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은혜-
dc.creator홍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9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y investigat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in ICU, to ascertain the type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that can improve the team effectiveness. The research targeted 427 nurses from 33 ICU_(s) of 14 general hospitals which have more than 250 beds and the data were gather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pril 10, 2003 to April 24, 2003.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the tool (by Han Soo-jung; 200 1)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 tool (Ahn So-yung; 2001) for measuring team effectiveness. For data analysis, the SPSS program was used. The coefficient of Cronbach alpha was used for a reliability inspection of the research tools, and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were aquired from descriptive statistics. The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ANOVA. As for the relation amo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And to make sure of the influence of certain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upon the team effectiveness of ICU, multiple regression was executed. The research results after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1. The most significant nurs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in ICU is the centralization. 2.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ICU is generally rank -oriented cultur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Ol) in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relation-oriented, innovation-oriented, rank -oriented and task oriented. 4. In the 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ormalization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entralization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Communic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 -oriented culture. And decision making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 -oriented culture(p<.O1). 5.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team effectiveness,, Innovation-oriented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m performance perception, team satisfaction and team commitment(in order of strength). Relation-oriented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m commitment, team satisfaction, coworker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perception, and task-orient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m satisfaction. (p<.Ol) 6. Verifying influence power of organizational cultures upon team effectiveness of ICU, relation-oriented culture had 49.2% of an influence upon team effectiveness, innovation -oriented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had 60.4% of an influence, and rank-oriented, innovation-oriented and relation -oriented culture had 61.2% of an influence. 7.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s in 33 ICU_(s) were found by a cluster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into five culture profiles; strong balance culture profile, weak balance culture profile, innovation-oriented and task-oriened culture profile, strong relation culture profile and strong rank culture profile(p<0.5). 8.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m effectivenesses(coworker satisfaction, team performance perception, team satisfaction and team commitment) was found(p<.O 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gives some suggestions as follows. 1. On nursing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a. For nursing culture management, a nursing administrator should identify the relevan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t first by utilizing an innovative team-leader. b, After identify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administrator should make strategic plans and practices that can distinguish good Organizational cultures to be expanded from ones to be sublated so that a strong balance culture can be developed. c. When educating nurses of ICU, make them be fully aware of following four development strategies as an overall strong balance culture; development strategy of relation-oriented culture which promotes inter-confidence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development strategy of innovation-oriented culture which enables flexibility and effective arrangement of team units considering patient severity, development strategy of task-oriented culture which indicates importance and specifics of severity care task, and development strategy of rank-oriented culture which builds a rank systems. 2. On the nursing research a. Suggests the study which investigates a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nursing organizational the superstructure and a cultures between the substructure of nursing organization and difference of team-effetiveness. b. Suggest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study which investigates a difference of nursing improv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and team effectiveness. c. Suggests the study for a development of objective tools for measuring team effectiveness, which improves subjective phychological tools.;중환자실 간호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적극적인 동기 유발, 협조적인 분위기를 조장, 활성화된 조직체 형성으로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만드는 간호조직문화는 중환자실 간호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조직문화의 영향요인인 조직특성을 확인한 후,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팀효과성 차이를 분석하고, 중환자실 팀효과성에 간호조직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의 팀효과성 향상을 위한 조직관리의 전략적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조직특성, 간호조직문화 유형, 팀효과성을 측정하여 팀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간호조직 문화유형과 조직특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50병상 이상 14개 종합병원의 33개 단위 중환자실, 427명의 간호사에게 설문조사 형식으로 2003년 4월 10일부터 4월 24일까지 14일 동안 자료수집을 하였단. 연구도구는 한수정(2001)이 개발한 조직 특성 측정도구, 조직문화 측정도구와 안소영(2001)인 사용한 팀효과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 alpha Coefficient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조직특성, 간호조직문화유형, 팀효과성의 차이는 ANOVA로 검증하였으며. 조직특성 및 간호조직문화유형과 팀효과성과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중환자실 팀효과성에 대한 간호조직문화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에서 가장 두드러진 간호조직특성은 집권화였다. 2.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의 일반적인 형태는 위계지향문화였다. 3. 간호조직문화유형인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업무지향문화는 중환자실 간호조직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4. 중환자실의 조직특성과 간호조직문화와 관계에서 공식화는 혁신지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집권화는 관계지향문화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소통은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의사결정은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5. 중환자실의 간호조직문화 유형과 팀효과성과의 관계에서 혁신지향문화는 팀성과 지각, 팀만족, 팀몰입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관계지향문화에서는 팀몰입, 팀만족, 동료만족, 팀성과 지각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업무지향문화에서는 팀만족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6. 중환자실의 팀효과성에 미치는 간호조직문화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관계지향둔화는 팀효과성은 49.3% 설명하였으며, 혁신지향문화가 더해지면 60.4%의 설명력을 보였고, 위계지향문화까지 더해지면 61.2%로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7. 33개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조직문화 프로파일은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강한 균형문화 프로파일, 약한 균형문화로 프로파일, 혁신 업무문화 프로파일, 강한 관계문화로 프로파일, 강한 위계 문화로 분류되었다(p<.05). 8. 중환자실 조직문화 프로파일에 따라 팀효과성(동료만족, 팀성과 지각, 팀만족, 팀몰입)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1. 간호 관리실무와 교육에 관한 제언 가. 중환자실 간호조직 관리에 있어 간호관리자는 혁신적인 팀의 리더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해당 간호조직문화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나. 해당 간호조직문화 확인 후 강한 균형문화의 개발을 위해 확장해야 할 간호조직문화와 지양해야 하는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전략적 기획과 실행을 제언한다. 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조직관리 교육시에도 구성원들간 상호신뢰와 참여가 팀웍으로 살아날 수 있는 관계지향적 문화 개발전략과 효과적인 환자 중증도를 고려한 팀원수의 배치와 외부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혁신지향문화 개발전략, 중환자 간호업무의 중요성과 특수성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업무지향문화 개발전략과 위계질서를 확인하는 위계지향문화 전략의 4개 차원이 전반적으로 강한 균형문화로 인식되도록 교육한다. 2. 간호연구를 위한 제언 가. 하부간호조직의 간호조직문화인식과 하부조직이 속한 전체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와 그에 따른 팀효과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나. 조직문화 프로파일에 따른 간호조직특성의 차이와 영향을 확인하여 팀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특성 연구를 제언한다. 나. 주관적인 심리측정 팀효과성 도구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팀효과성 측정 도구의 개발연구를 제언한자.-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1. 중환자실 = 4 2. 조직특성 = 5 3. 간호 조직문화 = 5 4. 팀효과성 = 5 5. 조직문화 프로파일 = 6 Ⅱ. 문헌고찰 = 7 A. 병원 간호조직문화 = 7 1. 정의 및 구성요소 = 7 2. 조직문화유형 = 12 3. 조직문화 프로파일 = 16 4. 조직문화의 영향요인 = 18 B. 중환자실 간호사의 팀효과성 = 21 1. 팀효과성의 개념 = 21 2. 팀효과성의 구성요소 = 24 3. 팀효과성의 영향요인 = 26 C. 조직문화와 팀효과성에 관한 연구 = 27 D. 연구의 이론적 모형 = 31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 설계 = 32 B. 연구 대상 = 32 C. 연구 도구 = 32 D. 자료 수집 = 35 E. 자료 분석 = 35 F. 연구의 제한점 = 3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7 A. 중환자실 조직구성원의 일반적인 특성 = 37 B. 중환자실의 조직특성 = 40 C. 중환자실의 간호조직 문화 = 40 D. 중환자실의 팀 효과성 = 42 E. 중환자실 조직특성과 간호조직문화 유형과의 관계 = 42 F.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 유형과 팀효과성과의 관계 = 44 G.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가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45 H.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 = 48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특성의 차이 = 48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문화의 차이 = 51 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팀효과성의 차이 = 54 I. 중환자실 조직문화 프로파일 = 57 1. 33개 중환자실의 간호조직 문화 프로파일 분류 = 58 2. 중환자실 간호조직문화 프로파일과 팀효과성의 차이 = 65 Ⅴ.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3 부록 = 83 부록 1 연구도구의 신뢰도 = 83 부록 2 연구도구 = 84 부록 3 중환자실 조직득성 점수분포 = 89 부록 4 중환자실 조직문화 점수분포 = 90 부록 5 중환자실 팀효과성 점수분포 = 91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722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환자실-
dc.subject간호조직문화-
dc.subject팀효과성-
dc.title중환자실의 간호조직문화와 팀효과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icus team effectiveness-
dc.format.pagex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