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팀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과 선행변인에 관한 연구

Title
팀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과 선행변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predictors for teammate's shard mental medel
Authors
민현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Keywords
팀구성원공유멘탈모델선행변인경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노동, 자본, 토지 등의 생산요소보다 지식을 중요한 자산으로 여기는 지식사회 내지는 정보사회로 규정되고 있다. 기존의 경제적 자원으로는 가치 창출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치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혁신을 일으키는 새로운 생산수단으로써 지식이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렇게 지식을 중시하는 사회분위기는 기업경영에서 근로자들이 소유한 지식의 창출, 적용, 공유에 관심을 갖게 하였고 이에 관련된 연구를 촉발시켰다. 그러나 연구의 대다수는 조직 내 지식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중점을 두었고 일부 연구는 지식공유 문화를 강조하였지만 실제 조직구성원들이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활동자체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구미학계에서 연구 진행 중에 있는 공유멘탈모델을 개념을 이용하여 단순히 지식과 정보에 대한 근로자들의 공유의도 정도를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서 실제로 지식공유 활동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공유멘탈모델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둘째, 공유멘탈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유멘탈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팀구성원의 능력요인(T자형 스킬, A자형 스킬)과 성격요인(호감성, 개방성)으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이 공유멘탈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과업 복잡성과 과업 상호의존성이라는 변인들이 공유멘탈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멘탈모델이 공유대상으로 하고 있는 내용을 살펴본 결과, 팀관련 공유멘탈모델과 과업관련 공유멘탈모델이라는 구성개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팀구성원의 능력요인이 공유멘탈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팀구성원의 T자형 스킬과 A자형 스킬이 높을수록 공유멘탈모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자형 스킬은 A자형 스킬보다 공유멘탈모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팀구성원들이 T자형 스킬을 소유할수록 팀 내 정보 및 지식에 대한 공유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팀구성원의 성격요인이 공유멘탈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팀구성원의 호감성이 높을수록 공유멘탈모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설로 설정하고 있는 개방성 요인은 팀단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절치 않은 것으로 드러나 가설검증의 실증분석단계에서 제외하였다. 넷째, 과업 복잡성과 과업 상호의존성으로 구분하였던 팀과업 특성이 공유멘탈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팀과업 특성이 공유멘탈모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를 도출할 수 있다. 우선 이론적·학문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첫째, 국내학계에 처음으로 공유멘탈모델 개념을 소개하고 이에 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이 평가될 수 있다. 공유멘탈모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구미학계에서 조차 실증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황에서 공유멘탈모델의 개념과 선행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여겨진다. 둘째, 공유멘탈모델과 관련된 선행변인으로 T자형 스킬과 A자형 스킬을 제안하고 이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이 평가될 수 있다. 공유멘탈모델의 선행변인을 제안했던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지능지수와 같은 수치를 능력요소로 간주한 반면에 본 연구에서 팀구성원의 능력요소로 T자형 스킬과 A자형 스킬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A자형 스킬의 개념을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제안하고 이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이 이번 연구의 중요한 성과로 여겨진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실무·조직경영 측면에서도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팀제가 확산되고 조직내 지식경영이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팀구성원간의 인지적 유사성을 총괄하고 개발된 공유멘탈모델을 연구함으로써 경영일선에 선발과 훈련에 관련된 조언을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인지적 면에서 T자형 스킬 및 A자형 스킬을 갖춘 사람을 선발하고 타인과의 협력과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호감성 수준이 높은 사람을 팀구성원으로 선발하고 팀에 배치한다면 팀 내 정보와 지식에 대한 공유활동은 활발히 일어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분석결과 팀근속년수가 오래될수록 공유멘탈모델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구성원들이 일정기간 이상 근무할 때 업무파악은 물론 팀원간의 이해증진을 통해 공유멘탈모델의 형성이 촉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IT 벤처업계에서 보이는 직원들의 잦은 이직현상이 팀 생산성은 물론 이들 기업의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문제가 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The economic circumstances are changing very quickly. As the society moving from traditional industry to knowledge-based industry, Knowledge has been the main issue to maintain the competency in the competitive world. According to that stream, It has been more important to share knowledge and to use team as a unit in their organization and company. Under the climate of changing environments in industry, "Shared Mental Mode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U.S since 1990's by Cannon-Bowers & Salas, etc. Cannon-Bowers & Salas proposed extending the concept of individual mental models to the team performance domain, hypothesizing that team performance is a function of the extent to which team members held similarly organized expectations surrounding the task or each other. Shared Mental Models represent shared knowledge about the team and its objectives, as well as common information about team roles, behavior patterns, and interaction patterns. A Shared Mental Model is an appealing way to characterize the process by which team members share task information and mutual expectations for complementary task behavior. Using the Shared Mental Model concept, I would do research a real aspects of sharing knowledge or information not intending to sharing knowledge in team activities. I hav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researchers previously done. And accordingly I established a model and hypothesis. The model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is model,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eammate's ability will be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1-1. Teammate's T-shaped skil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1-2. Teammate's A-shaped skil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2: Teammate's personality will be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2-1: Teammate's agreeablenes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2-2: Teammate's opennes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3: Task characteristics of team will be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3-1: Task complex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Hypothesis 3-2: Task interdependence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mental model.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mentioned abo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survey done 83 IT teams in 49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teammate's ability like T-shaped skill and A-shaped skill on shared mental model is positive. The more teammates have T-shaped skill and A-shaped skill, the higher shared mental model. second, the effect of the teammate's personality like agreeableness on shared mental model is positive. As teammate's Agreeableness becomes higher, shared mental model becomes higher. In this research, however, Openness was not analyzed because of inappropriate for aggregating individual data. Third, the effect of the task characteristics like task complexity, task interdependence is not significant. However, this results call upon a carefu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 can be pull discussions and meanings as follows: First, I tried to introduce shared mental model concept in domestic academic world. My research advance the cause of learning. second, I analyzed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oth teammate's characteristics and task characteristics with shared mental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