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ICT 활용 수업에서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ICT 활용 수업에서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ecacy on the achievement in ICT based learning environment
Authors
계보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ICT 활용 수업정보문해매체자기효능감학업성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ICT is applied to different learning tasks. The idea which supports the rationale of this study could be drawn either from Jonassen (1999) or Kozma (1994) who emphasized the role of the learner itself for learning to take place in ICT environments.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n learning environments where ICT is applied, 1. What kind of influence do information literacy level and media self-efficacy make in learning presenting information? 2. What kind of influence do information literacy level and media self-efficacy make in learning exploring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students drawn from 3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Before they were put into treatment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test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both tests were encoded as scores and at the same time as being either high or low for each subject. Students were then put into classes where ICT was utilized as a main tool. In order to exclude prior knowledge effect, the content was selected from 4th grade context and reorganized for 3rd graders. After the learning programs the achievement test followed for both presenting and exploring information. At the end of the test two dropouts took place for insignificant reasons, thus leaving 78 subjects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with use of correlation analyses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resenting information learning, the two-way ANOVA results yielded neither interaction nor main effect significant. The reason of these results may be sought from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In learning situation like this, teacher control is dominant and there is littl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actively engage or discus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learner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may have very restricted room in which to play a role. Second, in exploring information learning,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That the interaction is present means that the achievement of high and low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groups is dependent upon different levels of media self-efficacy. Specifically, the high level media self-efficacy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information literac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low level media self-efficacy group showed that high information literacy group achieved more than the low leve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exists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and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Also, based upon these results, one may rightly argue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must include alternative strategies in which the nature of the task is taken into account at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과 함께 사회의 변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요인인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면서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이러한 ICT의 도입 및 효과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ICT 활용 교육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현행 학교 교육 체제에서의 ICT의 도입 및 적용에 대한 연구에만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측면의 제 특성에 대한 고려는 그 중요성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Kozma, 1994; Jonassen, 1999)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ICT 활용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 변인으로 학습자의 정보문해(Information Literacy)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Media Self-Efficacy)을 설정하고 이러한 두 요인이 학습 활동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정보 안내형 ICT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정보 탐색형 ICT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1년 5월 21일 및 5월 23일 서울 시내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3학년 2개 학급 80명을 대상으로 각각 정보 안내형과 정보 탐색형의 ICT 활용 수업을 이틀 간 실시하였다. 학습자가 실험 수업 이전에 지니고 있는 선수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4학년 1학기 첫 단원의 내용을 선택, 3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수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질문지에 대한 응답 누락이 없고 정보 안내형 수업과 정보 탐색형 수업 모두에 참여한 78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수업 전 학습자의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 실시, 이틀에 걸친 정보 안내형 수업 실시 및 평가, 정보 탐색형 수업 실시 및 평가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안내형 수업에서의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보 안내형 수업에서는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 모두에 있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수업 활동 유형의 특성상 교사의 주도 하에 정보통신매체를 수업의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정보 안내형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참여 및 활동에 따른 상호작용이 극히 낮은 수준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정보문해나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같은 학습자의 개별특성이 학습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보 탐색형 수업에서의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각각 학업성취에 주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의 측면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 분석결과,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 내에서는 정보문해에 따른 뚜렷한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매체에 대한 효능감 하위 집단의 경우 정보문해의 높고 낮음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남으로써, 정보 탐색형 수업에서 매체에 대한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정보문해의 높고 낮음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교사나 수업자료 자체가 학습자가 그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지식이나 정보를 미리 가공하고 조직하여 제시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통제 수준이 낮은 정보 안내형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의 통제 수준이 높은 정보 탐색형 수업에서는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같은 매체활용에 관한 학습자의 특성이 학업성취에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됨을 보여주는 결과로, 학습자의 특성과 과제 특성, 교수환경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제기한 Clark(1985)과 Kozma(1994)에 대한 지적에 대한 실증적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의 ICT 도입 및 활용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의 초점이 되어 왔던 교사 변인 및 매체 자체에 대한 수용가능성, 여타 환경에 있어 경제적, 기술적, 행정적 문제점에 대한 고려 외에도 매체를 수용하는 학습자의 개별 특성과 관련한 여러 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ICT 활용 수업 활동의 유형과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정보문해 간의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보다 심도깊은 질적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셋째, ICT 활용 수업에서의 학업성취와 관련한 인지적 또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포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보다 다양한 교과, 대상, ICT 활용의 수준, ICT 수업 활동 유형 및 환경 등 다각도의 ICT 활용 변인들을 수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