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경희-
dc.creator곽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1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00-
dc.description.abstract신은 복식 일습(一襲)을 완성하면서 착용자의 신분과 성격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남자용 신 중 혁제(革製)와 포제(布製)로 만든 신의 특징을 고찰하고, 고대로부터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며, 아울러 명·청의 신과 비교함으로써 그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고대 우리나라에서는 먼저 한반도에 정착했던 남방 농경민족이 신었던 이(履)에 북방 유목민족이 유입되면서 화(靴)도 함께 착용되었다. 그런데 문헌에 나타난 명칭을 살펴보면 신목이 짧은 단요(단요)의 이(履)가 특히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고대의 신은 고구려 벽화를 통해서 착용 모습을 알 수 있다. 화(靴) 중에는 문지기, 시녀들과 무용수들이 착용한 발목 정도 길이에 꼭 끼는 형태의 화가 있다. 이는 문헌 나오는 무용수의 신인 오피화(오피화)에 해당된다고 추정되며, 정강이까지 오는 짧은 길이의 화(화)인 서호의 신과 비슷하였다. 쌍영총 벽화에 그려진 대(帶)가 있는 화는 귀족층이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신코가 낫과 같이 뾰족한 화는 주로 기마시에 신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履)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조선 시대의 혜와 비슷한데, 신코가 둥근 형태의 것이 많았다. 신라, 백제의 경우 출토 유물로 금동리들이 있으며, 대체로 조선시대의 혜에 비해 신울이 높았고 발등도 많이 덮었다. 이러한 기본적인 고대의 신의 형태는 고려까지 이어졌다. 조선시대의 신은 화(靴)와 이(履)로 분류된다. 화의 종류로는 흑궤자피화(흑궤자피화), 흑사피화(黑斜皮靴), 흑피화(黑皮靴), 목화(木靴), 협금화(挾金靴), 수화자(水靴子), 전피화(전피화), 기자화(起子靴), 백화(白靴) 등이 있었다. 그리고 화 안에 착용하는 정(精)이 있었다. 운두가 낮은 신의 종류로는 석(석), 삽혜(삽혜), 흑피혜(黑皮鞋), 태사혜(太史鞋), 당혜(唐鞋)와 운혜(雲鞋), 비혜(鼻鞋), 발막신, 유혜(油鞋), 분투혜(分套鞋)와 투혜(套鞋), 피초혜(皮草鞋), 승혜(僧鞋) 등이 있었다. 화(靴) 안에 착용하는 정(精)은 발의 편안함과 방한을 위한 족의(足衣)의 한가지로 생각된다. 목화(木靴)는 19세기가 되어서야 문헌에 그 명칭이 나타난다. 당시 유물과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밑창이 지면과 수평이고, 신목이 짧아지고, 입구에 선을 두르는 등의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화의 통칭어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수화자(水靴子)는 화 앞부분이 피화보다 위로 더 들렸고 화통이 더 길다. 원래 융복(戎服)에 착용되었던 수화자의 걷기 편하게 하기 위해 앞부분을 위로 들리게 한 듯하다. 백화(白靴)는 국상(國喪) 시 상복(喪服)에 뿐만 아니라 관복 중에서 안감을 흰색으로 댄 시복(時服), 그리고 편복(便服)에 착용했다. 당혜와 운혜는 보통 여자용 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상류계층 남자가 착용한 것으로 되어있다. 특히 20세기까지의 소설과 민속학 책에도 남자용 당혜의 명칭이 나온다. 반면 태사혜는 그 명칭이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데 태사문이라는 장식이 여자용 당혜와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문헌에서만 사용되던 명칭일 수도 있겠다. 분투혜(分套鞋)와 투혜(套鞋)는 추울 때나 비올 때 신던 덧신으로 생각되며, 발등을 많이 덮은 것을 투혜라 하고 분투혜는 그보다 적게 덮은 것이라고 추측된다. 분투, 투혜는 화와 함께 신었고, 보통은 투혜를 많이 사용했다. 조선 말기에 투혜류는 대부분의 관복에 목화만이 착용되는 등 다양한 화의 이용이 줄어들어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삽혜는 구조가 온혜(溫鞋)와 같고, 재료도 비슷하며 진상품에도 화와 함께 갖춰 올리는 혜로 보아 궁중에서 남자용으로 평시에 신는, 일반 피혜(皮鞋)의 모습과 같다고 생각된다. 피초혜는 조선 전기에는 남자의 착용 예가 있으나 후기에는 주로 궁중의 여자용 신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신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화는 고려 말 공민왕대에 명으로부터 관복을 사여받은 이후 기본적으로 명제(明制)를 따랐으나,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입구의 기울기가 경사진데서 둥근 곡선을 이루었고, 화통의 너비는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졌으며, 밑창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점 등의 세부 디자인이 조금씩 바뀌어 제작되었다. 중국의 혜는 조선의 것에 비하여 운두가 높은데, 이는 단(緞) 등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청나라의 신은 밑창이 두꺼운 것이 특징이며, 발모양이 넓어서 신코가 뾰족하지 않고 둥근 편이었다. 이와 비교해서 태사혜, 징신 등과 같은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혜는 독자적인 형태를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코에서 각지고 뾰족한 부분과 무엇보다도 신울타리의 선, 즉 낮은데서 뒤축으로 올라가는 날렵한 곡선미를 지녔다. 이렇게 낮은 신울의 형태를 가지게 된 이유는 혜의 재료로 비교적 부드러운 포제를 사용하는 중국의 것에 비해 딱딱한 가죽과 백비를 속에 대어 제작한 재료 때문에 신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이러한 곡선미는 조선 후기 문화, 사상, 예술 분야 등 제분야에서 나타났던 한국화의 한 양상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풍속화나 출도 유물, 국말의 사진자료에서 중국의 신과 흡사한 장식과 모습을 한 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사대부 층에서는 청의 혜를 수입했거나 또는 장식적인 면에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에서 직접 제작했던 것으로 보이나 한정적으로 착용했을 뿐 대중화된 것은 아니었다. 신의 색상을 살펴보면 관복용인 화의 색은 모두 흑색(黑色)이었고, 밑창의 옆부분은 흰 분칠을 하여 흑백의 조화를 이루었다. 혜의 색상은 다양하지 않았는데, 이는 편복으로 착용하는 옷의 색이 백색과 흑색을 주로 사용하면서 약간의 유채색을 가미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으로 조선시대 남자의 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 범위를 신 중에서도 혁제와 포제로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며, 명·청의 신과 비교하여 조선 남자의 신의 조형미를 규명한데 그 의의가 있다. 여자용 신과 초제(草製), 목제(木製) 등의 다루지 않은 신에 대해서도 주변국과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되며, 중국뿐 아니라 일본 등 다른 주변국들의 영향관계 파악도 필요하다.;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n's shoes made of leather and cloth in the Chosun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Shoes happened to exist naturally by needs of human beings, but their forms divers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and society, and different kinds of shoes were worn by different classes of people. Shoes finish up a complete set of costume and indicate the social status and personality of the wearer. Ancient Koreans had worn low shoes(履, Li) which were the shoes of native agricultural people in the south, but boots(靴, Hwa) were imported with clothes from Scythian people in the north and were used together with low shoes. According to literature , however, particularly low shoes are mentioned frequently. How ancient people wore shoes can be estimated well from ancient tomb murals of the Koguryo Dynasty. There are two kinds of boots; boots worn by soldiers that reach up to the knee and those worn by doorkeepers, waiting maids, and dancers that are tight and reach only up to the ankle. In particular, dancers' shoes are recorded under the name of black leather shoes(烏皮□, Opihwa) in writings. These shoes are similar to shoes of nomadic equestrian people that played an active part in inland Eurasia(西胡, Seoho), which are short boots that reach the shin. Basically similar to low shoes of the Chosun Dynasty in shape, they often have a round toecap. Excavated remains of the Shilla and Baekje Dynasty usually include gold-plated bronze low shoes, which in general are higher and have wider topside than low shoe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 basic shape of shoes in ancient times seems to have been continued until the Koryo Dynasty. Shoes in the Chosu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boots and low shoes. Boots are divided into several kinds such as Heukgwoijapihwa(黑□子皮靴), Heuksapihwa(黑斜皮靴), Heukpihwa(黑皮靴), Mokhwa(木靴), Hyeopgeumhwa(挾金靴), Suhwaja(水靴子), Jeonpihwa(□皮靴), Gijahwa(起子靴), and Baekhwa(白靴). In addition, Jeong(精) was put inside boots.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low shoes including Seok(□), Taesahye(太史鞋), Heukpihye(黑皮鞋), Bihye(鼻鞋), Balmaksin, Yuhye(油鞋), Buntuhye(分套鞋), Tuhye(套鞋), Saphye(□鞋), Pichohye(皮草鞋), Seunghye(僧鞋),Danghye(唐鞋), and Unhye(雲鞋). Shoes in the Chosun Dynasty tend to be nam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or ornaments on them. First, Jeong put inside the boots is regarded as footwear for the comfort of the feet or protection against cold. Mokhwa appears in literature around the 19th century. As shown by remains and paintings of those days, it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the common name of boots as it underwent many changes; such as the bottom piece becoming parallel to the ground, the height of the shoes getting shorter, and a line hemming around the mouth of the shoes. On the other hand, a book in the era of King Gojong includes pictures of Suhwaja. Compared to Hukpihwa in the same book, it has a raised topside and a long entrance part of boots. The topside seems to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make the wearer who put on a military uniform(戎服, yungbok) feel comfortable when walking, since the bottom piece is hard. Baekhwa is worn not only with funeral garments but also with Sibok(時服), one of official uniforms. Buntuhye and Tuhye are regarded as overshoes for cold or rainy days. It is guessed that Tuhye covers a large part of the topside of the foot and Buntuhye does smaller part of it. Buntuhye and Tuhye were worn with boots, and Tuhye was used more frequently. It is thought that most Tuhye-styled sho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Mokhwa worn with official uniforms and other types of boots ceased to be used. Saphye is identical with Onhye in structure and materials. Considering that low shoes were presented to the king with boots, it is regarded as similar to general Pihye that men put on in the royal court at ordinary times. Pichohye was occasionally worn by me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but later it was worn only by women in the royal court. Danghye and Unhye are known as woman's shoes in general, but records in several books including Chosun wangjosilrok show that they were worn by men in the upper class. In particular, man's Danghye appears in novels and folklore books as late as the 20th century. On the contrary, Taesahye was not found in literature. Judging from the fact that an ornament called Taesamun is similar to woman's Danghye, Taesahye may be mentioned as Taesamun in literature. Next, as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hoes in the Chosun Dynasty, boots had been made following the design of the Ming Dynasty since official uniforms were conferred upon King Gongmin in the late Koryo Dynasty. But turning the late Chosun Dynasty its detailed design changed little by little. The mouth of the boots became more round, the entrance part became wider, height of the shoes became taller, and the bottom piece became parallel to the ground. Because it was hard to figure out the shape of low shoes from literature, the researcher examined remains and genre paintings of the Chosun Dynasty. Chinese low shoes cover wearer's instep more than those of Chosun probably because it uses soft materials such as silk. In particular, shoes in the Qing Dynasty are wide and have a thick bottom piece and a round toecap. Compared to these, ordinary low shoes in the Chosun Dynasty such as Taesahye and Jingsin have a unique shape. Their toecap is angled and the hem ris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forming an elegant line. Low shoes have low outer rim possibly because it Is more comfortable with hard leather and Baekbi(ramie and hemp stuck together) that are used for lining. This is different from Chinese liners in that they are made of relatively soft cloth. The linear beauty is understood as a style of Korean paintings found in all areas including culture, thought and art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genre paintings, excavated articles, and photographs taken in the end of the dynasty show low shoes almost identical to Chinese shoes. This suggests that low shoes were imported from Qing by aristocrats or manufactured in Korea with its ornaments influenced by China, and were used limitedly by the upper class. As for color, boots for official use were black in harmony with a white line on the side of the bottom piece. Although the color of low shoes were not diverse, the shoes were occasionally colored, being used together with ordinary dresses in white and black.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examined man's shoes in the Chosun Dynasty.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shoes made of leather and cloth,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formative beauty of man's shoes. Woman's shoes as well as ones made of straw and wood, which were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need to be analyzed in subsequent stud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Japanese sho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Ⅱ. 조선시대 이전의 신의 발달 과정 = 3 A. 우리민족의 기원과 신 = 3 B. 부족국가 시대 = 6 C. 삼국 시대 = 7 1. 고구려 = 7 2. 백제 = 15 3. 신라 = 16 D. 발해 = 20 E. 고려 = 21 Ⅲ. 조선시대 남자용 신의 특징 = 24 A. 조선시대 남자용 신의 종류 = 24 1. 화류 (靴類) = 24 2. 이류 (履類) = 37 B. 명 (明) · 청 (淸)의 신 = 55 1. 화류 (靴類) = 55 2. 이류 (履類) = 62 C. 조선시대 신의 조형적 특징 = 62 1. 형태, 구조 및 소재 = 63 2. 색상 = 73 Ⅳ. 결론 및 제언 = 75 참고문헌 = 7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985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남자용-
dc.subject혁,포제 신-
dc.title조선시대 남자용 革, 布製 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in Man's Shoes Made of Leather Cloth in the Chosun Dynasty-
dc.format.pagex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