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커뮤니티(Community)시설로서의 교회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커뮤니티(Community)시설로서의 교회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CHURCH AS COMMUNITY FACILITY : Mainly focused on the Chapel Space
Authors
홍애라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커뮤니티시설교회실내환경디자인예배공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삶의 내용속에는 의·식·주라는 기본 생존에 관한 생활 패턴들과 인격의 성숙을 위한 교육, 문화, 예술 활동이 있으며 영적인 존재로서 인간과 조물주와의 교통인 예배 행위등이 포괄적으로 담겨 있다. 환경이란, 인간이 삶을 통하여 접하는 그 모든것이라고 볼 때 이상의 삶의 내용들은 우리의 환경의 각 부분으로서 존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예배라는 행위가 수용되는 교회환경은 특별한 내용의 언어로서 모든 환경 중 가장 개인적인 요소(private-element)와 가장 공적인 요소(public-element)가 분명히 공존하는 곳 즉, 수직적인 하나님과의 관계와 수평적인 이웃, 자연과의 관계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공동체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회 공동체가 이제는 우리나라 인구의 4분의 1이상이 속해 있는 거대한 불특정 다수인들의 집단이 되었고 또한 그들의 모든 신앙활동의 매개체로서 교회 건축공간이 등장하였다. 그러함에도 다른 분야에 비하여 시대의 변화가 지향하는 방향으로의 개방성이 극히 미약하였는데 이는 일상생활과는 분리된 특수한 공간이라는 관습적인 고정관념의 발로였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로써 교회 건축공간은 진정한 교회의 의미에 배치되는 모습으로 설계되어왔다. 그러나 의식과 가치와 생활 양상에 있어서 일대 전환을 보이고 있는 현시점에서 인간 삶의 처음이며 마지막인 교회는 모든 면에서 현실을 앞서가며 상실된 인간의 자아회복, 자아실현의 문제해결에 귀결점을 갖고 형이상학적 관념에서 사회학이나 심리학으로 관심을 돌리며 인간을 세속적 고뇌로부터 해방시키는 일은 물론 인간의 잠재능력을 개발함으로서 성숙한 인격과 성숙한 사회를 수립하고 나아가야 된다고 생각한다. 교회의 역사를 보면 그 시대마다 감당해야 될 교회의 사명이 있는 바 현대 사회에서의 교회는 전통적으로 교회에 부과된 사명 위에 사회를 개발하고 사회의 새 질서를 창조하는 일에도 관계해야 한다는 것이 부과되고 있다. 디자인은 시대적 현실(Reality)로 부터 출발해서 미래를 탐색하고 예측하는 행위이며 문화와 삶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라 말할 수 있는데 환경디자인으로서의 본 연구는 새로운 이미지 신학과 새로운 기독교운동으로 결정지워진 교회 환경으로 경건한 예배행위가 이루어지며 현대 산업사회 속에서 상실된 휴식 공간으로서의 교회, 그리고 교육의 장, 문화 공간으로서의 교회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새로운 교회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제 본 논문의 주제는 환경디자인 접근 방법론으로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 교회 공간은 그 언어가 분명해야 하고 새로운 기독교 운동으로 교회 건축공간의 특징이 지어지므로 교회의 본질과 사명등 일반적 배경과 교회 건축의 형성과정을 성경과 역사를 통해서 살펴보고 또한 새로운 이념의 현대 신학을 고찰하므로써 교회의 시대적인 의미와 역할을 알아보고 그러한 현대 신학이 교회공간 계획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하였다. · 일반적인 커뮤니티 시설의 개념과 커뮤니티 시설과 교회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교회에 구체적인 공공적 기능을 부여하였다. · 교회 공간 환경디자인의 계획을 위하여 환경론의 일반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 근대로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건축공간 개념과 지향성에 대해서 고찰하므로 교회건축디자인 개념의 틀을 형성했다. · 행동 과학과 게쉬탈트 이론을 통하여 교회 건축공간 계획이 체계화 되고 통합되어 시지각적으로 질서가 유도되므로 새롭고 활력있는 구조적 질서와 새로운 형태에 의하여 신성하고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의 통합을 이루도록 하였다. · 조사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디자인 방법에 의하여 교회 외부환경 계획(site-plan) 및 예배공간 실내환경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 환경 개념을 배경으로 디자인 전제를 기술했다. · 이론적 배경에 의하여 교회 환경디자인의 공간 개념 기준을 세웠다. · 생태학적 접근과 교회 기능에 의하여 건축적 형태 개념을 도출을 하였다. · 예배공간 환경디자인의 디자인 요소를 신학적 측면(하나님-인간), 사회적 측면(인간-인간), 환경적 측면(인간-환경)에서 찾아 통합시키므로 예배공간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면서 public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 본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밝히고 전 과정을 종합, 평가하여 그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교회 환경디자인은 새로운 이념의 현대 신학의 주된 관점과 맥을 같이하면서 이 사회의 갈수록 부정적이고 혼란스러움 속에서 메말라가는 현대인의 전인적인 인간 회복과 자아 실현의 장으로서 가치를 가지도록 이상적인 교회 환경의 모델을 제시하였다.;There may be involved in the content of life, inclusively, not only such basic life patterns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also activities in education culture and art for character building-one of them is the worshipping concern, the third element of the human relations to the world, that is, a communicational process of human-being as spiritual being into the Supreme Being. And, when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a tolality of man's encountering with his world, the said contents may be said as to be existing as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our surrounding. Among them, especially the chapel environment which pertains to so called worshipping conduct can be referred to as a community environment where both of the most private and public element are to be coesist very clearly as a language of special content-which represents the harmonious relations of men with God. Nature and their neighbor. Now, this community of church appeared as an important division of our population, and, also the architectural space of church as a medium for their faith activities became to be viewed as another important environment of our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has been no such positive endeavour to throw open it toward a direction pointed by the 'change of the age' as those in other fields. For there has been fixed habitual concepts about it by which it would be thought as an extraordinary space separated from their everyday lives ; thereby having been designed as certain figures running counter to the sincere meaning of church.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tried to suggest a model of newer church by an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of environmental design. Here, the design elements for environmental design of chaper space were seeked from the theological (Good to man), societal (man to man) and environmental (man to environment) perspectives ; and these were integrated into something meaningful that would perform some public atmosphere with original image as worshipping space.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proces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 · To design the architectural space of church as an approach of environmental designing exactly coincides with the existencial purpose of church as such and is required for pragmatic fullfilment. · Only when based on this 'concept of total environment' the church environment as community facility can anwer to the general theological, societal and environment-aesthetic problem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pace of modern church that would be determined by new theological systems and new christian movements can be briefly said 1) centralized chapel space 2) democratization of the form 3) socialization of the function 4) humanization of the scale. In order to realize and concretize these characteristics, an approach of biologically oriented design was made use of. As theresult, a chapel space with many structual constituents became to the expressed in laconical formative language, and the parts were formed as a whole in which those did not run counter each other so that the given chapel space as an object or idea of the study would be contributed by such factors as functional system, total harmony and variable adaptability. · Church environmental design should be such a thing that may realize not only aesthetic value but also pragmatic and secietal values simultaneously within the range of religious purpose. · Ideal church environment has to have its main building and outer mouldings completely match with the natural surroundings, but also, in the end has to accomplish a space system that may connect inner and outer parts tigether consiste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