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朝鮮後期 記錄畵에 나타난 劍器舞 服飾에 관한 연구

Title
朝鮮後期 記錄畵에 나타난 劍器舞 服飾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ress of Sword Dance Apperaing in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Late Chosun Dynasty
Authors
남미화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조선후기기록화검기무 복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劍器舞,Geomgimu) which is Hyangakjeongjae(鄕樂呈才) style among traditional court dances, centering on documentary court paintings and Euigwoi(儀軌) and to compare its contents, shapes and other factors with those appearing in old writings and paintings in order to reproduce sword dance dress that has been handed down only as pictures. The time this study is focused on is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Before discussing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word dance, namely, its development and transition as well as court sword dancers Jeongjaeyeoryeong(呈才女伶) and the composition of sword dance. Then it examines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through relevant paintings including ancient tomb murals of Koguryo(高句麗 古墳壁畵) and a number of genre paintings by Kim Hong-do(金弘道, 1745∼1806), Sin Yun-bok(申潤福, 1758∼?) and unknown painters. What is more,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temporary dress style of sword dance by investigating areas and schools that have inherited sword dance, and attempts to reproduce the old dress style of court sword dancers and create a new dress style of sword dance. Sword dance has continued the longest time among existing traditional dances. According to the story of Hwangchangrang(黃昌郞) recorded in Pungsokjo(條風俗) of Donggyeongjapgi(東京雜記) the dance had been steadily transmitted as an important dance item in the royal court and local entertainment house Gyobang(敎坊) from Shilla(新羅) through Koryo(高麗) and to Chosun. Despite such a long history, the dance style of sword dance is relative well preserved. In particular, the form and gesture of sword dance in 1900, in which four or eight dancers danced each two facing each other, are not far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 Among different dress styles of Yeoryeong(女伶) according to their motion,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is dynamic and its flow of outline follows the silhouette of other dress styles in its days like general Yeoryeong. Until the 20" century, sword dance dress is composed of narrow topcoat GmhyangHyeopsu(金香挾袖) and sleeveless coat Jeonbok(戰服) on Jeogori(赤古里) or five-colored towe 1 Osaekhansam(五色汗衫) on sleeveless coat with a sash(戰帶, 纏帶, Jeondae). That sleeveless coat and sash, which were military uniform kit at that time, were put on show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sword dance. As for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the head style is divided into head ornaments and hats(戰笠, 氈笠, Jeonrib). A basic head ornaments is a blown wig. Hats used in sword dance were made after those of military officers. All the hats of sword dance Yeoryeong appearing in court documentary paintings are black, and their height of wearing i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g. The upper garments are sleeveless coat, Jeogori(赤古里) and Gunarrow topcoat. Sleeveless coat is also called Dapho(□護), Jakja(綽子), Deogeurae, Hoeui(號衣) or Koija(快子). Sleeveless coat appearing in court documentary paintings is a sleeveless upper garment put on over narrow topcoat. It is long but does not have sleeve, mu, gusset and breast tie. Sleeveless coat as an ordinary dress was put on as an outer garment or an inner one, but it was put on only as an outer garment in sword dance. Jeogori is covered by sleeveless coat and narrow topcoat but its shape can be guessed from those of ordinary women or giyeoes(妓女) in the Chosun Dynasty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Different from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Jeogori is tight while the skirt(裳, Chima) is amply blown, so they make a form of a narrow upper part and an ample lower part, and turning the 20^(th) century the volume of the skirt is lessened. In general Gumhyang narrow topcoat is similar in shape to Dongdari(同多里) of military uniforms, and is also called Mongduri(蒙頭里), Mongdueui(蒙頭衣), narrow topcoat(挾袖) or Mongdori(蒙道里). The length of Gumhyang narrow t opcoat appearing in court documentary paintings such as painting on a folding scr een describing a royal banquet in Year Musin(戊申進饌圖屛,Musinjinchandobyeong ) and painting on a folding screen describing a royal banquet in Year Sinchukn(辛丑進宴圖屛, Sinchukjinyeondobyeong) is a bit longer than sleeveless coat, and the back slit reaches the waist like that of sleeveless coat. In the dress style of ordinary kinds of sword dance except that of court sword dancers is not found Musinjinchandobyeong, and only sleeveless coat is put on over a skirt and Jeogori. Lower garments include a skirt and an outer skirt(Utchima). Even in the same volume of Euigwoi for the same age, diverse kinds of skirts are record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nce. The skirts of sword dance Yeoryeong appearing in Euigwoi are all red skirts(紅□裳, Hongchosang) From a royal banquet in Year Gichuk(l829)(己丑進饌, Gichukjinchan) to, a royal banquet in Year Imjin(1892)(壬進進饌, Imjinjinchan) in the 19^(th) century, the dress style forms a mild silhouette like a pot with the tight upper garment and blown lower one, but from a royal banquet in Year Sinchuk(l90l)(辛丑進饌, Sinchukjincha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a royal feast in Year Imin(壬寅進饌, Iminjinyeon), the volume of the skirt is somewhat lessened. When wearing a skirt, one first fastens the breast band above the breast, or binds the skirt below the breast on underpants(Dunsokg ot),sothewhitewaist(yoke)of the skirt is exposed outward. According to court documentary paintings in the Chosun Dynasty, court sword dancers wore an outer skirt different from those appearing in paintings by Kim Hong-do and Sin Yun-bok. Yeoryong looks formal by wearing a skirt over another. Other items are classified into sash, five-colored towel and footwear(鞋, Hye). Sash is a belt wearing on military uniforms, which can contain necessities in emergency. What is corresponding to contemporary five-colored towel, which is also called Saekhansam or Saekdonghansm, is made of cloth stripped with red, yellow, green, blue and while colors and used when women cover their hands in formal events or dancers(舞妓, Mugi) dance. In addition, all types of shoes are recorded as footwear. The area that inherits sword dance is divided into Seoul, Gyeonggi-do, Jolla-do, Gyeongsang-do, Hwanghae-do and Pyeongan-do. Among different forms of Geommu nationwide, what are closest to the archetype are Jidu Geommu and Tongyeong Geommu, both of which have been valued an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Works made from historical research on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are dresses for court sword dance, one piece of sword dance dress appearing in 19^(th) century Musinjinchandobyeong and another appearing in Singwandoimyeonhoido(新官到任宴會圖) which was held in a government office. In addition, three pieces of sword dance dress were created based on those reproduc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design concept of the created work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performed with swords in hands and a dancing motion that swirls with the waist leaning forward and backward(燕風臺, Yeonpungdae), which is the climax of the dance, emphasizing the mystic and elegant atmosphere as a dancing dress contrary to the severity of a military uniform. Using colors of different tones ply on ply, they produced expressional effects based on multiple colors. It difficult to describe or understand the detailed shape of dress and the appearance of one who wears the dress only using court documentary paintings and Euigwoi, but sword dance in the paintings was utilized as a fine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dress style of sword dance. However, research on dress style according to the motion of sword dance was unsatisfactory due to lack of basic knowledge about sword dance, and it was difficult to infer the original form of dress due to limits inherent in records about dances and the absence of remains handed down related to sword dance dress in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sword dance dress. Moreover, there was little information about cloth and measurements in the past.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subsequent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dancing dress based on systematic expert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dances.;본 연구는 전통궁중무용(傳統宮中舞踊) 중에서 향악정재(鄕樂呈才) 양식인 검기무(劍器舞) 복식(服飾)을 궁중기록화(宮中記錄晝)와 의궤(儀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내용과 형태 및 여러 가지 요소들을 옛 문헌과 회화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검기무 복식의 재현(再現)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시기는 검기무에 관한 기록이 가장 많이 현존하는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하였다. 검기무 복식을 논하기에 앞서 검기무의 발생, 변천에 관한 역사적인 배경과 검기무 정재여령(呈才女伶) 및 검기무의 구성에 대해 고찰하고 고구려 고분벽화(古墳璧畵)와 18∼19세기에 많이 남아있는 김흥도(金弘道, 1745∼1806), 신윤복(申潤福, 1758∼?), 작자미상의 풍속화(風俗畵)를 통해 검기무 복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검기무 복식의 전승지역 및 유파별 전수현황을 통해 현재의 검기무 복식에 대해 알아보고, 궁중 정재로서의 검기무 복식의 고증 및 창작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검기무는 현존하는 전통춤 중 가장 역사적 지속성이 오래 된 춤으로,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風俗條)에 기록된 황창랑(黃昌郎) 설화에서 비롯되었으며, 신라시대이래 고려를 거쳐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궁중과 지방 교방(敎坊)에서 주요한 무용 종목으로 꾸준히 전승되어 왔다. 검기무의 무용 양식은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도 비교적 원형 보존이 잘 되었다. 특히 1900년 무렵 검기무의 형식과 춤사위는 4인이나 8인이 함께 추는 대무(對舞)의 형식으로서 오늘날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검기무 복식은 그 동세에 따른 복식형태에 있어서 여령 복식 중 가장 역동적이며, 윤곽선의 변화는 일반 여령과 유사하게 그 시기에 따른 복식의 실루엣을 따르고 있다. 검기무 복식의 구성은 20세기까지 저고리 위에 협수(挾袖)·전복(戰服)의 형태이거나 전복에 오색한삼(五色汗衫)을 착용하고 전대를 맨 것으로서 당시 구군복(具軍服)이었던 전복과 전대의 착용은 검기무의 특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검기무 복식은 머리장식∼혜(鞋)의 4분야로 분류하였으며, 검기무 복식 중 머리장식은 머리모양·전립(戰笠, 氈笠)의 두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머리모양은 가체(加□)를 이용하여 풍성하게 얹은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검기무 여령(女伶)의 전립은 무관(武官)들의 전립에서 착안된 것으로 궁중기록화에 나타나는 검기무 여령의 전립은 모두 흑색(黑色)으로 보이며, 가체 양에 따라 전립의 착장 높이가 조금씩 달라 보인다. 상의(上衣)로는 전복·저고리·협수로 분류하였으며, 전복은 답호·작자(綽子)·더그래·호의(號衣)·쾌자(快子)라고도 한다. 궁중기록화에 나타나는 전복은 협수 위에 입는 소매 없는 웃옷으로 형태는 소매·무·설·고름이 없으며, 길만 있는 형태이다. 평상복으로서의 전복은 표의(表衣)나 이의(裏衣)로 착용되었는데, 검기무 복식의 전복은 표의로만 착용되었다. 궁중기록화에 나타나는 검기무 복식 중 저고리는 전복, 협수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나, 풍속화를 통한 조선조 민간 여인 및 기녀들의 저고리를 통해 추측해 볼 수 있다. 보통 협수는 구군복의 동다리(同多里)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몽두리(蒙頭里)·몽두의 (蒙頭衣)·협수(狹袖)·몽도리(蒙道里)라고 한다.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이나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의 궁중기록화에 보여지는 협수의 총길이는 전복보다 조금 길며, 뒤트임은 전복과 함께 허리 부분까지 트여 있다. 궁중정재(宮中呈才)로서의 검기무를 제외한 일반 검기무 복식에서는 협수를 찾아 볼 수 없으며, 치마·저고리·전복·전대만을 입고 있다. 하의(下衣)에는 치마 ·웃치마가 있다. 같은 시대적 성격을 가진 한 권의 의궤 속에서도 치마의 종류는 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의궤에 나타나는 검기무 복식 중 치마는 홍초상(紅□裳)으로 모두 같다. 19세기의 기축진찬(己丑進饌)(1829)부터 임진진찬(壬進進饌)(1892)까지 상체는 꼭 끼고 하체는 부풀린 항아리형인 상박하후(上薄下厚)의 완만한 실루엣을 이루고 있으며, 20세기의 신축진찬(辛丑進饌)(1901)부터 임인진연(壬寅進宴)까지는 치마의 부피는 다소 줄어 들었다. 조선시대 궁중기록화를 보면 김홍도(金弘道)나 신윤복(申潤福)의 회화에 보이는 검기무 복식과 달리 궁중정재로서의 검기무 복식에는 웃치마가 착용되었다. 두벌의 치마를 겹쳐 입음으로써 격식을 갖추고 있는 여령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기타의 항목으로는 전대(戰帶, 纏帶)·오색한삼(五色汗杉)·혜(鞋)로 분류하였다. 전대는 군복에 띠던 띠로 유사시에 필수품을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의 오색한삼은 색한삼·색동한삼이라 부르며, 붉은색·노란색·초록색·파란색·흰색의 색동헝겊을 이어 붙여 만든 것으로 여자들이 예복을 갖출 때나 무기(舞妓)들이 춤을 출 때 손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신발은 모두 혜(鞋)라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현재 전승되고 있는 검기무의 전승지역 및 유파별 전수현황을 통해 검기무 복식의 특징을 살펴본다. 검기무 전승지역의 범위를 서울·경기, 전라도, 경사도, 황해도, 평안도로 나누었다. 현재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검무 가운데 그 계보가 뚜렷하고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검무로는 진주검무와 통영검무 등이 있으며, 진주검무와 통영검무는 전승가치가 인정되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자료를 종합·분석하여 궁중 정재무(呈才舞)로서 19세기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에 나타나는 검기무 복식 1점과, 관아에서 행해진 「신관도임연회도(新官到任宴會圖)」.의 검기무 복식 1점을 고증 제작하였다. 또한 고증된 검기무 복식을 응용하여 창작작품으로서 3점의 검기무 복식을 제작하였다. 창작작품 디자인의 컨셉은 칼을 잡고 행하여지는 춤의 특성과 검기무의 절정인 연풍대(燕風臺:허리를 앞뒤로 젖히며 돌아가는 춤동작)를 고려한 작품으로 무관의 복식에서 나온 살벌함과 달리 무용복식으로서의 신비롭고 유연한 특징을 강조하였다. 톤이 다른 색상을 겹겹이 사용하여 색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 다중적인 색감의 표현 효과에 주안점을 두었다. 검기무가 나타나는 궁중기록화·의궤에서의 기록만으로는 세부적인 복식의 모습이나 착장 후의 모습에 대한 묘사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검기무에 대한 기초지식의 부족으로 검기무 동작에 따른 복식연구에 미흡한 점이 많았으며, 검기무 복식의 고증 작업에 있어서 무용 기록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한 제약과 전해져 오는 검기무 복식 유물이 거의 없어 실제적인 복식 형태를 추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고증 작업에 있어는 당시의 직물 및 치수를 정확히 알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었다. 앞으로 한국 전통 무용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함께 한국 전통 무용복식을 다룰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