강의 小支流 등을 灌漑用水源으로 이용하였으며 土地利用이 극히 粗放的이었다. 1945년 高陽水利組合의 설립을 계기로 揚水施設이 확충, 보완되면서 일산평야 전역의 농경지는 오늘날 거의 水利安全畓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排水施設은 아직 미비하여 集中豪兩時에는 浸水被害를 크게 입는다. 一山平野의 開發은 지금도 排水施設의 확충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다. 일산들의 自然堤防에는 開拓村으로서 발달한 白新, 島村, 山鹽, 舞劍 등의 集村이 帶狀으로 발달되어 있다. 開拓이 늦어진 노루메벌에서는 처음부터 散村이 발달하였으며, 그 흔적은 지금도 남아 있다. 沖積地의 聚落에서는 上水道가 공급되기 전까지는 濾過裝置를 만들어 地下水를 걸러서 食水로 사용해 왔다.;Ilsan Plain is located on the lower reach of the Han River, near the confluence point of the Han and Imjin Rivers. It comprises Ilsan-u­p, Jido-u­p, Songpo-myo­n of Koyang-kun and consists of alluvial plain under 10-meter contourline above the sea level. Ilsan Plain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by low hills, that is, 'Ilsan-tu ̄1' and 'Norme-po ̄1'. Though Ilsan Plain is close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area has kept rural landscapes and original landforms comparatively well, partly because it is located not far from the Demilitarized Zon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is a study of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with an emphasis on landform and reclamation for farm land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alluvial plain and changes of land-use. Natural levees have developed along the Han River of Ilsan-tu­l due to the high flood level during the summer monsoon. However, Norme-po­l located close to the river mouth does not have natural levees because of lower flood levels and higher tidal effects. Presently, Ilsan Plain is covered mostly with paddy field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irrigation technology, Tong(동), an artificial bankment for temperary reservoir during winter season, was widely used as small valley irrigation system. In the lower alluvial plain, small reservoirs located on the back-swamps and small streams flowing towards the Han River were used for the irrigation of paddy fields. Due to the construction of irrigation network by Koyang Irrigation Company established in 1945, paddy fields of Ilsan Plain have become perennial irrigation fields without any drought hazards. However, drainage systems during flood period are not satisfactory yet, and more drainage canals and pomping stations are needed for the increase of rice production. Along the natural levee of Ilsan-tu ̄1, reclamation settlement such as Packsin (白新), Tochon (島村), Sanyom (山鹽), Mukom (舞劍) are mostly formed as the consentrated village type. Norme-po ̄1 reclaimed later than Ilsan-tu ̄1 shows the relics of the scattered settlement. Before the recent introduction of modern waterworks, most villages used ground water with filtering dev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