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라나-
dc.creator이라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80-
dc.description.abstract조직의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조작구성원들의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영향요인 중에서 최근에 그 중요성이 부과되고 있는 개념 중에 하나가 조직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이다. 조직긍정성은 구성원들이 조직 내 경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조직 내 공정성에 대한 경험으로서 조직공정성은 종업원의 태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직 내 경험을 통하여 형성되는 조직몰입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형태의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으로서의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상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Lind & Tyler, 1988; Greenberg, 1990a; Niehoff & Moorman, 1993), 이들간의 관계를 살려보고자 한다. 관계 분석 이후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관계가 높다면, Greenberg(1990c)의 연구대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Ⅰ]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질문Ⅱ]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Ⅲ]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Ⅳ] 분배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상호작용공정성에 의해 조절 되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대전광역시 사회복지관 전문종사자(1)) 중 현재복지관에 1년이상 근무한 종사자 2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척도, 조직몰입(정서적 몰입, 근속몰입, 규범적 몰입) 척도, 역할특성(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1.5를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way ANOVA, 단순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 간의 상관계수가 .713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상호작용변수를 만들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olerance의 값이 .4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상이함을 인정하는 것은 설명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절차 공정성이 분배공정성에 비해 더 높은 영향력을 가진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기관에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이루어질수록 조직몰입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절차공정성의 영향력이 분배공정성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배공정성 이 근속몰입에, 절차공정성이 규범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조직몰입에 대해 높은 영향력을 지닌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상호작용변수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찾아볼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정서적 몰입에 높은 영향력을 가진 변수임을 알 수 있다. 근속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호작용공정성이 근속몰입에 더 높은 영향력을 가진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공정성이 규범적 몰입에 높은 영향력을 가진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정의 상호작용변수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공정성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은 조직몰입을 하나의 일반화된 조직몰입(Mowday, Potter & Steers, 1982)으로 간주함으로 조직공정성이 서로 다른 동기로 조직에 몰입하게 될 수 있다는 다중형태의 조직몰입(정서적 몰입, 근속몰입,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차등적인 영향을 무시했는데, 기존의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조직공정성과 관련된 다중형태의 조직몰입연구를 시도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조직내에서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에 비해 조적몰입에 더 높은 영향력을 지닌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관의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 등에 관한 의사결정은 합리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결정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충분히 공유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조직내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다중형태와 조직몰입과 전체적인 조직몰입에 높은 영향력을 지닌 변인임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상사와의 대인관계, 즉 절차나 규칙의 실행과정에서 사람들이 경험하는 대인적 처우의 공정성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배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 상호작용공정성이 상호작용효과를 일으키지 않음을 입증하였다.;In order to maximize the organizational result, I think, the effort to drive th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to the positive direction is important first of all. In the midst of the important effect points that decide th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the Organizational justice is one among notions that the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The organizational justice is occupied the important part of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to the organization members. As the experience about the justice in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justice is exposed to exert the important influence on the employee's attitude formation. Specially, it is exposed that exert a lot of th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med from the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wish to examine the 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justice,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as the decision factor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the multiplex form. Also, it appears that the relation with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is high(Lind & Tyler, 1988; Greenberg, 1990a; Niehoff & Moorman, 1993, so I wish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m. If the relation with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is high since the relation analysis, I wis to get the control. effect of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as the study of Greenberg(1990c).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What is the relation with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2. What is the in influence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procedural justice? 3. What is the in the influence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4. Is the 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trolled by the interactional justice? Thes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executed as the subject of 213 specialists who were engaged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actually more than 1 year among the specialists^(1))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e Jeon Megalopolis. As the research tools, the organizational justice (the distribution justice, the procedural justice, the interactional justice) index,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ffective commitment, the continuance commitment, the normative commitment) index, and the roll character (the role conflict, the role ambiguity, the role overweight) index were us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executed the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simply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by making use of SPSS/PC+11.5.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shown high as .713. And the interactional variabl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made and the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As the result, the tolerance's value was exposed by less than 4, and so I could know that the problem was happened to the multicollinearity. Therefore, in this study to take the subject of the employees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it could be known that the explanation power is low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The second, it was examined to the effect that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the procedural justice could be known as the higher influencing variable than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also, it could be known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mproved in order to fulfil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procedural justice at the institution. The third, it was examined the effect that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 influenced the lower variabl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it could be known that the affective commitment was improved as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procedural justice were high. Also, it could be known that not only the distribution justice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statistically to influence the continuance commitment, but also the procedural justice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statistically to influence the normative commitment. The fourth, it was verified the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that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it could be known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had the higher influence variable than the distribution justice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couldn't be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al variable between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appeared. Finally, it was verified the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that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influenced the low variabl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significant effect statistically to the affective commitment was exposed by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and it could be known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the higher influence variable to the affective commitment than the distribution justice. Examining the effect influencing the continuance commitment, it could be known that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interactional justice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 statistically. Also, it could be known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the higher influence variable to the continuance commitment. Examining the effect to influence the normative commitment,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investigated as the high influence variable to the normative commitment. However, it could be known that the distribution justice to the low variabl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effect of the interactional justice were not appeared. Through these study find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ense. The first, the series studies about the organizational justice that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gnored the different effect to influence the multiplex form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ffective commitment, the continuance commitment, the normative commitment) that the organizational justice could be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for the different motive each other as consider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 kind of general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wday, Potter & Steers, 1982). But this study was escaped from the existent study direction and was tried to stud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ultiplex form connected with the organizational justice. The second, it could be known that the procedural justic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as the higher influence variable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mparison with the distribution justice. Therefore, the decision-making about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the personnel management and the lik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consisted in the basis of reasonable and correct informations and data. Also, the organization members should be shared enough about the items about the decision-making. The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the high influence variable to the multiplex form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se result will contribute in the fairness establishment that people experience the treatment in personal relations with a senior official, that is the practice process of formality or rul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nally, it was proved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didn't cause the interaction effect in 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justi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조직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 = 5 1. 분배공정성(Distribution Justice) = 7 2. 절차공정성(Procedural Justice) = 9 3. 조직공정성변수간의 관계 = 12 1)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간의 관계 = 12 2)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간의 관계 = 15 B. 상호작용공정성(Interactional Justice) = 17 C.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 19 D.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21 E. 연구모형 및 연구질문 = 27 1. 연구모형 = 27 2. 연구질문 = 28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29 B. 측정도구 = 29 1. 변수의 조작적정의 및 측정도구 = 29 1) 조직공정성 = 29 2) 조직몰입 = 33 3) 역할요인 = 35 2. 설문지 구성 = 37 C. 자료분석방법 = 38 Ⅳ. 연구결과 = 40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40 1.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0 2.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역할특성 = 42 B.사회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 43 1. 사회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 = 43 2. 사회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조직몰입 = 44 3.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 44 1) 조직공정성의 인식정도 = 45 2) 조직몰입의 인식정도 = 48 C. 변수들간의 단순상관관계 = 51 D.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관계 = 53 E.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54 1.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54 2.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 = 57 3.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접적 영향과 조절효과 = 60 1)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62 2)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근속몰입에 미치는 영향 = 64 3)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64 Ⅴ. 결론 및 제언 = 68 A. 연구결과 = 68 B. 제언 = 74 1.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증진을 위한 제언 = 74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75 참고문헌 = 77 부록 (설문지) = 85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52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직공정성-
dc.subject조직몰입-
dc.subject관계-
dc.subjectOrganizatonal Justice-
dc.title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Relation with The Organizatonal Justi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dc.format.pageix,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