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제품의 외형요소와 감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itle
제품의 외형요소와 감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duct's external form and sensibility : focused on the digital camera
Authors
전상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Keywords
제품외형요소감성상관성디지털 카메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에 들어 소비시장에서의 '감성' 이라는 단어는 날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그만큼 감성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소비자들은 그 동안 우선적으로 제품의 좋은 질과 좋은 기능만을 요구해 왔었고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그 질과 기능면에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들 간의 제품의 품질과 기능면에서는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게 되었으며,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품질과 기능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들도 소비형태가 다양화, 개성화 됨에 따라 맡은 제품들을 접하면서 자신들의 개성을 살린 제품의 형태, 자신이 선호하는 제품의 스타일에 맞는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것은 경제적인 풍요가 소비자들의 생활을 풍요롭고 여유로우며, 유희적이고 고급스럽게 바꾸어 놓았듯이 그들의 소비 형태도 개성화되고 고급화되며, 유희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소비자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물질적 재화나 서비스의 소비가 아니라 재화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소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성소비시대를 맞이하여 제품이 선택 시 소비자가 제품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러한 감성이 제품의 외형요소와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제품의 외형요소와 감성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한 구체적 사례로 디지털 카메라를 대상제품으로 선정하고 이 대상제품의 느껴지는 감성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나누어 외형요소의 다양한 가설을 적용해 봄으로써 제품의 외형 요소와 감성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은 동일한 제품군이라도 사용 목적이나 기능, 구매계층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각각 다른 감성을 제품에 요구하게 된다. 둘째, 각각의 감성은 외형요소와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외형요소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외형요소들의 변화는 감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외형요소의 다양한 가설을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감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낼 수 있으며,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감성에 적절한 외형묘소를 제안할 수 있다.;Recently, the use of the word "sensibility" has been increasing in consumption marketing. This means that consumers are becoming more sensible. Consumers demanded only good quality and function of a product. The progression of technology has made them almost fully satisfied with quality and function of products. Attribute to this, it's difficult to tell which company's product is better than others in regard of quality and function. Now, it's becoming necessary to have new types of qualities and functions. Moreover, a s consuming styl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re are more various kinds of products than before, people demand products that meet their taste and personality. As economic well-being has made consumers to be rich, comfortable, amusing, and luxurious, their consuming styles also have become personalized, luxurious, and amusing. People feel satisfaction when they consum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r service, not only because they meet their basic needs. As we live in such a sensibility-based consumption era, this research is on whether people understand sensibility when they choose a product. This also deals with if sensibility is related to the products' external forms. Digital camera is used as an example t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duct's external form and sensibility. By analyzing sensibility driven by digital cameras, this research classifies characteristics of sensibility and applies various hypotheses on them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duct's external form and sensibility. Here are three hypotheses. First of all, different sensibilities are needed in different purposes, functions, or classes when people choose a product from diverse kinds. Secondly, each sensibility is related to external form, and external form contains various factors, and change of these factors affect sensibility. Finally, while make experiments on various hypotheses, the relations with sensibility and external form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oper external form to sensibility can be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