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선아-
dc.creator최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7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he resistance of subculture to dominant culture which is significant in the culture studies tradition,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eaving school has a nature of independent resistance rather than simply giving-up, self-disparagement, or deviation from the right path. The Korean society laying stress on academic career and cliques accepts only entrance into an academic high school to enter a college or a university as a normal course. So those students who entered a vocational high school to get a job always come to belong to a discriminative position in an academic or social respect. This study interpret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eaving school both as independent resistance in that they get out of school in which there is a discriminative view and as a resistance in a sense that they break off with school as a place of symbolic violence reproducing dominant culture.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leaving voluntarily' in a sense that they voluntarily deny symbolic violence of school instead of the concept of 'dropping out of school' in a sense of deviation from a right path defined by the existing studies, and applied a qualitative method to hear voices of teachers and students with actual experiences within a school rather than a numerical analysis typically though a quantitative method The analysis of resistance by those who left school voluntarily to dominant culture reproduced by school generat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ter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s academic performance: most students belong to two groups of coercive selection due to poor performance and voluntary one and both groups are choosing to leave school voluntarily as a resistance to the reproduction logic disregarding their aptitude, talent, and potential. Second, they are leaving school voluntarily to deny the value of physical works and practices and training to obtain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s a resistance to knowledge used to reproduce themselves as inferior workers in a vocational high school. Third, they are leaving school voluntarily to resist teachers' irrational authority and role of reproducing dominant, culture as a resistance to such an authority of teachers in charge of 'employment' which is the first objectiv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urth, it examined attitudes of those who left school voluntarily toward others' discriminative view on a vocational high school, discrimination against a vocational high school in comparison with an academic high school, and the places for teenagers within society, not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in discrimination and ranking respects. After examining these three groups of voluntary withdrawals, there were a resistance as deviation from a vocational high school, a resistance to the discrimination again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s a surface image, and a resistance as denial to the view of dominant culture in an educational place within society. Finally, there is also a resistance to the process of reproduci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s workers regardless of their aptitude or hope and to determined job selection among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eaving school voluntarily as a resistance in a positive sense to unchangeable educational culture and system while they have been alienated in a double way from the view of incorrigible dominant culture despite of limitations with resistance and representation of data.;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자퇴 현상을 단순한 포기나 자기 비하 또는 일탈로서가 아닌 주체적인 저항의 성격을 갖는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 연구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지배문화에 대한 하위문화의 저항성을 분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력 학벌주의의 한국 사회에서는 대학 입시를 위한 인문계 고등학교로의 진학만이 정상적인 과정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취업을 하기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로 진학한 학생들은 항상 학업이나 사회적 계급에서 차별적 위치에 속하게 된다. 이런 현실은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자퇴가 차별적 시각이 가해지는 학교공간을 스스로 벗어난다는 의미로서 주체적인 저항성을 가지며 동시에 지배문화를 재생산하는 상징폭력의 공간으로서 학교를 철저하게 거부한다는 의미로서 적극적인 저항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는 중요한 하나의 사실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사용하는 지배문화에 의해 규정된 일탈 의미로서의 '중퇴' 개념 대신, 자발적으로 학교의 상징폭력을 거부하는 의미의 '자퇴' 개념을 사용하고, 또한 양적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치적 분석이 아니라 학교 내부에 대한 현장성과 현장을 경험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질적 방법을 통해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저항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 및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실업계 고등학교로의 진입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실업고 진학에 대한 '강압적 선택'과 '자발적 선택'이라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자신들의 적성, 소질, 가능성이 무시된 채 학교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지배문화 재생산의 논리에 대한 것으로, 후자의 경우는 자신들을 하위 노동자로 재생산시키기 위해 실업고 자체가 갖는 은폐된 상징폭력에 대해 자퇴가 갖는 저항성을 분석했다. 둘째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하위 노동자로 자신들을 재생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지식에 대한 것으로, 특히 실습과 자격증 따기에 부여된 훈련과 육체적 노동의 가치에 대한 것을 철저하게 거부하는 자퇴의 저항성에 대해 분석했다. 셋째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최고 목표인 '취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것으로, 여기서의 자퇴는 결국 교사의 권위가 지배문화 재생산의 역할을 해내는 비합리적인 상징폭력이라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했다. 넷째는 차별과 서열화된 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자체에 대한 외부의 차별적 시각과 인문계 고등학교와 비교 대상으로서의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차별, 그리고 공교육 기관이 아닌 사회내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자퇴가 갖는 의미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자퇴는 학교 내부와 상호 작용하는 학교 외부의 차별적 시각에 대해 실업계 공간 자체를 벗어나는 의미로서의 저항과 지배문화가 만들어낸 표면적인 이미지에 기반한 인문계 고등학생들과의 비교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생에게 부여되는 차별에 대한 저항, 그리고 사회내의 공간들이 갖는 지배 문화적 시각에 대한 거부로서의 저항성을 분석했다. 마지막은 실업계 고등학생들이 하위 노동자로 재생산되는 최종 단계인 직업 선택에 대한 것으로, 적성이나 원하는 꿈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노동자로 재생산되는 과정과 이후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 정해진 직업을 순응적으로 받아 들여야 하는 것에 대한 자퇴의 저항성을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갖는 본 연구에서의 저항성은 더 큰 범주인 사회와 맞닿게 되면서 그 효과가 제한되고 연구 대상으로서의 실업계 자퇴생에 대한 자료의 대표성 문제라는 한계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지배 문화적 시각에서 이중 소외의 대상이 되었던 실업계 고등학생들이 변화가 없는 교육문화 및 제도에 대해 자퇴를 통한 긍정적인 의미의 저항을 한다는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학교 및 지배문화의 비논리성을 폭로하고 그것들에 대해 주체적인 비판의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논문의 구성 = 3 Ⅱ. 연구방법 및 분석틀 = 5 A. 연구 내용과 분석틀 = 5 B.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 8 Ⅲ. 실업계 고등학교와 학교 중·자퇴에 대한 논의 = 12 A. 한국 사회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 = 12 1. 설업계 고등학교의 변화 과정 = 12 2. 실업계 공등학교에 대한 차별적 의미 = 14 B. 중·자퇴 현황 및 양상 = 19 1. 중퇴의 현황과 원인 = 19 2. 중퇴에서 새로운 양상으로서의 자퇴 = 22 C. 기존 연구 및 보완점 = 26 Ⅳ. 이론적 배경 = 31 A.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의 상징적 투쟁 = 31 B. 학교 교육을 통한 지배문화의 재생산과 상징폭력 = 32 C. 지배문화에 대한 하위문화의 저항 = 36 Ⅴ. 분석 및 논의 = 42 A. 지배문화의 재생산과 상징폭력에 대한 저항의 관계 = 42 1. 실업계 고등학교로의 진입과정 = 43 (1) 학업성적 부진에 의한 강압적 선택 = 43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44 ② 저항 = 46 (2) 가능성 신뢰에 대한 자발적 선택 = 48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49 ② 저항 = 50 (3) 소결 = 53 2. 특정한 지식규정의 확립 : 실습 및 자격증 = 54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54 ② 저항 = 57 ③ 소결 = 58 3. 직접적인 지배계급인 교사의 권위 = 60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60 ② 저항 = 62 ③ 소결 = 64 4. 차별과 서열화된 제도 공간 = 65 (1) 제도기관으로서 학교 공간이 갖는 차별적 의미 : 재생산과 상징폭력, 그리고 저항 = 66 (2) 이항 대립적 관계에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와의 차별두기 = 68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69 ② 저항 = 70 (3) 사회 공간내의 편입에 대한 의미 = 72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72 ② 저항 = 74 (4) 소결 = 75 5. 예견된 사회에서의 직업과 위치 = 77 ① 재생산과 상징폭력 = 77 ② 저항 = 79 ③ 소결 = 81 B. 저항으로서 자퇴가 갖는 '한계(limitation)'와 효과의 범위 = 81 Ⅵ. 결론 및 제언 = 85 참고문헌 = 87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95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배문화-
dc.subject저항-
dc.subject자퇴-
dc.subject자퇴생-
dc.title지배문화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자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실업계 고등학교 자퇴생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oluntary Withdrawal From School as a Resistance to Dominant Culture : Focusing on Those Who Left Vocational High Schools Voluntarily-
dc.format.pagev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