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T. S. Eliot의 詩論 연구

Title
T. S. Eliot의 詩論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 S. Eliot Theory of Poetry
Authors
車和恩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T. S. Eliot시론영어영문학Eliot, T. 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비평가로서 또한 시인으로서 Eliot이 이룩한 기여는 하나의 공인된 사실이다. 본 논문은 전통, 몰개성 시론, 감수성의 통합에 대한 이론 등 그의 중요한 비평 개념들을 상세히 검토함으로써 Eliot의 문학 비평의 중요 쟁점을 살펴본 것이다. '전통'은 Eliot의 비평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그것은 문학 비평의 규범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Eliot은 전통을 크게 보아 질서의 문제라고 생각하였고, 反낭만주의의 입장에서 고전적인 질서의 원리로 전통 의식의 필요성을 얘기하였다. 그러므로 문학의 전통은 독자적인 발전력을 갖고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의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유럽 전체의 문학이 동시에 존재하는 질서 체계라고 규정할 수 있고, 이는 역사의식으로써만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문학의 전통은 어떤 시대의 예술가일지라도 진정한 예술가라면 반드시 자신을 바쳐야만 하는 무의식적인 공통의 유산이므로 예술가를 평가하는 비평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Eliot은 항상 '무엇을 쓸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쓸 것인가'하는 문제에 주력하였다. 결국 몰개성 시론은 Eliot의 고전적 형식론과 詩的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詩作의 방법에 대한 모색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시란 '정서로부터의 도피'이고 '개성으로부터의 도피'이다. 그러나 이것은 Eliot이 정서나 개성을 부정한 것이 아니고, 몰개성의 과정를 거침으로써 보편적인 진실성을 포함하고 있는 예술적 정서의 표현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the objective correlative) 이란 개별적인 정서가 객관화된 형태로서, 예술적 정서를 표현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감수성의 통합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면, Eliot은 17세기의 영국 시인들이 가졌던 통합된 감수성, 즉 사고와 감정이 융합된 상태의 감수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John Donne 이하 형이상학적 시인들을 재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된 감수성의 개념과 프랑스 19세기의 상징주의자들의 이론이 갖는 유사성에 착안하여, 그 시에서 양자의 전통을 결합시키고자 시도하였다. 많은 비평가들이 Eliot의 비평의 전후 모순과 일관성의 결여를 지적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변화와 다소의 비일관성을 그의 知的 발전의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로 해석하고 그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Eliot이 현대 문학에 끼친 지대한 영향력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As a critic and as a poet, Eliot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fine the concepts of Eliot's literary criticism by examining some important issues of his critical writings such as "tradition," "impersonalism," and the doctrine of "dissociation of sensibility." The word "tradition" is the key term in Eliot's critical writings. It presents a criterion of literary criticism. Elio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as a principle of order in his Anti-Romantic standpoint. Literary tradition is a simultaneous order of the literature of Europe as an 'organic whole,' and can only be perceived by the historical sense. It is an unconscious common inheritance to which the true artists of any time must devote themselves, and, there-fore, is a principle of criticism for appreciating them. Eliot has always been more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write" rather than with that of "what to write." The "impersonal theory of poetry" is Eliot's ideas of classical form and poetical techniques of how to express poetic images. According to him, poetry is 'an escape from emotion' and 'an escape from personality'. It means not a rejection of emotion or personality but an expression of artistic emotion with a general truth in the process of depersonalization. The "objective correlative", therefore, is the formula of objectified particular emotion, and the only way of expressing this artistic emotion. Lastly, in the doctrine of "dissociation of sensibility" Eliot demanded 'unified sensibility' of the English 17th century poets, the fusion of thought and feeling, and revaluated John Donne and other metaphysical poets. And he paid attention to the similarity between this unified sensibility and the symbolism of the French 19th century symbolists. Eliot is the poet to try to combine these two traditions in his poetry. Many critics point out that Eliot was not consistent through-out his whole critical writings. But Eliot's incoherence may be regarded as part of his development as a critic. My intention in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im positively and to reaffirm his great influence on modern literary critic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