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인영-
dc.creator이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92-
dc.description.abstract중·노년층 여성이 폐경 이후에 경험하는 다양한 건강문제 중 높은 유병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실금을 들 수 있다. 요실금은 골반근육운동을 통해 증사의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여성이 요실금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하여 골반 근육운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골반근육운동의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여성 219명을 임의 추출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12문항, 요실금 관련 특성 10문항과 Chen(2001)이 개발한 골반근육운동 지식 도구 24문항,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태도 도구 14문항, Broome(1999)의 골반근육운동 자기 효능감 도구 23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 값은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태도 .86, 자기 효능감 .9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와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50-59세가 51.6%, 학력은 고졸이 53.9%, 결혼상태는 기혼 89.1%, 종교는 기독교 37.4%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83.1%가 직업이 없었으며 월수입은 300만원 이상이 26.5%, 운동습관은 56.4%가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자연폐경 51.1%, 자연분만횟수는 1-2회 57.12%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 중 요실금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총114명, 52.1%로 나타났으며 이중 복압성 요실금 증상이 있는 대상자가 49.5%, 절박성 요실금 증상이 있는 대상자가 20.6% 였다. 요실금으로 인한 치료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8%였으며, 골반근육운동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79.0%, 골반근육운동에 대하여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64.8%, 골반근육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72.1% 였다. 3.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정도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점수는 평균 11.45점이었으며, 태도는 평균 49.64점, 자기 효능감은 평균 48.10점으로 효능기대 43.98점, 결과기대 52.69점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의 차이 골반근육운등에 관한 지식은 종교가 없는 군(F=5.527, p=.000), 직업이 없는 군(F=2.765, p=.006), 고졸 대상자(F=4.730, p=.003), 종교가 불교인 경우(F=2.755, p=.029), 직업이 없는 경우(F=2.389, p=.018)에서 높았다. 자기 효능감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이 낮은 집단과 고졸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요실금 관련 특성에 따른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과의 차이 요실금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골반근육운동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t=-4.912, p=.000)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t=-4.148, p=.000), 골반근육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t=-4.527, p=.000)에 높았다. 태도 점수는 골반근육운동에 대해서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t=-4.088, p=.000),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경우 (t=-4.088, p=.000), 골반근육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t=3.929, p=.000)에서 높았다. 자기 효능감 점수는 요실금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지 않는 경우(t=3.097, p=.003), 골반근육운동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t=-2.999, p=.003), 골반근육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t=-4.086, p=.000)가 그렇지 않은 군보다 높았다. 6.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r=.350, p=.000)과 태도(r=.382, p=.000)는 자기 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식과 태도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63, p=.000).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의 교육을 통해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효능기대와 결과기대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요실금 예방자 관리를 위한 골반근육운동의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lvic Muscle Exercis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mid-aged &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9 women above 40 years old in Seoul, Korea. For the data collection, the Knowledge of Pelvic Muscle Exercise Scale, Attitudes towards PME Scale, developed by Chen(2001), Broome Pelvic Muscle Sel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Broome( 1999),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M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1) The mean of PME Knowledge was 11.45 in a range of 0 to 24. 2) The mean of PME Attitudes was 49.64 in a range of 14 to 70. 3) The mean of PME Self-efficacy was 48.10 in a range of 0 to 100. 2. PM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ME Knowledge according to religion (F=5.527, p=.000) and occupation (F=2.765, p=.006).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ME Attitudes according to education (F=4.730, p=.003), religion (F=2.755, p=.029) and occupation (F=2.389, p=.018). 3)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ME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3. PME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ME Knowled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hearing information about PME(t=-4.912, p=.000), experience of instruction about PME(t=-4.148, p=.000) and performing of PME(t=-4.527, p=.000).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ME Attitud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hearing information about PME(t=-4.088, p=.00l), experience of instruction about PME(t=-4.088, p=.000) and performing of PME(t=-3.929, p=.000).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ME Self-efficacy according to impact on lifestyle(t=-3.097, p=.003), experience of hearing information about PME(t=-2.999, p=.003) and performing of PME(t=-4.086, p=.000). 4. The relationships between PM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 -efficacy 1)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ME Knowledge and Attitudes(r=.463, p=.000). 2)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ME Knowledge and efficacy expectation(r=.342, p=.000) and outcome expectation(r= 301, p=.000). 3)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ME Self-efficacy and Attitudes(r=.382, p=.000). In conclusion, further extensive research might be needed to repeat for showing relationships PM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And finally,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eventing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promoting the practices of P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중·노년 여성과 요실금 = 7 B. 요실금과 골반근육운동 = 14 C.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지식 = 19 D.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태도 = 22 E.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자기 효능감 = 23 F.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 26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 설계 = 27 B. 연구 대상 = 27 C. 연구 도구 = 28 D. 자료 수집 = 31 E. 자료 분석 = 3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2 B. 연구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특성 = 36 C.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정도 = 43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의 차이 = 47 E. 요실금 관련 특성에 따른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의 차이 = 52 F.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과 태도,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 57 G. 연구의 제한점 = 60 Ⅴ. 결론 및 제언 = 61 A. 결론 = 61 B. 제언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80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426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골반근육운동-
dc.subject중ㆍ노년 여성-
dc.subjectPelvic Muscle Exercise-
dc.title중ㆍ노년 여성의 골반근육운동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lvic Muscle Exercis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Mid-aged & Elderly Women-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