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재인-
dc.creator서재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2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889-
dc.description.abstract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belived to be made during 4th to 6th centuries of the Kaya-Silla period represent Kaya-Silla earthenwares. They have been dug up in large quantities from Kaya-Silla ancient tombs, varying in their forms. Because of their varying forms and shapes,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present important data portraying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Kaya - Silla earthenwares. The studies on the hardened, long- necked potteries, however, have been very limited to the ones excavated around Kyungju remains and, therefore, broader review on potteries from the Kyungsang Province area, especially from the Kaya kingdom area, has been non-existen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paper on changes and processes of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hasn't yet to be published. This paper, therefore, is intended to find out formal changes made with the patters from Kaya era and record chronologies in terms of substantial study on 1054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excavated from Kaya-Silla ancient tombs. In chapter Ⅱ,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background, leading to the discoveries of Kaya - Silla earthenwares, In chapter Ⅲ, this paper deals with the origin or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It is believed that by the time of later part of Neolithic era, they were first made at the Aprok River Valleg in today is northern Korea and their production-technology had been handed down from as early as Bronz Age, early Iron Age, and early Kaya-Silla Society(1st-3rd century). This paper clearly indicates that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were fire-hardened. The paper examines and substantiates, in the chapter Ⅳ, that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were characteristically distributed along the Western part, Southeastern part, Centered and Northern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reaching around Kyungiu area. This classification was made after a careful review of types of 1054 pot-teries excavated around this region. In chapter Ⅴ, 4 steps of changes and processes were made on the basis of aspects of the hardened, long-necked potteries examined in chapter Ⅳ, and recording chronologies were established. Finally, forms and patterns characteristic to each period, has been examined. By means of this study, the writer tried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hard-ened, long- necked potteries represent people's esthetic senses and everday life of Kaya-Silla in 4th to 6th Century, and that they well demonstrate Korean people's folk culture. They also clearly show that there various changes had been made in close relation to Korea's historical and cultural developments.;국문,영문초록 수록;4세기에서 6세기의 가야·신라 시대에 제작된 硬質長頸壺는 伽耶·新羅土器를 대표하는 器種으로 영남 각 지역의 가야·신라 고분군에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다량으로 출토되고 있다. 따라서 장경호는 가야·신라토기 발전 양상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런데 장경호에 관한 연구 현황은 慶州출토의 장경호를 위주로 한 기초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을 뿐이며 영남 각 지역의 장경호 양상 특히 가야 지역 장경호의 발전 단계 규명은 매우 미비한 형편이다. 즉, 장경호의 변천 관정에 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 단 한편도 없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가야·신라고분 출토의 硬質의 長頸壺 1054점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고찰을 통해 장경호의 변천 과정과 편년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가야·신라토기가 제작, 발전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여 보았다. Ⅲ장에서는 가야·신라장경호의 기원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신석기 후기 무렵 압록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장경호의 제작전통이 청동기, 초기 철기 및 1~3세기의 초기 가야·신라 시대에 걸쳐 계속 이어져 내려왔음을 알았다. 바로 이런 장경호의 제작전통에서 4세기 후반경 硬質燒成의 가야·신라장경호가 발생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영남의 각 지역 고분출토 장경호 1054점의 기형별 분류를 통해 장경호가 落東江 西部, 東南部, 中·北部, 慶州 중심으로 특색있게 분포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입증했다. 또한 각 지역권의 가야토기와 신라토기 영역구분은 4~6세기 가야사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구분되고 명칭 되어야 함을 제기했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살핀 장경호 양상을 토대로 4단계의 장경호 변천 과정을 추출하고 그에 관한 편년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시기별 기형과 문양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4~6세기의 경질 장경호는 우리 민족의 독특한 토속적인 문화를 대표하는 도예품으로서 가야·신라인들의 美的意識과 생활감정이 그대로 반영되고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으며 다양하게 변천되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鈴 = 1 A. 硏究史 및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 4 Ⅱ. 歷史的 背景 = 7 Ⅲ. 起源과 發生問題 = 15 A. 起源 = 15 B. 發生問題 = 23 Ⅳ. 地域別 特徵 = 29 A. 伽耶, 新羅土器 地域區分 = 29 B. 各 地域別 長頸壺 특징 = 34 1. 洛東江 西部圈 = 34 2. 洛東江 東南部圈 = 47 3. 洛東江 中ㆍ北部圈 = 52 4. 慶州圈 = 58 Ⅴ. 長頸壺의 時期區分과 變遷 = 63 A. 時期區分 = 63 B. 長頸壺의 變遷 = 73 Ⅳ. 結論 = 95 參考文獻 = 98 <圖版 1> 고령ㆍ함양 출토 장경호 = 105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24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야-
dc.subject신라-
dc.subject장경호-
dc.subject고분-
dc.title伽耶·新羅 長頸壺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4~6世紀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ong-necked potteries in the Kaya-Silla Dynasty : centered on the 4th to 6th centuries-
dc.format.pagevi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