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춘희-
dc.creator장춘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Chinese career women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Changchun, and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clothing manufactures for China market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career women in China. Second, to compar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career women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Third, to examine the estimation in Korean Apparel products among Chinese women consumer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For empirical study, it was through experiments by the subjects among 20·30's career women who live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ade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eceding study. A total of 6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PSS package bas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ackage, Frequencies, mean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x^(2) - 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Chinese career women are: with regards to clothing purchasing motive, Chinese career women think very important about 'because the season changed' and 'to express one's own individuality'. In using informants, they were usually influenced by 'the display of shop or show window,' 'an advice of friends or colleague,' and 'the past purchasing experience.' Chinese career women give much importance on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uch as 'the fitness with one's own figure' and 'design.' For store selection, they consider 'product quality', 'price' and 'salesman's service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With regards to the purchasing place, they like much to go to the first class department stores, with the famous brand shops for shopping. For purchasing price of in each clothing item, like mink coat and suit, they would like to buy luxury product at high price, but like jeans, sweater and blouse, they still like to buy the low price products. Most of Chinese career women like to go shopping during weekend and periods of brand sales. For paying method, they still like to use cash more than credit cards, because credit card is not popular in China yet. They most like to go shopping with their boyfriend or husband. After they have purchased clothing,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othing products, especially with regards to its design, color, and fitness. But dissatisfied with the parking system of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they've used. Second, the difference among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were as follows: for purchasing motive, career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Changchun purchase clothing because of 'the season changed,' and 'to match with the already owned clothing.' But career women in Shenzhen purchase clothing in order 'to express one's own individuality'. For using informants, in Beijing and Shenzhen, they mainly like to consider' the display of shop or show window,' but in Shanghai and Changchun, they mainly like to consider 'the past purchasing experience.'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career women in Beijing considers brand name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in Shanghai, they consider 'design' at first, while in Shenzhen and Changchun considers 'the fitness with one's own figure' as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choice of store, Beijing's career women thinks 'product quality' and 'salesman's service attitude 'at first; Shanghai's career women thinks 'product variety,' 'fashion,' and 'price' at first, and then Shenzhen's career women regards 'salesman's service attitude 'at first, while Changchun's regards 'price' as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purchasing place,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most like to go to the top level department store for shopping, and women in Changchun most to like to go to the famous brand load shop to purchase clothing. With regards to purchasing price, for fur overcoat, Beijing was shown as the most expensive, and in the others, Shenzhen was shown as more expensive, while Changchun was shown with low price. Fo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in casual, there are no difference among the 4 cities, but in suit, Beijing's career women buy more than 1piece within 3-4months; while others buy more than 1piece within 2-3months. For paying method,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use credit card more than Changchun. For a shopping companion, career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Changchun most like to go shopping with their boyfriend or husband, while career women in Shenzhen most likes to go shopping with their female friends. Finally, for satisfication after purchasing clothes, in southern cities like Shanghai and Shenzhen, women were satisfied with purchasing clothes more than northern cities like Beijing and Changchun women. Third, Chinese women consumers pays high estimation to Korean apparel products More than 50% of subjects have known about Korean apparel brand and have purchased Korean brand clothing. The order of Korean apparel brand that Chinese women have known or purchased are ON & ON, DECO, TB2, E-LAND, ys'b, KARA, UGIZ‥‥. Most of them have good image in Korean apparel product, especially satisfied in design, color and fabric,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oo high price of Korean apparel.;세계 경제의 불투명성이 증대하고 성장력이 약화된 가운데서도 지난 '02년, 중국 경제는 8%에 가까운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정치에 있어서도 쟝쩌민(江澤民)체제에서 후진토우(胡□□)체제로 순조롭게 이행하여, 국내외에 안정성을 확인시켰다 WTO의 가입, 2008년 북경 올림픽유치성공, 2010년 상해국제박람회개최 등 세계적인 대이슈와 더불어 중국은 세인이 주목하는 하나의 별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중국의 소비시장이 성숙하고 시장 개방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의류업체의 중국 진출이 계속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시장으로 주목되는 중국의 20·30대 직장 여성들의 전반적인 의복구매행동 특성을 알아보고 또한 중국의 북경, 상해, 심천, 장춘 4개 도시 직장 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며 나아가서 중국 여성들의 한국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의류 업체들의 향후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의복구매행동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의복 구매동기, 구매 정보원, 의복선택기준, 점포선택기준, 구매장소, 품목별 구매 가격대, 구매시점, 구매빈도, 대금지불수단, 구매 동행인, 구매 후 만족도 등 11개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이를 토대로 한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수행되었다. 표본추출은 중국에서 중, 상류층에 상응하는 월 평균 임금이 2000위엔(RMB)을 넘은 외국계 회사 혹은 외국계 회사와 비슷한 수준의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중국국내회사 일부를 선정하여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중국의 북경, 상해, 심천, 장춘 등 네 도시에서 동시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회수된 설문지 66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평균,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직장 여성들의 전반적인 의복구매행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의복구매동기에 있어서 중국 20·30대 직장 여성들은 '계절이 바뀌므로',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의복과의 조화를 위하여' 의복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원은 '매장이나 쇼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친구나 동료의 조언',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의복선택기준은 '자신의 체형과의 적합성', '디자인', '자신의 이미지와의 어울림' 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복 구매 시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상품의 가격, 판매원의 서비스태도를 고려해 점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직장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매장소로는 최고급 백화점과 유명 브랜드 전문 매장이었으며 의복 품목별 구매 가격대를 살펴본 결과는 털 코트와 정장의 경우는 고가의 상품을 선호하였으며 청바지와 블라우스와 같은 단품목은 저가격대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시점에서는 중국 직장 여성들은 브랜드 할인판매기간이나 백화점 행사기간 때에 의복을 구매하는 비중이 정상판매 때 구매하는 비중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여성은 할인가격에 아주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주로 주말에 의복을 구매하고 경우가 많았고 그 밖에도 평일에, 주로 퇴근시간 후에 쇼핑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의복구매빈도는 정장을 구매함에 있어서는 2~3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캐주얼의류는 1~2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의복 구매 시 대금지불수단에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카드보다는 현금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여성의 70%정도가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중국 직장 여성들은 의복 구매 시 남편, 남자친구와 가장 많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특한 특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여자친구, 회사 동료와 동행한다고 하였다. 중국 직장 여성들의 의복을 구매한 후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자인이나 색상, 체형과의 적합성 등에 가장 만족하고 있었으며 반면에 대중교통시설의 이용과 점포의 주차시설 등 편의 시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별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복 구매동기에서는 북경, 상해, 장춘에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소유하고 있는 옷과의 조화를 위해서' 가 가장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으며 심천에서는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가 가장 중요한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정보원 이용에 있어서는 북경과 심천의 직장 여성들은 매장이나 쇼윈도우의 디스플레이를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상해와 장춘은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선택기준은 남방에 위치한 상해와 심천이 북방에 위치한 북경과 장춘보다 전반적 선택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상해와 심천 여성들이 북경, 장춘 여성들보다 의복선택에 있어서 좀 더 까다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경은 상표명(브랜드의 명성), '자신의 이미지와의 적합성'을, 상해는 품질, 디자인, 체형과의 적합성을, 심천과 장춘은 자신의 체형과의 적합성, 디자인, 자신의 이미지와의 적합성 등을 가장 중요한 의복선택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의복 구매시 점포선택기준은 북경은 상품의 품질과 판매원의 서비스를, 상해에서는 상품의 다양성, 상품의 가격, 상품의 유행성을, 심천 여성들은 판매원의 서비스태도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장춘 여성들은 상품의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 점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직장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매장소를 비교해본 결과 북경과 심천, 상해 여성들은 최고급백화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춘은 브랜드 전문매장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별 의복 품목에 따른 구매 가격대는 전반적으로 볼 때 털 코트와 같이 부의 상징으로 간주되는 고가품목은 북경이 다른 세 도시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품목에서는 심천이 다른 도시들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장춘이 비교적 낮은 가격대를 나타냈다. 도시별 의복 구매시점의 차이는 상해의 직장 여성들이 정상판매 때, 할인행사 때, 백화점행사 때 다른 세 도시에 비해 의복을 더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북경, 상해, 장춘 여성들은 주로 주말에 의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주로 주중에, 그것도 주로 퇴근시간 후에 의복을 구매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심천과 상해가 북경과 장춘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구매빈도는 캐주얼 의류에서는 네 도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장의 경우 북경은 3 ~ 4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상해, 심천, 장춘은 2 ~ 3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구매 시 대금지불수단은 북경과 심천은 절반이상이 현금과 카드의 사용이 반반, 현금을 카드보다 더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금을 지불하고 있었으며 상해는 모든 지불수단을 골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춘은 아직까지 현금만 사용하는 고객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의복 구매 시 동행인에서는 북경, 상해, 장춘은 남편, 남자친구와 가장 많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천은 여자친구와 가장 많이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복을 구매 한 후 만족도는 상해와 심천 즉 남쪽지방 직장 여성들이 북경과 장춘 즉 북쪽지방의 직장 여성들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의복을 구매한 후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인지여부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상의 조사대상자가 한국 의류상품브랜드를 한가지라도 알고 있었으며 이번 연구에서 중국 여성들이 알고 있는 한국 브랜드는 모두 36가지로 조사되었다.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는 한국 브랜드로는 온앤온, 데코, TB2, 이랜드, ys'b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의류상품의 구매경험여부에 있어서는 중국 직장 여성의 반수이상이 구매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가장 많이 구매한 한국 브랜드는 온앤온, 데코, TB2, 이랜드, ys'b, KARA, UGIZ 등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GIA','maru','cride','ONG', 'UGIZ','FUBU','D-DAY' 등 캐주얼의류 브랜드들도 중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직장 여성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의류의 디자인, 스타일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색상, 소재의 순으로 한국 상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지만 아직까지 한국 상품의 가격에 대하여서는 대부분이 가격이 너무 높다는 불만족을 표시하였다. 중국의 20·30대 직장 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은 각 지역에 따라 다양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각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보인 결과에 따라 이에 적절한 시장 세분화 전략이나 마케팅전략을 실시한다면 향후 의류업체의 중국 시장 진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고찰 = 4 A. 중국의 의류산업 = 4 B. 중국 소비자 = 22 C. 의복구매 행동 = 3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41 A. 연구문제 = 41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42 C. 측정도구 = 43 D. 자료분석방법 = 44 연구결과 및 논의 = 45 A. 중국 직장 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 = 45 B. 중국 직장 여성들의 도시별 의복구매행동 비교 = 58 C. 중국 여성들의 한국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 = 81 Ⅴ. 결론 및 제언 = 85 A. 결론 및 요약 = 85 B. 마케팅 시사점 = 91 C. 제한점 및 제언 = 94 참고문헌 = 96 부록 = 101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99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국-
dc.subject직장여성-
dc.subject의복구매-
dc.title중국 직장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북경, 상해, 심천, 장춘의 20, 30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Career Women in China-
dc.format.pagex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