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9 Download: 0

三說記 硏究

Title
三說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Sam Sol Ki'
Authors
鄭愛리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삼설기고전소설단편소설방각본소설설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三說記」는 9편의 단편이 한 데 묶여진 고전 단편소설집이다. 최초의 방각본 소설로서 그 간행연대가 1848년으로 추정되어 고전소설로서는 상당히 일찍 형성된 작품에 속한다. 본 논문은 작품의 형성과정을 탐색한 章과 작품 자체를 연구한 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작품의 서지적 검토를 하였는바 현재 전해지는 방각본과 구활자본을 살펴보고, 이본 간의 차이를 해명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삼설기」에 수록된 작품들이 설화, 한문단편, 歌辭에 근원을 두고 발전되어 온 것임을 알고, 그 형성과정을 추정했다. 아울러 「삼설기」 편자가 아무 작품이나 함께 모으지는 않았을 거라는 전제 아래 「삼설기」로의 형성기반을 살펴보았다. Ⅲ장의 作品論에서는 먼저 「三說記」 각 작품의 주제를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삼설기」 所載 作品들이 주제상에 비슷한 흐름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立身揚名보다는 근검 걱정없는 隱逸的인 삶을 원하는 변모된 선비사회의 행복관, 强者들의 경화된 권위의식과 허세에 대항하는 弱者들의 실력과 논리, 부패된 사회상과 인간성의 결점에 대한 풍자, 인간 본연의 情理에 충실할 것을 주장하는 「삼설기」의 주제들은 치밀한 인간성 탐구와 결과를 함 축하고 있다. 「삼설기」편집자는 사소하고 평범한 인간상에서 인간의 삶에 대한 보편적 진실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흥미본위로 쓰여진 기존의 군담소설이나 애정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것으로서 「삼설기」가 지닌 意義가 된다.;'Sam Sol Ki' which is composed of the short stories of 9 pieces in a volume is the we of peculiar form. In addition, it, the first Bang Kak Bon novel, belongs to one of the earlier time as it was publicated in 1548. This study is advanced by the examination of bibliographical items and the chapter of the theory on work. Bibliographical examination is begun from the outline of the materials. I compared 'Bang Kak Bon' with the old printed book and studied them and made clear the difference out of one version. And next, the works gathered in the 'Sam Sol Ki' have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fables, chinese short stories, the old form of Korean verse, so I presumed its process of form. In addition, I look out the foundation of the form of 'sam Sol Ki' under the premise that the editor of 'Sam Sol Ki' would not gather any works consciouslesly. At first, In the theory on work of the 3rd chapter, I analysised each character and theme of 'Sam Sol Ki', and as a result, I extricated the type nature of the theme. I looked out what does the type nature of the works printed in 'Sam Sol Ki' mean and how it is connected to the value of 'Sam Sol Ki'. It is feature of this study that I not only studied each work printed in the 'Sam Sol Ki' but also tried to look 'Sam Sol Ki' as one work and the insufficient that I didn't reach the searching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posision of 'Sam Sol K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