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신영-
dc.creator박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78-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and error of grammatical morphemes (particles and nonfinal word endings) in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Korean monolinguals. Twelve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lexical level between 6;0-6;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children had been exposed to both languages before the age of 3. Korean was the primary language spoken in the home, and they all attend foreign school in Korea, therefore use English at school. Twelv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 children, closely matched in gender and linguistic age range, serv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A story retelling task was used for morphological analysis. Two wordless picture story books were used to facilitate the children's story retelling. Measures analyzed were (1) % of occurrence of each grammatical morpheme per utterance, (2) % of error occurrence of grammatical morphemes, and (3) % of error patterns of grammatical morphem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occurrence and error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1. Bilingual children showed a lower frequency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For both groups, subject case and topic case were observ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locational cas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dicative case, subordinate conjunctive endings, and modifying transformative endings. Bilingual children demonstrated less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in variety. 2. The percentage of errors was higher for bilingua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the types of particles, except the vocative (subjective case, objective case, adverbial case, conjunctive case, and topic case). For word endings, the percentage of err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bordinate conjunctive endings and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3. In terms of error pattern, omission and between-case substitution errors of grammatical markers occurred most frequently for both groups. Double use and addition errors were not observed in monolingua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ase substitution and double use errors for grammatical markers. In word endings, the group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in errors other than substitution, omission or addition (errors include causative-passive errors and tense errors). Monolingual children did not show omission error type in the use of word endings. To summarize, despite the diversity in the usage and errors within bilinguals, their overall performance was poorer than monolingual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usage,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grammatical morphemes, and the percentage of errors. Bilingual children showed not only error patterns that were characteristics of younger monolingual children, but also error patterns that were hardly seen amongst monolingual children. In addition, bilingual children used morphemes that were not found in monolingual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lingual children show a delayed pattern compared to monolingual children. Furthermore, there was evidence of interlingual influence in the course of the grammatical development. These findings, -unusual usage and errors, late development of certain morphemes, and the interlingual influences, -can be trea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bilingual children, and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ting between language differences and language disord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whether these are specific to the language background and the linguistic age of bilinguals in this study, or whether it could be a more general developmental feature in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은 한 언어로 말하는 도중 다른 언어의 단어나 구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언어의 어순으로 말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Poplack, 1980). 이 때,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범하는 오류가 언어장애인가 아니면 단순한 언어적 차이에 의한 것인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다른 측면보다 문법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아동의 오류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화의 추세로 인해 영어의 조기교육이 강조되면서, 영어와 한국어를 이중적으로 사용하는 아동이 급증하였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보이는 오류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언어장애와 언어차이를 구분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올바른 중재를 제공하는 데 용이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문법형태소 습득과정에서 보이는 산출과 오류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발달 측정과 진단 및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영어는 어순이나 문법적 특성이 매우 상이한데,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영어에서 부사나 전치사 등 독립된 어휘형태로 표현되는 의미를 가진다(남기심 고영근, 2001). 조사는 문장구성요소간의 관계를 표시하고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어순이 자유로운 한국어에서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전달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국어는 영어와는 다르게 두 문장을 접속시키기 위해 독립된 어휘나 특수한 문장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연결어미를 사용한다. 이러한 언어간 차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회상과제에서 나타난 아동의 문법형태소 비용 및 오류 양상을 조사와 어말어미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법형태소의 습득이 안정되어 이야기에서 다양한 문법형태소를 산출할 수 있는 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현저한 특성인 조사와 어말어미의 사용과 오류 양상을 비교하였다. 언어연령이 6;0-6;5세인 이중언어사용 아동과 단일언어사용 아동,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중 언어사용 아동의 경우, 같은 집단 내에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두 언어를 접한 시기 및 문화에 적응된 정도, 그리고 영어와 한국어의 어휘력 차이를 통제하도록 하였다. 아동은 글자 없는 그림책을 보면서 녹음된 이야기를 들은 후 그림책의 내용에 대하여 이야기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는 조사와 어말어미의 산출량과 오류율, 그리고 오류유형으로 분석한 후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수행력을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문법형태소 사용에 있어 단일 언어사용 아동에 비해 맞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더 어린 아동에게서 볼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단일언어사용 아동이 산출하지 않은 형태소를 사용하거나, 단일언어사용 아동에게서는 볼 수 없는 오류형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는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문법형태소의 습득이 단순히 지연된 양상을 띠기보다 이중언어사용 아동만의 독특한 특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을 측정하고 언어장애와 언어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지침으로, 진단 및 평가 시 고려 해야할 부분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한국 아동들의 문법형태소 습득 = 7 B.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이중언어사용 능력 = 10 1.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발달 = 10 2.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보이는 문법적 오류 양상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9 A. 연구대상 = 19 B.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 20 1. 예비실험 = 20 2. 자료수집 = 21 3. 분석절차 = 22 C. 결과분석 = 26 D. 신뢰도 = 27 Ⅳ. 결과 = 28 A. 두 집단간 산출량 비교 = 28 1. 평균 발화당 산출빈도 = 28 2. 평균 유형수 = 29 3. 유형별 평균 산출률 = 29 B. 두 집단간 오류율 비교 = 32 1. 평균 발화당 오류율 = 32 2. 총 산출수에 대한 평균 오류율 = 32 3. 유형별 평균 오류율 = 33 C. 각 집단의 오류유형 특성 = 36 1. 이중언어사용 아동 = 36 2. 단일언어사용 아동 = 37 Ⅳ. 논의 = 39 A. 고찰 = 39 1. 두 집단 간 산출량 비교 = 39 2. 두 집단간 오류율 비교 = 42 3. 각 집단의 오류유형 특성 = 45 B. 결론 = 50 C. 제안 = 51 참고문헌 = 53 부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082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야기회상과제-
dc.subject영어-한국어-
dc.subject이중언어사용-
dc.subject아동-
dc.subject어말어미-
dc.title이야기회상과제를 통한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조사와 어말어미 사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English Bilinguals-
dc.format.page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