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해란-
dc.creator문해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80-
dc.description.abstract청각장애 아동들은 청각장애로 인하여 자신의 말소리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발성 기제를 조절하여 상황이나 문맥에 맞는 음도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 청각장애 아동의 음도는 부적절하게 높거나 낮으며, 한 문장 안에서도 음도가 부적절하게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말 명료도를 전반적으로 떨어뜨리게 되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 상대자로 하여금 그들의 말이 정상과는 다르다는 인상을 주게 된다. 이는 다시 의사소통의 실패로 이어지고,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문장 내에서의 음도를 언어 문맥에 맞게 적절히 변화시키는 데에서도 어려움을 보여 그들의 말이 종종 청자로 하여금 의도했던 바와는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음도산출 능력을 알아보고, 각 음도산출에 대해 음향학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그들의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 모음을 연장 발성하게 하여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과 전청 아동 간에 모음 산출에서 나타나는 기본주파수 측정을 통해 기본 음도를 알아보고, 아동이 산출할 수 있는 높은 음도와 낮은 음도를 측정하여 음도 산출 범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9-10세 사이의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 15명과 이들과 성별과 연령을 일치시킨 건청아동 15명이었다. 검사자는 실험 전에 Speech Viewer Ⅲ 의 음높이 범위의 화면을 시각적으로 제시해 주면서 음도 산출 과제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해주었다. /아/ 모음을 3초 이상씩 연장발성 하도록 하였고, 글리산도 방법을 사용하여 높은 음도 혹은 낮은 음도로 변화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음도에서 3초 이상 연장 발성하도록 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CSL MDVP의 자체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에서 각 음도 조건에 대한 기본주파수 값과 Jitter Shimmer값을 최종적으로 취하였다. 통계분석으로는 비모수 검증 및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 사후 검정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청 아동에 비해서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은 기본음도와 낮은 음도, 유의하게 높은 기본주파수를 보여 주었다. 높은 음도에서의 기본주파수는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은 건청 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음도범위에서는 건청 아동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건청 아동에 비해 좁은 음도범위 폭을 보여주었다. 둘째, 집단 내 비교에서 세 가지 음도 대조에 따른 Jitter 및 Shimmer에서 건청 아동의 음도 대조에 따른 Shimmer 수치를 제외하고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 아동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경향은 Jitter 수치에 있어서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경우 낮은음도, 높은음도, 기본음도로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건청 아동의 경우 낮은음도, 기본음도, 높은음도로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himmer 수치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에서 낮은음도, 기본음도, 높은음도로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은 건청 아동에 비해 음도 산출을 위한 성대 긴장에 관련된 근육의 조절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 내에서 음도 대조에 따른 Shimmer 수치의 변화 경향은 정상 아동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건청 아동들처럼 음도가 높아지면 Shimmer 수치가 감소하고, 음도가 낮아지면 Shimmer 수치가 증가하는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충도 청각장애 아동들 또한 높은 음도를 산출하면 음절이 향상되고 낮은 음도에서는 반대로 음질이 악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도 산출에 대해 음향학적인 분석을 실시한 것은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음도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객관적인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그들의 말·언어치료에 있어 음도 특성을 고려하여 말 명료도를 높이는데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itch and it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profound fearing impairment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Fifteen hearing-impaired and fifteen normally hearing children, matched with their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wel /a/ production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material . To measure the pitch , fundamental frequency at three different levels were investigated. And to measure the pitch characteristics, jitter(frequency perturbation) and shimmer(amplitude perturbation) at each three different level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ing : (1) fundamental frequency at the comfortable pitch, the low pitch and putch range were significantly high than that of normally hearing children, (2) but fundamental frequency at high pitch was as the same as that of normally hearing children. (3) And in pitch characteristics in each group, jitter and shimmer, both did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each pitch level. (4) but, their downward tendency was the same in both group except for the jitter of hearing-impaired children. These conclusions indicate that the phonatory mechanism of profoundly hearing impaired children is temporarily poor at controlling them. And profoundly hearing impaired children lack in the coordination of muscles to tense the vocal folds tensioning compared to normal children. However, profoundly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low, comfortable and high pit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질문 = 3 C.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청각장애인의 말 특성 연구 = 5 B. 청각장애인의 음도 특성 연구 = 7 C. 음도 특성에 관한 연구 = 9 D. 음도 측정에 관한 연구 =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3 A. 연구 대상 = 13 B. 연구 절차 = 14 C. 신뢰도 = 20 Ⅳ. 연구 결과 = 22 A. 두 집단간 음도 차이 = 22 B. 각 집단 내 음도 대조에 따른 음향학적 측정치 분석 = 27 Ⅴ. 논의 및 제언 = 35 A. 요약 및 논의 = 35 B. 연구의 제한점 = 39 C.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1 실험에 사용된 Speech Viewer Ⅲ의 음높이 범위에서 시각적 피드백의 예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783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최중도-
dc.subject청각장애 아동-
dc.subject음도 특성-
dc.title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음도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itch and it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profound hearing impairment-
dc.format.pagex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