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新羅 聖德王代의 對外政策 硏究

Title
新羅 聖德王代의 對外政策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Shilla's foreign Policy toward Tang in the King of Sung-duk period
Authors
趙二玉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신라성덕왕대외정책한국역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新羅 第34代 聖德王代(702-737) 盾과의 외교관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고의 작성은 성덕왕대 외교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재검토하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지금까지 외교사를 다루는데 있어 우리측 입장만을 고려해 단편적 · 일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 둘째, 지금까지 성덕왕대에 활발하게 진행된 羅 · 唐關係를 단지 성덕왕의 왕권강화 방편으로만 이해해 왔다는 점, 셋째, 고구려의 후신인 발해의 건국에 따른 위협때문에 당과 활발한 외교관계를 맺었다고 이해해 왔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에 필자는 주로 성덕왕의 왕권강화문제와 관련하여 대외정책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즉, 성덕왕은 「三國史記」기록에 의하면 재위 10년을 전후하여 다소 약화되었던 王權을 어느 정도 회복하고, 이같이 강화된 왕권을 기반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외교활동을 전개시켜 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이 시기에 만주에 위치한 발해는 698년에 건국한 이래 국내의 정치문제때문에 신라와 두드러진 외교활동의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羅 · 唐 외교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발해의 위협에서 연유한 것이라는 시각은 적어도 성덕왕대의 외교에서는 별로 타당성을 갖지 못할 것 같다. 이상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신라 국내 · 외의 상황 및 당시 唐이 처한 상황 등을 살펴, 양국의 외교활동과 그 변천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고찰한 결과 신라 성덕왕대의 對唐외교정책을 크게 세가지 면에서 그 성격을 논할 수 있었다. 첫째, 羅 · 唐전쟁 이후 불편했던 양국관계를 청산하고, 이에 唐중심의 국제무대에 신라의 위치를 부각시킬 수 있었고 이에 따라 盾의 新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하여 羅 · 唐 문인의 교환 등에 초석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성덕왕대에 활발하게 전개되는 경제교류를 통하여 신라국내 산업발달은 물론 당시 大食國상인에게 소개되면서 남방의 사치품이 유입되는 상황에 직면하였고, 특히 비단의 경우, 원산지인 盾에 오히려 수출됨으로써 庸에서의 新羅견직물에 대한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게 되었다. 이러한 비단수출은 이후 계속해서 수출의 주요품목으로서 큰 몫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것은 성덕왕대의 경제교역 활성화가 신라하대의 경제에 미친 큰 영향으로 생각된다. 셋째, 외교의 제도적인 면에 있어 각종 기구의 분업화 · 전문화 등을 통하여 상당히 체계적인 외교업무를 전개할 수 있었고, 특히 正 · 副使制度가 완비되는 등, 외교의 古代的 형식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상과 같이 고찰한 결과, 성덕왕대의 외교는 한국고대외교의 한 전형으로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은 외교관계를 고찰하는데 있어 朝貢의 관계에서 벗어나 시대적인 흐름, 국제정세 등의 상황을 고려한 국제관계사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성덕왕대의 외교는 후대의 명분론에 입각한 事大의 발상에서가 아닌 당시의 국내 · 외의 여건과 관련된 외교관계였음을 살필 수 있었다.;This study is studied about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ang in the thirty-forth king of Sung-duk (聖德) period (702-737). I studied this article with the intention of following problems. First of all, the history of Korean foreign policy has been dealt with onesided relationship in view of our ground, which the methodological problem. Secondl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ng (盾) which had progressed favorably during the king of Sung-duk period have exdusirely b en understood from a viewpoint of a viewpoint of a means of reinforcement of royal authority. Finally, the theroy that Shilla (新羅) had actively diplomatic relations with Tang in response to the founding of Bal-hae (渤海) which was mostly consist of the ruined Kogurea's (高句麗) people But I was somewhat skeptical over the above-mentioned. In the second problem, I couls see the fact through Sam-guk-sa-gi (三國史記) that more or less weakend royal athority during the king of Sung-duk reign of 10 years had gradually reinforced. Accordingly, it was likely to develope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ng more actively and variously on such ground. Lastly, Bal-hae which located in Manchuria was not able to make any notable foreign policy trying to domestic stability since her founding in 698. Seeing that, such reasoning seems to take chances in the stage of the king of Sung-du. In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I look over the diplomatic situation of Tang as well as the internal situation of Shilla, and then search into the active diplomatic development and transition between them, in which, I made it devide into three periods. In the result of study I could roughly characterized in three ways throughout the foreign policy in the king of Sung-duk. At the beginning, they ended up inconvient relationship after shilla-Tang war and brought the diplomatic position of Shilla remarkable in Tang-cetric world. Hence, the change of T'ang's view about Shilla provided the threshold of the cultural exchange for bothside literati. Secondly the lively economic changes in the third king of Sung-duk period, being aside the de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assorted luxuries from south flowed into Shills with being introduced to Arabic traders. Especially, with the reverse export of Tang-producted silk by Shilla, the silk of Shilla was qualified in Tang and continued to consider as a important item that after. Theroby the livelyness of trade made crucial reflection on the late Shilla economy. Besides, in instutional aspect of diplomacy, the ancient diplomatic formality was completed througout specialization and division of affaires such like provision of a minister (正使), and deputy minister (副使). In consequence, the diplomacy in the king of Sung-duk should be concentrated as a model of Korean ancient diplomacy. We must study such a diplomatic relation not out of old-fashioned tributary and trimming policy-frame but out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ong east asian nations considered the sense of the times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so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