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크리스토의 프로젝트에 나타난 공공미술적 특성

Title
크리스토의 프로젝트에 나타난 공공미술적 특성
Other Titles
(The) Public Artistic Characteristics in Christo's Projects
Authors
김희승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크리스토프로젝트공공성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크리스토(Christo Javacheff, 1935-)가 만들어내는 대규모의 포장이나 설치작품들은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중을 향하여 열려있는 공공적인 미술을 지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크리스토의 프로젝트를 작품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제작방식을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크리스토는 1961년에 공공건물을 포장하는 계획에 착안하고 1968년에 이를 실현시킨 이래로, 공공건축물을 포장하거나 자연환경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대형구조물을 설치하는 공공미술적 프로젝트를 계속해 왔다. 이런 작품경향은 크리스토가 가지고 있는 예술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1950년대 말부터 천을 이용하여 현실적인 오브제를 포장하는 누보레알리스트 Nouveau Re'aliste적 작업을 하였던 크리스토는 곧 사회적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이들의 이념과 자신의 개인적 사상을 접목시키며 공공적인 미술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그는 미술작품이 개인작인 정서의 표현이나 형식주의적인 미학의 영역에 머물기 보다는 동시대의 사회적 현실과 연결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그의 신념에 따라 크리스토는 동시대의 공통적인 관심사를 반영하는 대상을 선택하여 포장함으로써, 사회적인 현실을 포함하는 작품을 만들어 왔다. 그는 전통적인 미술작품과 미술관, 역사적 기념물, 정치적 성격을 띤 건물 등을 포장하거나, 정치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는 장소에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런 작품들은 전통적인. 미술개념에 대해 회의를 제기하고, 역사적 교훈을 통하여 현대적 삶을 성찰하도록 자극하며, 현존하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자연환경속에 울타리, 장막, 우산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사회와 미술계에서 증가하고 있는 환경과 생태학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자연과 그 안에서의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크리스토의 작품이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단지 작품의 이런 내용적 요소를 통한 것만은 아니었다. 사회의 구조를 이용하는 작품의 제작방식은 그의 작품을 사회적인 것으로 만드는 또 다른 요소이다. 크리스토의 작업과정은 개인적인 작업실에서의 전문화된 작업이라는 전통적인 미술제작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그의 작업은 환경연구와 다양한 계약, 법적 투쟁과 같은 행정적인 절차와 재료의 공장생산, 대규모의 노동인력관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작업에 필요한 경비는 CVJ라는 사단법인체를 만들어 자체적으로 조달하는데, 이것은 기업운영이라는 자본주의의 재원조달방식을 미술창조행위에 도입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작업과정은 그 지역에 시설과 인력을 이용하고 관람객을 끌어모음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지역에 되돌리는 파생효과를 가져왔다. 이렇듯 사회의 총체적인 인력과 자원을 이용하는 제작방식은 사회 운영기제를 미술창작 작업에 적용시킨 것으로써, 미술창작이라는 개념을 사회적 생산행위로 확장시킨 것이다. 이런 작업은 크리스토의 프로젝트를 하나의 공공사업과 같이 보다 많은 비예술적인 관객과 관련되게 만들고, 개념적인 현실성의 문맥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일상생활의 일부로서 인식되는 미술을 만드는 본질적인 요소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크리스토의 작업과정을 공공적으로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중들의 참여가 곧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제작과정은 필요한 허가를 얻기위한 행정적인 준비단계에서 일반대중과의 활발한 의사소통과정을 거쳐야 하고, 작품의 실제적인 설치단계에서는 이들의 물리적인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렇게 대중적인 차원으로 전개되는 작업은 일종의 사회활동으로서, 현대사회가 가진 심각한 소외의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크리스토의 작품에서 대중은 미술의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라, 현실적인 상황속에서 작가와 함께 미학적인 경험을 나누며 창조행위를 이끌어 가는 능동적인 참여자가 되었다. 크리스토의 프로젝트에는 이렇게 제작과정이 시대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구조에 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작품의 리얼리티가 곧 시대적 현실과 연결되어 있다. 크리스토의 작품이 공공적이라는 것은 그것이 단지 공공적인 공간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공공의 삶의 맥락과 사회구조에 기초하는 산물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공공미술이 작업실에서 완성되어 공공의 영역에 단지 부과된 것에 불과하였던 반면에, 크리스토의 프로젝트는 미술을 공공적으로 만드는 조건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크리스토의 공공미술프로젝트는 기존의 공공미술에 대한 회의가 제기되고, 새로운 모색이 요구되는 현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으로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This is the study on the Christo Javacheff(l935-)'s large scale projects which have the characters of public art. This study is the try of synthetic analysis that includes the content, form and the way to make a work. Christo paid his attention to the project that would wrap the public building in 1961. Since he realised me of the project for the wrapping of public building, he keft up doing the public works like wrapping of public buildings or the installing of large scale construction in the environment. That was the result from Christo's outloclk on the art. Christo who was doing the wrapping realistic object like Nouveau Re^(′)aliste since the late 1950s turned his concern to the public art, synthesizing Nouveau Re^(′)alistes' concept of art for the social reality and his personal thought. He has had the belief that the works of art should be beyond the formalistic aesthetics or personal expression to link to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y. Therefore Christo has chosen and wrapped the object which reflected the contemporary public concerns, then he has made the works that included the social reality. He has wrapped the traditional meseum, the historical monuments, the political symbolic building or installed the construction at the politically symbolic place. These works brought in the doubt about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provoked the people to exam the modern life through the lesson from history and evoked the public attention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e installing the construction like curtain, fence, umbrella in the environment was to reflect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ecology and environment in the society and art world. And these were the metaphors of the nature and the lifestyle of the people in it. That content is not the only element to make Christo's works public art, however. The way to make the work that use the social system is another element to make Christo's works public art. His process of making art has been far from the traditional way of making artworks which was the specialized work in the personal studio. Christo's process has consisted of administrative procedure like environmental survey, various contracts, legal conflicts, the factory production of materials and management of labor. The funds for that procedure has been supplied by Christo himself through the CVJ coporation, this is to induce an enterprise managing system to the creation of artworks. Through this procedure Christo has used the facilities and labors of that community, and through the fact the artwork has atracted the audience, the realised project has made secondary effect which returned economical profits to the community. Like this, for useing the social resouse for artmaking, Christo extended the concept of artmaking to the social production. That aspect has been the essential element that has made Christo's works to relate to the non-artistic public and to be a part of real life. Most of all, most important element is that the public participation is the necessity for the procecdure. The co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heir physical participation are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public art. And That could be a clue for the solution of the probelm of alienation in modern society. In Christo's project, the public became the spontaneous participant to lead artmaking sharing the aesthetic experience with artist, instead to be a passive consumer. In Christo's projects, the procedure related to the contemporary social, political, economical sturucture, and the reality of works linked to the current reality. Christo's projects were public not because that works were in the public place but because those were based on the context of public life and social structure. The general public artworks were made in the personal studio and moved to the public domain, the contrary Christo's projects provided new concept for the condition of making art public. Therefore, Christo's public art projects can be evaluated as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at the doubt about the establised public art brings in, and the new groping is requ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