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주-
dc.creator김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2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62-
dc.description.abstractThe proper nun has been defined as to distinguish certain things, which are in the lowest class, from others. It has also been known that the proper noun represents only one particular thing. However, not all proper nouns meet these requirements. A number of proper nouns are identified in this category, even though they meet a few requirements. It is hard to draw a clear boundary between proper and common noun because proper noun carries its own uniqueness which is a level of extensiveness. Therefore, this thesis uses 'prototype theory' which mainly uses discernment among each element of one category, as the solu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oundary of proper noun. The following is the brief outline of the thesis, Chapter I described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e thesis and introduced some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dissertation. In addition, it explained the concept of the main theory, prototype theory, discussing pertinency of using it to clarify the uniqueness of proper noun. In chapter Ⅱ,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proper noun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t the first part, the main subject is the unique character of proper noun, caused by the way an organization of word or the element organizing a word. Secondly, each subject of proper noun has attribute of substantiality or uniqueness or specificity or feature from the lowest class. Finally, it investigated the phase of changed definition due to the feature of definition. These essential qualities can be the standards to distinguish proper noun from others and also the similarity, shared among all the elements of proper noun category in common. In chapter Ⅲ, the category of proper noun was divided into two infra-category: substantial and unsubstantial existence. The former is composed of lower infra-category of proper nouns naming human, thing and place. The latter includes its infra-category of proper nouns naming time, the state of thing and movement. As the standards having been suggested earlier in chapter Ⅱ, it measured the level of 'uniqueness' of each word from every infra-category, and judged whether the elements placed on the boundary of proper noun are the proper nouns or not.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is a gradation of common attributes among the infra-categories, causing diverse examples of the attributive gradation from the low to the intensive. Also, the elements of proper noun category are included to each other, not because of a kind of commonage of all the elements, defining the boundary, but because of a diverse similarity of each element, which is accumulated and intersected, making a category of proper noun.;고유명사란 어떤 최하위 범주에 속하는 특정한 사물을 특별히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서, 가리키는 대상은 하나뿐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고유명사가 이러한 기준 모두를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상당수의 고유명사가 위의 기준들 중 한두 가지의 특성만을 공유한 채 고유명사라는 한 범주로 묶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유명사가 지니는 고유성이란 정도성을 띤 개념이기 때문에 보통명사와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한 범주 내의 성원 간의 차별성을 핵심으로 하는 원형이론(prototype theory)을 고유명사 범주를 이해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과 목적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원형이론의 개념을 설명하고, 고유명사 범주를 이해하기 위해 원형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유명사의 대표적 특성들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로 고유명사의 다양한 구성 방식이나 구성 요소에 따른 특성을 검토하였고, 둘째로 고유명사의 지시 대상은 유일성·실체성·전문성·최하위 계층 등의 속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의미적 특성으로 인한 의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고유명사 여부를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것들로서, 고유명사 범주 구성원이 공유하는 유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고유명사 범주를 실체성 고유명사인 인간 고유명사, 사물 고유 명사, 공간 고유명사와 비실체성 고유명사인 시간 고유명사, 상태 동작 고유명사로 하위분류하여, Ⅱ장에서 살펴본 기준들을 이용해 각 하위 범주별 고유명사들의 고유성의 정도를 측정하고 경계에 있는 요소들의 고유명사 여부를 판별해 보았다. 그 결과 고유명사 하위 범주들 간에 공유하는 개별 특성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어 원형적인 예들과 주변적인 예들이 단계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유명사 범주의 구성원들은 그 범주를 정의하는 어떤 공통 속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 간에 따로따로 가지는 유사성이 겹치고 교차되어 고유명사라는 하나의 범주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대상과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3 C. 연구 방법 = 5 1. 원형이론의 개념 = 5 2. 원형이론 적용의 타당성 = 9 Ⅱ. 고유명사의 일반적 특성과 그에 따른 원형적 특성 = 13 A. 구성 방식상의 특성 = 13 1. 합성어형 고유명사 = 13 2. 파생어형 고유명사 = 17 3. 구성 요소에 따른 특성 = 19 B. 지시 대상의 속성 = 23 1. 유일성 = 24 2. 최하위 계층 = 29 3. 전문성 = 31 4. 실체성 = 34 C. 의미적 특성 = 37 1. 지시물과 지시어의 의미적 관계 = 37 2. 의미 변화 = 39 Ⅲ. 고유명사의 하위 범주별 원형적 특성 = 43 A. 실체성 고유명사 = 48 1, 인간 고유명사 = 48 2. 사물 고유명사 = 50 3. 공간 고유명사 = 65 B. 비실체성 고유명사 = 69 1. 시간 고유명사 = 71 2. 상태·동작 고유명사 = 72 Ⅳ. 결론 = 75 참고문헌 = 78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72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유명사-
dc.subject원형적 특성-
dc.subjectPrototypical Characteristic-
dc.subjectProper noun-
dc.title고유명사의 원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totypical Characteristic of Proper noun-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