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영-
dc.creator김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36-
dc.description.abstract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유아기의 아동은 단순히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개체로서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해간다. 즉 주변의 사물 환경들을 항상 관찰, 지각하고 감각함으로써 지적, 신체적, 정서적 발달을 이루어 나가게 되므로, 어린이에게 있어 환경은 그 자체가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기에 바람직한 사회적 환경 및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아동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해 가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재 아동 교육공간은 인구 과밀화와 지가상승으로 인하여 교육공간이 부지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교육공간의 다목적 활동을 위하여 꾸밈의 차원을 넘어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환경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유아 환경교육 공간은 지속가능한 발전적 가치를 습득해야 하는 다음 세대, 어린이를 위한 장소로서 자연이 요소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높여준 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자연과의 교감과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장소는 이러한 측면에서 중요한 장소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환경 안에서(in)'의 '환경을 위한(for)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체험학습 공간으로서의 유치원 교육환경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한 방법으로는 생태적 패러다임과 환경교육의 개념, 유아 환경교육 공간의 역할과 잠재성 및 디자인을 위한 요구사항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또한 실제 우리 나라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한다. 사례 유치원의 분석 기준은 앞에서 제시된 이론적 고찰을 기본으로 하여 마련한다. 사례 조사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의 해결안과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적 특성을 기반으로 생태적 유아교육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실제 대상환경을 설정하여 앞에서 제시한 디자인 방향을 적용하고, 최종안으로 결정된 디자인 모형은 디자인 평가를 통해 연구의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하였는가 검토해보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를 열거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환경 디자인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우선 환경교육의 근본 배경 이론이 되는 생태적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유아 환경교육의 개념을 고찰한다. 유치원 교육공간이 환경교육장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밝히며, 환경교육의 공간으로서 어떠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제 3 장에서는 2장의 유아환경교육의 특성, 아동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아 환경교육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분석 대상 유치원을 선정하고, 사례 유치원의 운영 관련 사항,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사례 유치원의 물리적인 환경을 건축환경으로서의 기능성과 환경교육 공간으로서의 적합성에 초점을 맞추어 유치원 전체 환경을 분석하였고, 사례 유치원의 각 공간들이 지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사례 유치원 환경의 문제점을 종합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생태적 유아 교육공간 디자인 과정과 디자인 모형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대상환경을 설정하고 대상환경에 대한 환경적 분석 과정을 거치고, 3장에서 제시한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4장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안과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에 대해 조직계획을 하였다. 공간 배치 및 동선 계획은 앞 단계에서 제시된 데이터에 각 공간들 간의 기능적 상관성을 추가하여 결정하였다. 설정된 공간 배치 및 동선 계획을 기본으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였고 기능성, 심미성, 자연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안을 선택하였다. 최종안으로 선택된 건축 형태를 단계별 스터디 모델을 통해 유아교육 공간 디자인 모형을 구체화 시켰다. 앞의 디자인 과정을 거쳐 결정된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안에 대한 디자인 평가는 4장에서 사례 유치원 환경을 분석한 분석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 내용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환경교육과 생태학적 디자인은 그 기본 바탕을 생태적 패러다임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 모두를 중요시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환경교육과 생태학적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므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경우, 교육환경을 디자인할 경우 모두 자연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또한 환경교육의 특성은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교육이므로 이를 지원하는 장소도 포괄적인 입장에서 디자인 접근을 해야 한다. 생존적 차원에서의 욕구해결 단계에서 벗어나 인간으로서의 삶이 질을 향유하고자하는 존재적 차원으로의 요구 변화를 만족시키기 위한 환경교육 장소로서의 유치원 환경은 독립된 실체로서가 아닌 주변환경과도 유기적인 연계를 가지면서 이용자의 행태까지도 고려하는 생태주의적 방법론을 통해 조성되어야 한다.;Young children develop not only influenced simply by environment but also interacting dramatically with it as an active individual. Children develop intellectually, mentally and physically through observing, perceiving and sensing surroundings and the environment is education itself for childre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children with desirabl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in babyhood. However currently we can't get enough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due to land-price soar and surplus population. For thi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design increasing educational-value as well as decorating appears for multi-purpose use. Especially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pace has an important meaning of increasing possibility that children, the next generation to acquire lasting developmental value, have direct interaction with environmental elements. In other words, the educational space where children can response with nature and study is considered important space in this aspect.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suggest a design model of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s an experience study space to realize 'In Environment and For Environment' considered very importantly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method of research, I study ecological paradigm, con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ll requirements of role, potentiality and design of preschool educational space with documents. Also we survey the preschool case perform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our country actually. Analytical standard of preschool case is provided on basis of theoretical study referred above. I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preschool education space on basis of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lution of problems found in case study. I choose the real environment object and apply the design plan referred above and verify adequacy after reviewing the final design model is complied with research purpose by design evaluation. Chapter 1. Background, Purpose and Scope of Research Chapter 2. Necessity of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levance of environmental Design First I understand ecologic paradigm to be basic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udy the conception of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 show necessity of preschool education space and examine potentiality as an educational space. Chapter 3. All requirements of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of Chapter 2 Chapter 4. Analysis of running process and physical environment with selected preschool object I analyzed entire environment of preschool focused on adequacy of environmental education space and functionality of constructional environment and I found problems in each preschool case. Last, I put all preschool environmental problems together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Chapter 5. Ecologic preschool educational space design process and final design model I established a real environment object and performed environmental analysis process. The design plan is made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hapter 3 and improvement plan through case study in Chapter 4. I planned organization of each space by extracting pattern language and applicable design suggestion to the object in the next step. Lay out and flow planning is decided with data referred in the previous steps added functional interrelationship of each space. The various forms are composed on basis of established lay out and flow planning and took the optimum considered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nature friendship. I concretized the preschool educational space design model through study model steps. Optimal model is presented through previous design process. The evaluation of optimal plan is performed with standard analyzed preschool environmental study in Chapter 4. Chapter 6. Summary and argument of research and suggestion of expectation effect and contribution In conclus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cologic design have in common of respecting both human and nature because they are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The ultimat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cological design is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In case of composing educational program, we make efforts to minimize side-effect to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environment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re the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all fields and sponsored space shall be approached to design with comprehensive position. Preschool environment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pace to satisfy change of requirements where people enjoy their life-quality as a human being deviated from survival solution steps. It is composed by ecological method considering user's act having organic connection with surroundings not as an independent subst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 2 1.3. 연구방법 및 범위 = 2 2. 유아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환경디자인 = 3 2.1. 생태적 패러다임 = 3 2.2. 환경교육의 장으로서의 유아교육 공간 = 8 3. 유아 환경교육 공간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 = 17 3.1. 입지선택 = 17 3.2. 공간의 규모 = 17 3.3. 외부와의 경계영역 = 18 3.4. 층별 구성, 공간 배치 및 형태 = 20 3.5. 부분적인 요소계획 = 21 3.6. 공간별 디자인 특성 = 23 4. 사례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공간 개선 방향 = 31 4.1. 유아교육 공간의 사례분석 = 31 4.2. 사례분석을 통한 유아 환경교육 공간디자인 개선 방향 = 47 5. 생태적 유아 교육공간 디자인 = 56 5.1. 디자인 개요와 전개과정 = 56 5.2. 대상지의 환경 분석 = 58 5.3. 디자인 단계 = 65 5.3.1. 디자인 목표 및 디자인 방향 = 65 5.3.2. 필요 공간 및 규모 분석 = 66 5.3.3. 공간 조직을 위한 패턴언어 적용 = 68 5.3.4. 배치 계획 및 동선계획 = 71 5.3.5. 평면 및 입면 도출 과정 = 76 5.3.6. 세부공간 디자인 과정 = 80 5.3.7. 재료 및 색채 적용 = 88 5.3.8. 조명계획 = 89 5.4. 유치원 환경디자인에 관한 디자인 모형 최종안 = 93 5.4.1. 배치도 = 93 5.4.2. 평면도 = 94 5.4.3. 입면도 = 95 5.4.4. 최종안 모형사진 = 96 5.4.5. 3D 모형 = 99 5.4.6. 디자인 평가 = 104 6. 결론 = 107 참고문헌 = 109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119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태 패러다임-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유아 환경교육-
dc.subject공간디자인-
dc.title생태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유아 환경교육 공간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pace design model for preschool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dc.format.pagex,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