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Authors
허영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주거시설정신장애인만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95년 정신보건법의 통과와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주거시설의 필요성은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편견, 정부의 주거시설에 대한 지나친 규제와 부족한 지원, 정신보건 분야에서 적절한 주거 서비스를 개발하지 못한 이유 등으로 인해 주거시설인 활성화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몇몇 곳에서만 주거시설이 운영되어 오다가 2003년 1월 현재 전국에 29개소의 주거시설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주거시설을 포함한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의 확산은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것이 정신병원이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원·수용되는 것보다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이슈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재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김연수, 1995),지역 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의 효과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이 얼마만큼 향상되었는가를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주거시설이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또 어떤 특성들 이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은 효과적인 주거시설 운영과 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주거시설 정신 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과 주거시설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에 소재한 21개의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전수를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에서 조사를 수락한 서울·대구·대전·광주·경기·충남·전남·전북 지역 소재 15개 주거시설에서 2개월 이상 생활한 정신장애인 83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83부의 설문지 중 80 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3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77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연구를 통해 산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 수준은 5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2.76점으로 중간값인 3점에 비해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삶의 만족 8개 하위영역에 대한 만족 수준의 순위는 ① 신체 및 정신건강(3.15), ② 주거환경(3.08), ③ 직업 및 하루일과(2.75), ④자아감 및 일반적 삶(2.17), ⑤ 의·식 경제정도(2.63) ⑥ 가족 및 친척 관계(2.56)와 친구 및 대인관계(2.56), ⑧ 여가활동(2.17)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 중 직업유무와 주거시설 거주기간에 따른 주거시설 정신장애의 삶의 만족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거시설 입주 결정 주체에 따른 삶의 만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삶의 만족과 일상생활기능 수준은 r=.519로 다소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에 대해 개인적 특성은 27.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기능 수준과 입주 결정 주체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일상생활기능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거시설의 관계 환경 및 분위기 환경과 주거지설 정신장애인은 삶의 만족 수준은 각각 r=.353, 301로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거주자 성별구성, 주관리자의 성별, 주관리자의 근무경력에 따라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에 대해 주거시설 특성은 27.4%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시설의 관계 환경, 분위기 환경, 주관리자의 성별, 주관리자의 자격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주관리자의 자격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에 대해 개인적 특성과 주거시설 특성은 42.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기능 수준, 주거시설의 관계 환경, 주관리자의 성별 주관리자의 자격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일상생활기능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기술 훈련의 체계화와 조직화가 요구된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기능 수준은 전체 삶의 만족과 하위영역의 만족 수준에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주거시설 관리자는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기술 훈련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하며, 주간재활프로그램 담당자와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하여 조직적인 일상생활기술 훈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주거시설의 심리사회적 환경을 긍정적으로 형성해야 한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의 심리사회적 환경은 거주자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치료적 환경'인 주거시설 내의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거주자 들의 일탈적인 행동이 수용 가능한 행동으로 변화되도록 해야 하며, 주거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이 앞으로 더 나은 삶의 질을 보장한다는 분명한 희망과 Vision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거주자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 분석 결과 주거시절 입주 결정 주체는 삶의 만족 수준과 주거환경 영역에 대한 만족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주거시설 입주 결정 시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운영에 있어서도 거주자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하는 사회사업의 실천 원칙을 준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주거시설 관리자들을 위한 근무조건을 향상시켜야 한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 주관리자의 자격은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입과 원조의 도구인 전문가의 역량이 클라이언트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능력 있는 전문가들이 주거시설에 많이 유입되고, 그들이 주거시설 운영과 거주자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기 위해서 양질의 근무조건을 형성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다양한 유형의 주거시설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방문관리보다는 야간관리를 할 때 거주자들의 친구 및 대인관계 영역, 주거환경 영역,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그룹홈 유형으로 획일화되어 있는 우리나라 주거시설의 현실에 의해 나타난 결과이므로 단순히 야간관리가 더 좋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기능과 개인적 욕구에 적합한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주거시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주거시설 운영과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정기적이고 구조화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거시설에서 발생하는 거주자에 대한 학대와 무시에 대해서는 항상 예민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주거시설의 양적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거주자에 대한 학대(abuse)와 무시(neglect)에 대한 맡은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의 사례를 거울로 삼아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주거시설의 파행적 운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 운영과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정기적이고 구조화된 평가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sidential facility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n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assist in planning idea to operate residential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mental disorder's life satisfaction is measured that they generally satisfy themselves with famil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activities, self-esteem and so forth.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are classifi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facilities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job, functioning of daily living, determiner of residence and length of stay. Residential facility characteristic are composed of psychosocial environment(relationships environment, structure environment) and objective environment(organization of operation, resident management style, composition of resident's gender, the proportion of resident to staff, manager's gender, manager's length of career and manager's licens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population of 97 mental disorders loving in 15 residential facilities in South Korea, and finally 77 subject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of the data were as followed: First,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was mean 2.76 point, and the figure was relatively low. Concretely, the each score of life satisfaction's eight subscales ranged 2.17 to 3.15 and there were in order of score : health states, house surrounding, occupation and daily schedule, self-esteem and general life, clothing·food·economic state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 and others, recreational activity. Second, determiner of resid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level and functioning of daily liv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519). Third,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determiner of residence and functioning of daily living were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th,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social environment of facil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353, 301). And composition of resident's gender, manager's gender, manager's length of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ifth, residential facilities characteristic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Psychosocial environment of facilities, manager's gender, manager's license were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Sixth, as a result multiple-regression analysis, functioning of daily living, the relationship environment, manager's gender, manger's license were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iscussed : First, it is required that daily living skill training is systematized and organized; through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intervention plans and practices and cooperation with social worker in daily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Second, it is required that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facilities is made positively ; throug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facilities and obvious recognition of rules and roles. Third, it is required that self-determina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s respected in determining residence and overall living situation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th, it is required that working condition of the manager or staff in facilities is improved in order to flow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many professionals; through working by turns, appropriate pay and periodical educations. Fifth, it is required to diversity residential facilities which are appropriate client' need and functioning. Sixth, it is required that periodical and structured evaluation about administering residential facilities are carried out to prevent from inadequate control and adminis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